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entinel-2 위성영상과 SRTM DEM을 활용한 연안습지 탐지: 서해안 곰소만을 사례로
Detection of the Coastal Wetlands Using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 and the SRTM DEM Acquired in Gomsoman Bay, West Coasts of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4 no.2, 2021년, pp.52 - 63  

정윤재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김경섭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  박인선 ((주)지오씨엔아이 공간정보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연구에서는 연안습지를 탐지하기 위해 위성/항공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로부터 산출한 식생지수 또는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였으나, 단일 센서만을 활용할 경우 토지피복정보와 지형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높은 정확도의 연안습지 탐지 및 대규모 연안습지 관리 업무 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 곰소만 지역을 촬영한 Sentinel-2 위성영상의 다중분광 밴드와 디지털 지형 모델인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사용하여 서해안 곰소만의 대규모 연안습지를 다음의 과정을 통해 탐지하였다. 우선 Sentinel-2 위성영상의 Green 및 근적외선 밴드를 활용하여 정규수분지수 영상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정규수분지수 영상에서 픽셀의 밝기값 0.2를 임계치로 설정하여 물과 육지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SRTM DEM에서 픽셀의 밝기값 0을 임계치로 설정하여 해수면 아래와 해수면 위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두 장의 이진화 영상에 중첩 분석을 적용하여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의 정확도는 94%로서 매우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연안습지가 아닌 내륙습지, 산지습지 등은 탐지되지 않아서 연안습지 관리 업무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revious research, the coastal wetlands were detected by using the vegetation indices or land cover classification maps derived from the multispectral bands of the satellite or aerial imagery, and this approach caused the various limitations for detecting the coastal wetlands with high accuracy d...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6)

  1. Blanchette, M., A. N. Rousseau and M. Poulin. 2018. Mapping wetlands and land cover change with Landsat archives: the added value of geomorphologic data. Canadian Journal of Remote Sensing 44(4):337-356. 

  2. Choung, Y.J., K.S., Kim, I.S. Park and I.Y. Chung. 2021. Detection of surface water bodies in Daegu using various water indices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 based on the Landsat-8 satellite ima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4(1):1-11 

  3. Choung, Y.J. and M.H. Jo. 2016. Shoreline change assessment for various types of coasts using multi-temporal Landsat imagery of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Remote Sensing Letters 7(1):91-100. 

  4. Choung, Y.J. and M.H. Jo. 2017. Comparison between a machine-learning-based method and a water-index-based method for shoreline mapping using a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 acquired in Hwado island, South Korea. Journal of Sensors 2017:1-13. 

  5. European Space Agency(ESA). 2021. Sentinel-2. https://www.esa.int/Applications/Observing_the_Earth/Copernicus/Sentinel-2 (Accessed June 06, 2021). 

  6. Jang, D.H., C. Kim and J.H. Park. The land-cover changes and pattern analysis in the tidal flats using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the case of Taean peninsula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5(2):275-292 

  7. Jo, M.H. 2005. Analyzing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and detecting the change of tidal flat area in Seo han bay,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2):44-54 

  8. Korea National Park. 2021. Research for coastal wetlands. https://www.knps.or.kr/portal/main/contents.do?menuNo8000322# (Accessed May 10, 2021). 

  9. Korea Wetland Society. 2016. Wetland.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pp.590 

  10. Lee H.R. and J.B. Lee. 2005. Monitoring spatiotemporal changes of tidal flats in Go-gunsan islands by environmental factors using satellit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3):34-43 

  11. Lee, J.O., Y.S. Kim and G.J. We. 2010. Change analysis of Eulsukdo wetland using qualitative multi-temporal image dat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2):64-73 

  12.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MOF). 2021. MOF news. https://www.mof.go.kr/iframe/article/view.do?boardKey10&menuKey376&tPageNo1&articleKey36580 (Accessed June 06, 2021). 

  13. Munyati, C. 2000. Wetland change detection on the kafue flats, Zambia, by classification of a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image dataset.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1(9):1787-1806. 

  14. Park, J., J. Kim, G. Lee and J.E. Yang. 2017. Vertical accuracy assessment of STRM ver 3.0 and ASTER GDEM ver 2 over Korea. Journal of Soil Groundwater Environment 22(6):120-128 

  15. Pressian. 2021. Significance of mudflat.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71579#0DKU (Accessed May 10, 2021). 

  16. Weng, Q. 2002. Land use change analysis in the Zhujiang delta of China using satellite remote sensing, GIS and stochastic modell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64:273-2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