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전운용제원을 이용한 5.56 mm 소총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 Using Field-Data of 5.56 mm Rif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584 - 591  

신태성 (국방기술품질원) ,  서현수 (국방기술품질원) ,  이호준 (국방기술품질원) ,  최시영 (국방기술품질원) ,  길현준 (국방기술품질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기체계에 있어서 신뢰도는 중요한 요소이다. 신뢰도가 낮으면 무기체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우리군의 전투력 약화로 직결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 군이 개인화기로 사용하는 5.56 mm 소총의 구조를 총열, 윗총몸, 노리쇠집, 가스활대, 복좌용수철 및 밀대, 아랫총몸, 개머리 총 7개의 조립체로 분류하고, 소총이 정상작동하기 위한 8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소총의 신뢰도의 개념을 고장 간 평균사격발수(MRBF: Mean Round Between Failure, 이하 MRBF)로 정의하고, 수리가능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분석 이론으로서 포아송 과정 모형과 이 모형에 대한 추세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TTT(Total Time on Test, 이하 TTT) 도시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소총의 고장을 주기성 교환품목을 제외한 부품의 교환으로 정의하여 획득한 야전운용제원을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야전운용제원을 MINITAB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총의 신뢰도는 251.73발로 분석되었으며, 소총의 조립체별 신뢰도 분석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조립체로 총열, 아랫총몸, 개머리 조립체를 식별하였고, 개선이 필요한 세부 부품 10가지를 식별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획득 가능한 야전운용제원을 이용한 신뢰도 분석의 한계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li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weapons systems. Low reliability causes the weapons system to fail to function properly, which directly leads to the weakening of combat capability. This paper classifies the structure of the 5.56 mm rifle, which is currently used by the Korean army, into a tot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운용단계에서는 각각의 총기에 대한 사격발수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 고정사격대에서 사격하는 개발시험평가와는 다른 운용환경 등의 문제로 인하여 실사격에 의한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확률적 모형을 적용하여 운용단계에서의 소총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 그러나 실제 야전환경에서는 고정사격대에 총기를 거치하여 사격하는 개발시험평가 단계와 달리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환경이 존재한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야전환경 하에서 운용되는 소총의 야전운용제원을 수집하고, 데이터 정제를 위해 소총의 고장에 대하여 정의한다. 그리고 수리가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분석이론 중 하나인 모수적 포인트 과정 모형 중포아송 과정 모형을 적용하여 소총 전체의 신뢰도와 주요 기능부의 신뢰도를 통계분석 소프트웨어인 MINITAB을 이용하여 분석해 개선이 필요한 품목을 식별하고자한다.
  • 그리고 수리가 가능한 시스템에 대한 신뢰도 분석이론 중 하나인 모수적 포인트 과정 모형 중포아송 과정 모형을 적용하여 소총 전체의 신뢰도와 주요 기능부의 신뢰도를 통계분석 소프트웨어인 MINITAB을 이용하여 분석해 개선이 필요한 품목을 식별하고자한다. 또한 소총의 야전운용제원 수집에의 한계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Table 3의 부품 중 사격충격이 아닌 외부충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부품은 단발자, 공이지지용 핀을 제외한 8개 부품이다. 이와 비교하기 위하여 현재 소총의 납품 전 수락검사 간 발생하는 고장부품을 확인해 보았다. 확인결과 격발과 연관된 공이, 점사기능과 연관된 치차스프링이 있었으며, 이 부품들은 야전운용제원 상 16번째,67번째로 많은 고장이 발생한 품목이다.

가설 설정

  • 2) 획득한 야전운용제원은 수리가능한 시스템의 고장자료이다. 고장발생 시 고장의 원인이 된 부품을 교환하여 전체 소총 시스템을 수리하기 때문이다.
  • 2. (a,b]에서 기대 고장 수는 µ(a,b)이며, (a,b]에서 단위시간당 기대 고장수는1/θ 로 일정하다.
  • 2. 중첩되지 않는 시간구간에서 발생된 고장 수는 통계적으로 독립이다. 이러한 특성을 지는 과정을 “독립증분”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 3. 고장간격 시간τj=tj-tj-1는 동일하고 독립인Exp(θ)분포를 따른다.
  •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소총의 경우 다음 4장에서와 같이 고장을 주기성 교환품목을 제외한 부품의 교환으로 정의하였으므로 수리이후 초기상태로 돌아온다고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률이 일정한 HPP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5.56 mm 소총이란 무엇인가? 5.56 mm 소총은 전군이 사용하는 개인화기로서 가장 많이 보급되고 운용 중에 있는 군수품 중 하나이다. 국내개인화기 생산의 역사는 1974년 미국 콜트사로부터 M16A1소총 면허생산을 시작으로 1980년대초 한국형 기관단총인 K1기관단총이 개발·양산되었으며, 1984년 한국형 소총인 K2소총이 양산되어 현재까지 30년 이상 운용되고 있다.
국내개인화기 생산의 역사는 어떠한가? 56 mm 소총은 전군이 사용하는 개인화기로서 가장 많이 보급되고 운용 중에 있는 군수품 중 하나이다. 국내개인화기 생산의 역사는 1974년 미국 콜트사로부터 M16A1소총 면허생산을 시작으로 1980년대초 한국형 기관단총인 K1기관단총이 개발·양산되었으며, 1984년 한국형 소총인 K2소총이 양산되어 현재까지 30년 이상 운용되고 있다. 5.
소구경화기가 군인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무기인 이유와 역할은? 소구경화기는 군인에게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무기이다. 자신을 보호하고 부여된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 그 임무의 종결을 확인할 수 있는 최후의 무기이기 때문에 현대전에서도 항상 빠지지 않고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소총이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상적인 기능의 발휘가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H. J. Lee, "Rifle and Ballistics", Cheong Moon Gak, pp. 1-2, 1998 

  2. G. M. Park, "A Study on Process and Case of RAM Analysis in Ground Weapon System Using Field-Dat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0, No. 5, pp. 485-491, 2019.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9.20.5.485 

  3. S. K. Seo, "Minitab Reliability Analysis", Eretec Inc, pp. 507-566, 2015 

  4. Army Headquarters, "5.56mm K2 Rifle : Users and Assistant Maintenance Manual", Army Headquarters, pp. 46-50, 2004 

  5. H. J. Lee, B. K. Kim, "The Improvement Report on Durability Defects of K2 Rifle", DTAQ, pp. 6-39, 20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