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축산저수지 오염퇴적토의 토양정화기술에 대한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oilremediation Technology for Contaminated Sediment in Agro-livestock Reservoir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3, 2020년, pp.157 - 181  

정재윤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  장윤영 (광운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 호소 및 해양항만의 퇴적물은 수계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종착점이면서 동시에 지속적으로 오염물질을 수계로 배출하는 오염원(source)으로 작용한다. 지금까지 오염퇴적물은 육상매립 또는 해양투기해왔던 것이 현실이었다. 하지만 육상매립은 고 비용, 해양투기는 런던협약으로 인해 전면 금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부지인 왕궁축산단지의 오염퇴적토를 대상으로 토양정화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토양정화방법은 해외 적용사례와 국내 처리 가능한 적용기술을 선별하여 전처리, 퇴비화, 토양세척, 동전기, 열탈착을 적용하였다. 오염특성파악을 위한 대상 부지 조사결과 수질은 용존산소(Disolved Oxigen, DO), 부유물질(Suspended Solid, SS),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총질소(Total Nitrogen, TN), 총인(Total Phosphorus, TP) 이 방류수 수질기준을 초과하였고 특히 SS, COD, TN, TP는 기준을 수십 배에서 수백 배 초과하였다. 토양은 돼지사료의 성장을 촉진하는 구리, 아연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카드뮴이 토양환경보전법 기준치 1지역을 상회하였다. 전처리기술은 하이드로사이클론을 활용하여 입도분리를 실시하였으며, 미세토양이 80% 이상 분리되어 선별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퇴비화는 유기물 및 석유계 총 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 오염토양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TPH는 우려기준 이내로 처리되었고, 유기물의 경우 대장균이 높게 분석되어 70℃에서 퇴비화 최적조건을 적용하여 비료규격을 만족하였으나 비료규격에 비하여는 유기물함량이 낮게 분석되었다. 토양세척은 연속추출시험결과 Cd는 미세토에서 5단계인 잔류성(Residual)물질이 확연하게 존재하였고 Cu 및 Zn은 오염분리가 쉬운 이온교환성(1단계), 탄산염(2단계), 철/망간산화물(3단계)의 함량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산용출과 다단세척을 단계별로 적용결과 염산, 1.0M, 1:3, 200rpm, 60min이 최적 세척인자로 분석되었으며 다단세척실험결과 오염 퇴적토는 대부분 1단에서 토양환경보전법 우려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적용성 시험결과 중금속오염이 높은 오염토는 전처리 후 토양세척을 적용하여 처리토를 골재로 활용하고, 유기물 및 유류 오염토는 퇴비화를 적용하여 오염물질과 대장균을 사멸한 후 부숙토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diments from rivers, lakes and marine ports serve as end points for pollutants discharged into the water,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sources of pollutants that are continuously released into the water. Until now, the contaminated sediments have been landfilled or dumped at sea. Landfilling, how...

주제어

표/그림 (3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랜 시간 동안 퇴적된 토사가 물 관리에 주는 영향은? 하천, 호소 및 해양항만의 퇴적물은 수계로 배출된 오염물질의 종착점이면서 동시에 지속적으로 오염물질을 수계로 배출하는 오염원(source)으로 작용한다. 오랜 시간 동안 퇴적된 토사는 홍수 시 하천의 통수 능력을 저해하거나 호소의 저수량을 낮추는 등 물 관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지표면에서 탈착되어 수체로 유입된 입자성 물질(토사)은 영양염류, 중금속, 유기물질 등과 흡착되어 하천과 호소로 유입되어 흘러가거나 정체되면서 결합하여 침전물을 형성하고 중력에 의해 수체 바닥에 퇴적된다.
오염퇴적물은 무엇인가요? 퇴적물은 육지로부터 유입되어 호소, 하천, 해양 등의 수저에 쌓이는 모래, 점토, 유기물질, 광물질을 통칭한다. 퇴적물이 수서 생물 혹은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도 이상의 중금속, 다환방향족 탄화수소(PAHs), 유기염소계 농약,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 등의 유해화학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오염퇴적물이라 일컫는다(EPA 1993). 일반적으로 유기물 및 인 등의 영양염류를 많이 포함하여 부영양화를 발생시켜 수질악화의 원인이 된다.
농업 및 축산 유역의 오염퇴적토에서 고려해야할 항목은? 우선 생활환경 유역은 퇴적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인구가 있을 것이다. 농업 및 축산 유역은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N, P 등의 유기성 오염부하량이 상대적으로 높아 퇴적물 역시 유기오염에 대한 우선 처리가 필요할 것이며, 공업지역의 경우 점오염원인 동시에 비점오염원으로서 우수에 유출된 중금속 및 유해화학물질 등이 하천 하류 또는 항만해역에 퇴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ukes TH, Cantor CR. 1969. Evolution of protein molecules. In Mammalianprotein metabolism, 21-132. Edited by H. N. Munro. New York: Academic Press. 

  2. Kim IJ, Hwang SI. 2009. Pollution Status of Domestic River Sediments: Literature Review and Management Direction. environmental forum Third volume No. 3rd.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3. Kim IJ, Hwang SI, Kim HJ. 2010. River and lake sediment management and dredged material utilization plan.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orean Literature] 

  4. Kim K, Park SM, Kim J, Kim SH, Kim Y, Moon JT, Hwang GS, Cha WS. 2009. Arsenic concentration in porewater of an alkaline coal ash disposal site: Roles of siderite precipitation/dissolution and soil cover. Chemosphere 77, 222-227. [Korean Literature] 

  5. Tessier A, Campbell PGC,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ytical Chemistry 51, 844-851. 

  6.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Guidelines for the method of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Korean Literature] 

  7.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Animal Drainage in Iksan Palace Area. [Korean Literature] 

  8.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3. Questions and Answers About Contaminated Sediments, EPA 823-F-93-009.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9.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5. Contaminated Sediment Remediation Guidance for Hazardous Waste, EPA 540-R-05-012. Office of Solid Waste and Emergency Response 

  10. Wenning RJ, Stern EA, Jones KW, Douglas WS. 2001. The WDRA program and emerging decontamination technologies for contaminated sediments, Contaminated Soil Sediment and Water. 

  11. Wenzel WW, Kirchbaumer N, Prohaska T, Stingeder G, Lombi E, Adriano DC. 2001. Arsenic fractionation in soils using an improved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nalytical Chimica Acta 436. 309-3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