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구잠재력을 이용한 광역도시 개편에 따른 공간구조변화 분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Reorganization of Metropolitan City Using Population Potential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3 no.2, 2020년, pp.83 - 94  

김호용 (동아대학교 도시계획공학과) ,  배은솔 (대구경북연구원 스마트공간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대상지인 부산광역시는 1995년 본격적인 지방 자치 제도의 시행과 함께 광역시로 승격하게 됨에 따라 인구와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변지역을 흡수하면서 전체적인 변화를 맞이하였다. 현재는 광역도시로 개편된 지 25년이 지난 시점으로 공간구조차원에서 도시전체의 균형 있는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공간상호작용을 위한 잠재력의 의미인 인구잠재력을 시공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공간구조 변화와 권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도시기본계획에서 도심 및 부도심으로 설정된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은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광역도시 개편에 의해 편입된 강서구와 기장군은 정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시전체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대한 지역혁신성장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시외곽에 존재하는 개발제한구역에 의해 공간의 발전축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구대상지 내에 개발제한구역이 존재하는 다른 권역은 편입된 지역과 다르게 성장하는 패턴이 나타났다. 따라서 편입지역의 정체 원인을 토지이용규제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성을 고려한 지속적인 성장 관리방안 수립을 통하여 계획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san Metropolitan City, a research site of this study, was promoted to a metropolitan city in 1995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and the overall change was made as it absorbed the surrounding areas to address the shortage of population and space. Twenty-five years after the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 도시 관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전역을 대상으로 광역권 개편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와 권역별 공간패턴을 파악하고자 한다.
  • 지수함수는 전형적으로 도시의 내부와 같이 작은 거리에 대한 상호작용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멱함수는 도시간의 큰 거리에 대한 상호작 용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Kim and Nam, 2010).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의 공간구조를 분석하기 때문에 도시 내부에 적용하기 적합한 지수함수를 선정하였다.
  • 연구의 목적인 부산광역시의 광역권 개편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와 권역별 공간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크게 세 가지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시계열별 인구데이터를 활용하여 도시공간내의 공간상호작용에 있어 미래 공간상 호작용을 위한 잠재력의 의미인 인구잠재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대상지인 부산광역시는 1995년 본격적인 지방 자치 제도의 시행과 함께 직할시에서 광역시로 승격하면서 인구와 공간 문제를 해결하고자 주변 지역을 흡수하여 현재의 도시 형태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는 지방 자치 제도가 도입된 지 25년이 지난 시점으로, 본 연구는 효율적인 도시관리 및 공간구조 관리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전역을 대상으로 광역시 개편에 따른 공간 구조의 변화와 권역별 공간패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잠재력이란 무엇인가? 잠재력은 뉴턴의 중력법칙을 바탕으로 거리 감소함수(distance decay function)를 사용하여 어떠한 흡인력(attractiveness)이 주어져 있는 다른 장소로 접근할 수 있는 정도인 상호작용을 계산하는 것이다. 인구잠재력은 상호작용을 계산하는 Accessibility 모델에 인구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산하는 것으로 식 1과 같다.
국지적 수준에서 분석이 가능한 자기상관 기법에는 어떤 것들이 제시되어 있는가? 인구잠재력 값을 활용하여 인구잠재력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파악하기 위하여 공간적 자기상관 기법(LISA)과 Ripley의 K함수를 적용하였다. 국지적 수준에서 분석이 가능한 자기상관 기법에는 Local Moran’s I, Local Geary’s C, Getis-Ord Gi, Gi*등이 제시되어있다(Anselin, 1995). 연구에서는 인구잠재력의 공간적 군집성과 주변지역과의 차별성을 분석하는데 뛰어난 Local Moran’s I를 적용하였으며 식 2와 같다.
두 가지 유형의 거리감소인 멱함수와 지수함수는 각각 무엇을 나타내는가? 본 연구에서는 인구잠재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ArcGIS의 workstaion 기능인 Arcplot을 사용하였으며, 여기에서는 두 가지 유형의 거리감소 즉, 멱함수(power function)와 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를 제공하고 있다. 멱함수는 영향 범위까지 경사가 완만한 단면을 나타내며, 지수함수는 영향권까지 경사가 급한 단면을 나타낸다. 지수함수는 전형적으로 도시의 내부와 같이 작은 거리에 대한 상호작용을 계산하는 데 사용되며, 멱함수는 도시간의 큰 거리에 대한 상호작 용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Kim and Nam,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ESRI. 2019. Modeling spatial relationships. http://help.arcgis.com. (Accessed June 1, 2019). 

  2. J.F. McDonald. 1989. Econometric studies of urban population density : a survey. Journal of Urban Economics 26:361-385. 

  3. Jung, D.Y and Y.G. Son. 2009. A analysis on the spatial features of the neighborhood trade area using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method.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17(1):141-147 

  4. Kim, H.Y. 2010. Analysis of change 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spatial relationship using the sphere of influence.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3:47-61 

  5. Kim, H.Y. and J.M. Yun. 2014. Analysis of changes in the population potential of the neighboring areas of Sejong city using the accessibility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167-178 

  6. Kim, H.Y. and J.S. Kim. 2018.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land use regulation of urban growth potential area i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1(3):138-148 

  7. Kim, H.Y. and K.W. Nam. 2011.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sub-centers based on population potential : focus on Busan metropolitan city in 1970-2010.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69:45-62 

  8. Kim, H.K., Y.E. Shin, T.K. Baek, G.C. Kang, H.S. Jeng, J.H. Oh and S.J. Yeo. 2007. The study on the downtown spatial functional analysis and downtown classification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4):75-86 

  9. Kim, S.S., S.H. An, Y.C. Shin and H.T. Kim. 2008. Analysis of central place hierarchy chang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3):23-33 

  10. L. Anselin. 1995.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 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93-115. 

  11. Nam, K.W., I.J. Kang and D.H. Im. 2009. Variability in the effective spatial range of the population centripetal force of CB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2):120-131 

  1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Platform. National information map. http://map.ngii.go.kr. (Accessed March 5, 2019). 

  13. Ord, J.K. and A. Getis. 1995. Local spatial autocorrelation statistics: distributional issues and an application. Geographical Analysis 27(4):286-306. 

  14. Seo, K.M., H.Y. Kim, S.H. Lee and T.H. Kwon. 2014.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1-14 

  15. Statistics Korea. 2019. Online survey. https://kostat.go.kr. (Accessed January 22,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