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침습 샘플 DNA 분석으로 유추한 영월 한반도습지 내 멧돼지(Sus scrofa)의 생태 연구
Ecological Studies of Wild boars(Sus scrofa) in Yeongwol Hanbando Wetland Inferred through DNA Analysis of Non-invasive Sample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3, 2020년, pp.230 - 238  

김민경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상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뉴바이올로지전공) ,  박효민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비침습 샘플인 털을 이용하여 영월 한반도습지 내 서식하는 멧돼지(Sus scrofa)의 유전분석을 통하여 그들의 서식 생태를 유추하였다. 털 시료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5월까지 한반도습지(2.772㎢) 내에서 비빔목 및 헤어트랩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털 시료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개체의 종과 성을 PCR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6개의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를 이용하여 개체 구분과 개체 간 유전적 근연관계를 유추하였다. 수집된 털 시료 중 총 16개의 털이 멧돼지의 시료였으며, 이는 암컷 7마리, 수컷 3마리의 10개체로부터 수집된 것임이 판명되었다. 이 10개체의 유전적 관계를 추정해 본 결과, 이들이 만들어내는 45쌍 중에 9쌍의 개체가 친족관계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개체 쌍의 친족관계와 털 시료가 채집된 위치를 함께 고려하여 본 결과, 한반도습지 일대에서 서식하는 멧돼지는 암컷과 그 자손으로써 모계 가족단위로 생활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기존에 알려진 멧돼지의 습성과도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 사용된 샘플과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의 수가 제한적이므로 향후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ferred the ecology of habitat use of the wild boars (Sus scrofa) in Yeongwol Hanbando wetland through DNA analysis using non-invasive samples of hairs. From November 2018 to May 2019, hai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rubbing trees and hairtraps within the Hanbando wetland (2.772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으로 우수한 영월 한반도습지 내에서 발견된 비침습적 샘플인 털을 이용하여 멧돼지의 DNA 분석을 실시하고, 유전 정보를 바탕으로 멧돼지 무리의 조성을 유추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비침습 샘플인 털을 이용하여 영월 한반도습지 내 서식하는 멧돼지의 유전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전자형 분석을 이용한 멧돼지 개체 확인을 통한 연구의 결과, 조사기간 동안 한반도습지 내에서 획득한 야생동물의 털로부터 확인된 멧돼지는 총 10개체였으며, 이들은 암컷 7마리와 수컷 3마리로 구성되었다.
  • 또한, 본 연구에서 확인된 총 10개체의 유전적 관계쌍을 추정해 본 결과, 이들이 만들어내는 45쌍 중에 9쌍의 개체들이 친족관계일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개체의 활동을 추정하기 위하여 여러 장소에서 같은 개체의 흔적을 찾기를 기대하였으나 그런 결과를 얻지 못하여 그들이 이용하는 지역을 추정해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털의 수집위치와 친족관계 분석을 통하여 한반도습지 지역 및 그 주변 일대를 가족 및 친족들이 공동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e H, Kim Y, Lee K, Nam G, Lee S, Lee Y, Lee Y. 2019. Florist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Korean J. Environ. Ecol. 33(2): 131-167. [Korean Literature] 

  2. Choi M, Park B, Lee J. 2012. The Species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vespidae in southeast Region (Sangdong-eup, Gimsatgatmyeon, Jungdong-myeon) of Yeongwolgun, Gangwon-do, Korea. J. Korean Nat. 5(4): 305-310. 

  3. Choi T, Lee Y, Park C. 2006. Home-range of wild boar, Sus scrofa living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Korea. J. Ecol. Field Biol. 29(3): 253-257. [Korean Literature] 

  4. Costa V, PerezeGonzalez J, Santos P, Fernandez- Llario P, Carranza J, Zsolnai A, Anton I, Buzgo J, Varga G, Monteiro N, Beja-Pereira A. 2012. Microsatellite markers for identification and parentage analysis in the European wild boar (Sus scrofa). BMC Res. Notes. 5: 479-481. 

  5. Delgado R, Fernandez-Llario P, Azevedo M, Beja-Pereira A, Santos P. 2008. Paternity assessment in free-ranging wild boar (Sus scrofa) - are littermates full-sibs? Mamm. Biol. 73: 169-176. 

  6. Fickel J, Hohmann U. 2006. A methodological approach for non-invasive sampling for population size estimates in wild boars (Sus scrofa). Eur. J. Wildl. Res. 52: 28-33. 

  7. Han S, Lee K, Yoon Y, Choi J, Kim J, Choi J. 2014.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sh Community in Yeongwol Hanbando Wetland. Korean J. Environ. Ecol. 28(4): 424-431. [Korean Literature] 

  8. Heinken T, Schmidt M, OheimbG, Kriebitzsch W, Ellenberg H. 2006, Soil seed banks near rubbing trees indicate dispersal of plant species into forests by wild boar. Basic Appl. Ecol. 7(1): 31-44. 

  9. Kalinowski ST, Wagner AP, Taper ML 2006. MLrelate: A computer program for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of relatedness and relationship. Mol. Ecol. Notes. 6: 576-579. 

  10. Kim M, Won Y, Lee S. 2008. Use of Genetic techniques to analyze wintering population of geese in Korea with noninvasive feces samples. Korean J. Environ. Biol. 26(3): 264-269. [Korean Literature] 

  11. Kim Y, Cho S, Choung Y. 2019. Habitat preference of wild boar (Sus scrofa) for feeding in cool-temperate forests. J. Ecology and Environment, 43: 30. 

  12. Kim S, Kwon K, Kim T, Ko H, Jang G. 2014. An analysis on aspects of farm lands damaged by the wild boar (Sus Scrofa) in Gyeongnam province, Korea. J. Korean Env. Res. Tech. 17(6): 17-27. [Korean Literature] 

  13. Lee B, Lim J, Park S, Jo D. 2011. Insect fauna of mt. Jang-san, Yeongwol-gun, Gangwon-do, Korea. J. Korean Nat. 4(3): 173-184. 

  14. Lee S, Lee W. 2014a. Diet of The wild boar (Sus scrofa) in agricultural land of Geochang, Gyeongnam Province, Korea. J. Korean For. Soc. 103(2): 307-312. [Korean Literature] 

  15. Lee S, Lee W. 2014b. Selection of the rubbing trees by wild boar (Sus scrofa) and its ecological role in a mixed forest, Korea. J. Korean For. Soc. 103(3): 510-518.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A Study on the habitat status of wild boars and the ways to reduce damage in the Wangpicheon Stream Ecological Landscape Conservation Area. Daegu.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The 2nd (2018- 2022) wetland conservation plan for the Hanbando wetlands in Yeongwol. Wonju. [Korean Literature] 

  18.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Final report on vertebrate animals of Korea (2nd stage, 3 Year). Incheon. [Korean Literature] 

  19. Martys MF. 1991. Social organization and behavior in the suidae and tayassuidae. - In: Barret, R.H. & Spitz, F. (Eds.); Biology of Suidae. AGECO, Grenoble, France, pp.65-77. 

  20. Nam GH, Kim JH, Kim YC, Kim JS, Lee BY. 2012. Floristic study of county Pyeongchang and Yeong-wol including limestone regions (Prov. Gangwon-do) from Korea. Korean J. Env. Eco. 26(1): 11-38. [Korean Literature] 

  21.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5. 2015 Wildlife Survey. Incheon. [Korean Literature] 

  22. Onorato D, White C, Zager P, Waits LP. 2006. Detection of predator presence at elk mortality sites using mtDNA analysis of hair and scat samples. Wildl. Soc. Bull. 34: 815-820. 

  23. Palomares F, Godoy JA, Piriz A, O'Brien SJ, Johnson WE. 2002. Faecal genetic analysis to determine the presence and distribution of elusive carnivores: design and feasibility for Iberian lynx. Mol. Ecol. 11: 2171-2182. 

  24. Poteaux C, Baubet E, Kaminski G, Brandt S, Dobson FS, Baudoin C. 2009. Socio-genetic structure and mating system of a wild boar population. J. Zool. 278: 116-125. 

  25. Sembon S, Suzuki S, Fuchimoto D, Iwamoto M, Kawarasaki T, Onishi A. 2008. Sex identification of pig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amplification of the amelogenin gene. Zygote. 16: 327-332. 

  26. Waits LP, Paetkau D. 2005. Review of ap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accurate data collection. J. Wildl. Manage. 69: 1419-1433. 

  27. http://me.go.kr/wonju/web/index.do?menuId10133 2020.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