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균형발전을 위한 도시공간구조 변화 진단
Analysis of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for Balanced Urban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4 no.2, 2021년, pp.40 - 51  

김호용 (동아대학교 도시계획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 관리를 위한 일환으로 도시균형발전을 위해 공간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공간 구조 진단하는 것이다. 도시공간구조는 다양한 활동의 상호작용이므로 공간구조 요소들의 패턴 변화 분석과 함께 요소들의 분석 결과를 연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구, 교통 분야에 대하여 접근하였으며, 대상지의 관련 법령에 따라 정의된 다양한 생활권별 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 인구는 시계열별 변화 데이터를 공간통계기법인 Getis-Ord Gi*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인구 집중지역에 대한 군집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교통은 출퇴근 교통 O-D 데이터를 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중심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지 전체적으로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었으며, 중심성의 변화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른 공간요인과 연계하여 해석함으로써 생활권별 도시공간구조를 전망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정책뿐만 아니라, 전 세계 많은 도시에서도 급속한 도시발전과 통제할 수 없는 개발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입하고 있는 다양한 도시 성장 관리 정책의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urban spatial structures using spatial modeling techniques for balanced urban development as part of sustainable urban growth management. Since urban spatial structure is an interaction of various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analysis results ...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8)

  1. Aburas, M.M., Ho, Y.M., Ramli, M.F. and Z.H. Ashaari. 2017. Improving the capability of an integrated CA-Markov model to simulate spatio-temporal urban growth trends using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d frequency ratio.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59:65-78. 

  2. Berberoglu, S., Akin, A. and K.C. Clarke. 2016. Cellular automata modeling approaches to forecast urban growth for Adana, Turkey: A comparative approach. Landscape and Urban Plan 153:11-27. 

  3. Chae, M.O. 1997. Spatial distribution of land prices and its determinants in Seoul. Ph.D. Thesis, Univ. of Seoul, Seoul, Korea 

  4. Cho, M.H. and C.H. Yim. 2001. A Analysis on spatial structure in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Planners Association 36(7):183-195 

  5. Clarke, K.C., Hoppen, S. and L. Gaydos. 1997. A self-modifying cellular automaton model of historical urbanization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Environment and Planning B 24(2):247-261. 

  6. Davies, W.K.D. 1967. Centrality and the central place hierarchy. Urban studies 4: 61-79. 

  7. Freeman, A.M. 1979. The benefits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Washington: Resource for the Future. 

  8. Getis, A. and A. Ord.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3):189-206. 

  9. Guan, C.H. and P.G. Rowe. 2016. Should big cities grow? Scenario-based cellular automata urban growth modeling and policy applications. Journal of Urban Management 5(2):65-78. 

  10. Guan, G., Wang, L. and K.C. Clark. 2005. An artificial-neural-network-based, constrained CA model for simulating urban growth. Cartography and Geographic 32(4):369-380. 

  11. Ha, C.H. 2005. A study on urban structure with autocorrelation analysis in Masan and Changwon.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 Jinju, Korea. 

  12. Ha, S.K., Kim, J.I., and M.J. Jeon. 1995. The patterns of urban spatial structural changes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0(5):141-152 

  13. Jeon, M.J. 1995. Is Seoul really polycentric?. Journal of the Korean Planners Association 30(4):285-294 

  14. Jeong, Y.Y. and T.H. Moon. 2014. Analysis of Seoul urban spatial structure using pedestrian flow data-comparative study with'2030 Seoul Plan'. Journal of The Korea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6(3):139-158 

  15. Kim, H.C. and K.H. Ahn. 2012. The relation of population, jobs, social capitals and centrality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Social Network Theory.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59:105-122 

  16. Kim, H.K., Y.E. Shin, T.K. Baek, G.C. Kang, H.S. Jeng, J.H. Oh and S.J. Yeo. 2007. The study on the downtown spatial functional analysis and downtown classification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4):75-86 

  17. Kim, H.Y. 2012. Analysis of change in the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spatial relationship using the sphere of influence.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3:47-61 

  18. Kim, H.Y. and E.S. Bae. 2020. An analysis of the spatial structure changes according to the reorganization of metropolitan city using population potential :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3(2):83-94 

  19. Kim, H.Y., Kim, J.S. and S.H. Lee. 2012.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the delimitation of CB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42-54 

  20. Kim, S.S., An, S.H., Shin, Y.C. and H.T. Kim. 2008. Analysis of central place hierarchy chang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3):23-33 

  21. Kim, Y., Ha, C.H. and J.G. Ahn. 2004. A Comparative study on urban structure with autocorrelation and interaction analysis in Masan and Changwon. Journal of the Korean Planners Association 39(6):7-22 

  22. Kim, Y.H. 2011. Social Network Analysis. Parkyoungsa, Seoul, pp.39-44 

  23.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2018.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inked type local cities for mutual prosperity. Land and Housing Institute, Daejeon, Korea, pp.103-105 

  24. Lee, J.S. 2008. The establishment of spatial structure and its change in the capital region by using interaction analysis : 1995-2005.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1(3):91-100 

  25. Nam, K.W., Kang I.J. and D.H. Im. 2009. Variability in the effective spatial range of the population centripetal force of CB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2):120-131 

  26. Seo, K.M., Kim, H.Y., Lee, S.H. and T.H. Kwon. 2014.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1-14 

  27. Statistic Korea : national indicator system. www.index.go.kr. (Accessed march 12, 2020). 

  28. Wheeler, S.M., Tomuta, M., Haden, V.R. and L.E. Jackson. 2013. The impacts of alternative patterns of urbanization on greenhouse gas emissions in an agricultural county. Journal of Urbanism: International Research on Placemaking and Urban Sustainability 6:213-2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