$\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중시기 Sentinel-2 위성영상과 일강수량 자료를 활용한 집중호우 전후의 토지피복별 원격탐사지수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Changes of Remote Sensing Indices on Each Land Cover Before and After Heavy Rainfall Using Multi-temporal Sentinel-2 Satellite Imagery and Daily Precipitation Dat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2, 2020년, pp.70 - 82  

김경섭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문갑수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정윤재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시홍수에 의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단시간에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집중호우가 1차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도시홍수의 피해는 도시지역 내 물수지의 변화로 규명하고 있으며, 이를 간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일강수량 자료와 다중시기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해 집중호우 전후의 토지피복별 원격탐사지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일강수량 자료를 바탕으로 호우주의보 및 경보의 사례를 선정하였고, 해당 기간의 Sentinel-2 위성영상을 취득해 이를 기상청 서울관측소 기준 반경 1,000m 범위의 정규식생지수(NDVI), 정규수분지수(NDWI) 및 정규습윤지수(NDMI) 영상을 토지피복별로 제작하여 통계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각 영상을 구성하고 있는 픽셀의 최댓값, 최솟값, 평균 및 그 증감을 분석한 결과, 집중호우 전후 도시지역 원격탐사지수에 유의미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보기는 힘들다고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a lot of damages have been caused by urban flooding, and heavy rainfall that temporarily occur are the main causes of these phenomenons. The damages caused by urban flooding are identified as the change in the water balance in urban areas. To indirectly identify it, this research analyzed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와 같이 강수와 관련하여 원격탐사지수를 분석한 연구는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단기간의 호우에 따른 원격탐사지수 변화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집중호우 전후 토지피복별 원격탐사지수의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시홍수에 영향을 미치는 물수지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목표를 둔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에 영향을 미치는 물수지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일강 수량 자료와 다중시기 Sentinel-2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기상청 서울관측소 일대의 정규식생 지수(NDVI), 정규수분지수(NDWI) 및 정규습윤지수(NDMI)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상청 서울관측소를 기준으로 1,000m 반경의 원격탐 사지수 영상을 제작하여 토지피복별로 픽셀 (pixel)의 최댓값, 최솟값, 평균 및 증감을 비교·분석한 결과 집중호우 전후 도시지역을 구성하는 다양한 토지피복(시가화·건조지역, 농업지역, 산림지역, 초지, 나지)에서 원격탐사지 수에 유의미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집중호우 전후 기상청 서울관측소 일대의 토지피복별 원격탐사지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일강수량 자료와 Sentinel-2 위성 영상을 활용하여 원격탐사지수 영상을 제작하고, 통계를 산출해 집중호우 전후의 원격탐사지 수를 비교하는 과정은 그림 3에서 확인할 수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드론의 단점은 무엇인가? 원격탐사에 있어 드론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드론의 경우 바람의 세기, 배터리 수명 등 하드웨어의 한계로 촬영에 많은 제약이 있을 수 있으며 현실 법에 의해 도시 내 원하는 지역의 촬영이 어려울 수 있다(Kim, 2016). 이에 반해 인공위성의 경우 기상과 관계없이 주기 적으로 관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축적된 데이 터에서 운량과 잡음 등을 고려해 선별하면, 도시 지역의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비교적 용이하다.
집중호우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집중호우는 한 시간에 30㎜ 이상이나 하루에 80㎜ 이상의 비가 내릴 때 또는 연강수량의 10%에 상당하는 비가 하루에 내리는 정도를 말하며, 이로 인해 발생하는 도시홍수의 피해는 강우의 증가와 도시화에 따른 유출율의 변화로 규명하고 있다(Kim et al., 2011).
Sentinel-2 위성영상의 재방문 주기는 얼마인가? , 2019). 또한, 재방문주기가 5일로 Landsat-8 위성과 비교했을 때 강우일(Rainfall Day)에 보다 근접한 일자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선별된 일강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강우일 직전 및 직후의 구름 없는 영상을 확보하려 하였으나, 국내를 대상으로 한 여름철 위성영상이 전반적으로 많은 운량을 보유하고 있어 최종적으로는 표 2와 같은 위성영상을 수집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maille-Jammes, S. and H. Fritz. 2009. Precipitation-NDVI relationships in eastern and southern African savannas vary along a precipitation gradien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0(13):3409-3422. 

  2. Choi, W.J., T.S. Jung, K.J. Kim, S.Y. Choi, J.W. Cho, C.J. Kwak, J.W. Heo, J.U. Jin, K.A. Seo and S.H. Ko. 2014. A development of major disaster response scenarios and standards by locally(I) -focused on urban flooding and drought-.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NDMI) Primary Research Report. p.15 

  3.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EGIS). 2018. Land Cover Map. https://egis.me.go.kr/intro/land.do. (Accessed may 13, 2020). 

  4. European Space Agency(ESA). 2020. MultiSpectral Instrument(MSI) Overview. https://earth.esa.int/web/sentinel/technical-guides/sentinel-2-msi/msi-instrument. (Accessed april 6, 2020). 

  5. GEO University. 2020. Remote Sensing Satellite Data and Spectral Indices. https://www.geo.university/pages/spectral-indices-with-multispectral-satellite-data. (Accessed march 13. 2020). 

  6. Han, W.S. and T.S. Park. 2014. Diagnosis and policy direction of urban flooding disaster prevention system. KRIHS Policy Brief. p.2 

  7. Jang, J.C., Y.W. Yoon and K.A. Park. 2017. Development of R&E educational program using satellite image for science-gifted student -focused on land use classification around Siheung -si-. School Science Journal 11(1):98-112. 

  8. Jang, M.W., S.H. Yoo and J.Y. Choi. 2007. Analysis of spring drought using NOAA/AVHRR NDVI for Nor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9(6):21-33. 

  9. Jung, W.K., S.K. Lim and M.S. Kim. 1999. Changes of agricultural land use after flooding analyzed by Landsat-TM data.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11(2):155-160. 

  10. Kawabata, A., K. Ichii and Y. Yamaguchi. 2001. Global monitoring of interannual changes in vegetation activities using NDVI and its relationships to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2(7):1377-1382. 

  11. Kim, B.K., D.W. Jang, N. Zhang and D.M. Yang. 2011. The deduction of urban flood risk factor considering climate change. Crisisonomy 7(1):125-142. 

  12. Kim, D.W., J.C. Park and D.H. Jang. 2017. Analysis of the possibility for drought detection of spring season using SPI and NDVI.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6(2):165-174. 

  13. Kim, E.S., B.R. Lee and J.H. Lim. 2019. Forest damage detection using daily normal vegetation index based on time series Landsat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6):1133-1148. 

  14. Kim, I.H. 2016. Drone based construction of spatial image information and plan of GIS data gathering and utilizing. Real Estate Focus 95. p.35 

  15. Kim, S.H., J. Heo, K.H. Yun and H.G. Sohn. 2007.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using Landsat-7 ETM+ image in Ansung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3(6):529-536. 

  16. Kim, Y.R. and J.K. Jin. 2018. Diagnosis and improvement of water-cycle policy in Seoul. Seoul Institute Policy Research Report. p.2 

  1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2020. Historical Data. Ground Observation Data. https://www.weather.go.kr/weather/climate/past_cal.jsp. (Accessed march 13, 2020). 

  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9. Population status of urban areas.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15&tblIdTX_315_2009_H1001&vw_cdMT_OTITLE&list_id315_31502_008&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E1. (Accessed march 31, 2020). 

  19. Lee, S.J., K.J. Kim, Y.H. Kim, J.W. Kim and Y.W. Lee. 2017. Development of FBI(Fire Burn Index) for Sentinel-2 images and an experiment for detection of burned areas in Korea.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27(4):187-202. 

  20. Park, J.S., K.T. Kim, J.H. Lee and K.S. Lee. 2006. Applicability of multi-temporal MODIS images for drought assessment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4):176-192. 

  21. Park, J.S., W.H. Lee and M.H. Jo. 2016. Improving accurac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river basins using Landsat-8 OLI image, vegetation index, and water index.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9(2):98-106. 

  22. Parmiggiani, F., G. Quarta, G.P. Marra and D. Conte. 2006. NDVI fluctuations from 1995 to 2006 in South Italy and North Africa: A search for a climate change indicator. Proceedings of SPIE-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al Engineering 6359. 

  23. Rouse, J.W., R.H. Haas, J.A. Schell and D.W. Deering. 1974. Monitoring vegetation systems in the Great Plains with ERTS. 3rd Earth Resource Technology Satellite Symposium. Proceedings 1:48-62. 

  24. Shin, H.J., M.J. Park, E.H. Hwang, H.S. Chae and S.J. Kim. 2015. A study of spring drought using Terra MODIS satellite image -for the Soyanggang dam watershe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4):145-157. 

  25. Shin, S.C. and T.Y. An. 2004. Estimation of areal evapotranspiration using NDVI and temperature dat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7(3):79-89. 

  26. Shin, S.C., S. Jeong, K.T. Kim, J.H. Kim and J.S. Park. 2006. Dought detection and estimation of water deficit using NDV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9(2):102-114. 

  27. Tourre, Y.M., L. Jarlan, J-P. Lacaux, C.H. Rotela and M. Lafaye. 2008. Spatio-temporal variability of NDVI-precipitation over southernmost South America: possible linkages between climate signals and epidemic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3(4) 044008: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