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칠해목 추출물의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PC12뇌세포 사멸과 스코폴라민으로 유발된 렛드 동물모델에 대한 개선 효과
Ameliorative Effect of Schisandra chinensis and Ribes fasciculatum Extracts on Hydrogen Peroxide-Induced Neuronal Cell Death in Neuroblastic PC12 Cells and the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a Rat Mode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3 no.3, 2020년, pp.347 - 355  

박은국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유전학과) ,  한경훈 (서울의료원 의학연구소) ,  허재혁 (서울의료원 신경과) ,  김남기 (알피바이오(주) 연구소) ,  배문형 (알피바이오(주) 연구소) ,  서영하 (알피바이오(주) 연구소) ,  용윤중 ((주)나인비 연구소) ,  정선용 ((주)나인비) ,  최춘환 ((재)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바이오센터 천연물연구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gnitive impairment is considered to be key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in understanding of learning and memory.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neuroprotective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SC) and Ribes fasciculatum (RF) extracts in hydrogen peroxide-i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 천연물질인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는 Park 등(2018)이 논문을 통해 효과를 발표하였으며, 이에 본 연구는 스코폴라민으로 기억력 감소가 유발된 렛드 실험동물에서 오미자칠해목 추출혼합물 투여에 따른 기억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혈당 저하, 항균, 독성 등의 해독물질로 알려진 오미자와 출혈, 통증, 중풍, 옴 등의 해독물질로 잘 알려진 칠해목을 추출 혼합하여 PC12세포와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손상 동물모델 실험을 통해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에 실험에서는 과산화수소 50 μM의 농도 1시간 처리에 따른 오미차칠해목 추출혼합물 전처리에 의한 세포 보호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2b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알츠하이머병의 특징은?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가장 흔한 질환으로, 인지기능 저하 및 사회활동의 기능장애가 함께 장애를 동반하게 되며(Kang & Choi-Kwon 2009),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뇌조직의 경우 acetylcholine 감소는 중요한 병리적 특징으로 알려져있다(Chuong 등 2014). 실제 알츠하이머병 환자에서 해마와 대뇌피질에서 콜린 흡수(choline uptake)와 acetylcholine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acetylcholine을 분해하는 효소인 acetylcholinesterase(AChE) 발현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Talesa VN 2001).
기억력 감퇴의 원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기억력 감퇴는 acetylcholine, GABA, dopamine 등의 신경전 달물질은 노화에 따라 감소하는 것(Trabace 등 2000)과 기억과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holinergic system의 심각한 손상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등 1996). 알츠하이머병의 인지력 감소는 acetylcholine을 생성하는 신경세포의 손상과 acetylcholine을 분해하는 효소인 AChE의 활성이 증가되어 기억력 감퇴는 더욱 악화되게 된다(Kasa 등 2000).
AChE 억제제의 부작용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AChE 억제제는 tacrine, donepezil, rivastigmine, galantamine 등이 대표적이며, 그 중 tacrined은 AChE 억제제 로 FDA 승인을 받았으나, ALT 수치를 상승시키는 부작용으로 사용이 금지되었다(Watkins 등 1994). 그 외에도 다른 AChE 억제 약물들도 구토, 식욕감소, 장 운동의 이상증가 등의 다양한 부작용으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이러한 부작용에 대한 우려로 근래에는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을 이용한 항 치매 약물을 찾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Xiao 등 2014; Hasanein & Mahtaj 2015). 스코폴라민은 멀미 예방을 위해 효과적인 물질로 acetylcholine의 muscarinic cholinergic receptor에 경쟁적 억제제로 작용하여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전정기관들로부터 구토를 촉진하는 정보를 뇌간으로 전달하지 못하게 한다(Brand & Perry 1966; Kohl & Homick 1983; Warburton & Wesnes 198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Bartus RT, Dean RL 3rd, Beer B, Lippa AS. 1982. The cholinergic hypothesis of geriatric memory dysfunction. Science 217:408-414 

  2. Brand JJ, Perry WL. 1966. Drugs used in motion sickness. A critical review of the methods available for the study of drugs of potential value in its treatment and of the information which has been derived by these methods. Pharmacol Rev 18:895-924 

  3. Byun SN. 2010. Effects of mixed extracts of Chenwhangbosimdan and Curcuma longa L. on memory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intracerebroventricular amyloid ${\beta}$ -injected Alzheimer's disease model rat. Ph.D. Thesis, Kyung Hee Univ. Seoul. Korea 

  4. Canal N, Imbimbo BP, Eptastigmine Study Group. 1996. Relationship between pharmacodynamic activity and cognitive effects of eptastigmine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Clin Pharmacol Ther 60:218-228 

  5. Choe DJ, Ahn HY, Kim YW, Kim TH, Kim MD, Cho YS. 2016. Improvement effect of Stachys sieboldii MIq.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calcium on memory impairment in scopolamineinduced dementia rats. J Life Sci 26:812-818 

  6. Chuong NN, Trung BH, Luan TC, Hung TM, Dang NH, Dat NT. 2014. Anti-amnesic effect of alkaloid fraction from Lycopodiella cernua (L.) Pic. Serm.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Neurosci Lett 575:42-46 

  7. Davies P, Maloney AJF. 1976. Selective loss of central cholinergic neurons in Alzheimer's disease. Lancet 308:1403 

  8. Ghoneim MM, Mewaldt SP. 1977. Studies on human memory:The interactions of diazepam, scopolamine, and physostigmine. Psychopharmacology 52:1-6 

  9. Haycock JW, Gold PE, Macri J, McGaugh JL. 1973. Noncontingent footshock attenuation of retrograde amnesia: A generalization effect. Physiol Behav 11:99-102 

  10. Hasanein P, Mahtaj AK. 2015. Ameliorative effect of rosmarinic acid on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rats. Neurosci Lett 12:23-27 

  11. Hengartner MO. 2000.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407:770-776 

  12. Hong HU, Yi-min Q. 2006. Grape seed proanthocyanidin extract induced mitochondria-associated apoptosis in human acute myeloid leukaemia 14.3D10 cells. Chin Med J 119:417-421 

  13. Kohl RL, Homick JL. 1983. Motion sickness: A modulatory role for the central cholinergic nervous system. Neurosci Biobehav Rev 7:73-85 

  14. Jegal KH, Park SJ, Kim CY, Lee C, Park JH, Jang JH. 2010. Effect of Poria cocos on the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and Its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4:228-235 

  15. Kang JS. 2016. Effect of medicinal herb composites on antioxidative and cognition-enhancing activities in rats. Korean J Food Nutr 29:382-391 

  16. Kang SJ, Choi-Kwon S. 2009. Compariso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arly and late-onset Alzheimer’s disease. Dementia Neurocogn Disord 8:119-125 

  17. Kasa P, Papp H, Kasa P Jr, Torok I. 2000. Donepezil dosedependently inhibits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 various areas and in the presynaptic cholinergic and the postsynaptic cholinoceptive enzyme-positive structures in the human and rat brain. Neuroscience 101:89-100 

  18. Kim MJ, Choi SJ, Lim ST, Kim HK, Heo HJ, Kim EK, Jun WJ, Cho HY, Kim YJ, Shin DH. 2007. Ferulic acid supplementation prevents trimethyltin-induced cognitive deficits in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71:1063-1068 

  19. Lee MR, Sun BS, Gu LJ, Wang CY, Mo EK, Yang SA, Ly SY, Sung CK. 2008. Effects of white ginseng and red ginseng extract on learning performance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y inhibition. J Ginseng Res 32:341-346 

  20. Lee EJ, Cho JA, Seong SY. 2011. Cell death and immunity. J Bacteriol Virol 41:309-311 

  21. Moon YH. 2012. Induction of apoptosis by extract of Phlox paniculata L in KB human oral cancer cells. Oral Biol Res 36:139-143 

  22. Nicholson DW, Thornberry NA. 1997. Caspases: Killer proteases. Trends Biochem Sci 22:299-306 

  23. Oh MH, Houghton PJ, Whang WK, Cho JH. 2004. Screening of Korean herbal medicines used to improve cognitive for anti-cholinesterase function activity. Phytomedicine 11:544-548 

  24. Oh JH, Choi BJ, Chang MS, Park SK. 2009. Nelumbo nucifera semen extract improves memory in rats with scopolamineinduced amnesia through the induction of choline acetyltransferase expression. Neurosci Lett 461:41-44 

  25. Park CH, Kim SH, Choi W, Lee YJ, Kim JS, Kang SS, Suh YH. 1996. Novel anticholinesterase and antiamnesic activities of dehydroevodiamine, a constituent of Evodia rutaecarpa. Planta Med 62:405-409 

  26. Park EK, Han KH, Lee SH, Kim NK, Bae MH, Seo YH, Yong YJ, Jeong SY, Choi CW. 2018. Neuroprotective effects of Schisandra chinensis and Ribes fasciculatum extract on hydrogen peroxide-mediated oxidative stress in neuroblastic SH-SY5Y cell line. Korean J Food Nutr 31:865-872 

  27. Park, HB, Kim SY, Park SJ. 2019. Effects of ginseng sprout extract and modified Kyung-Ok-Ko on scopolamine-induced cognitive impairment in mice. J Agric Life Environ Sci 31:151-159 

  28. Park MA, Kang KJ. 2015. Effect of grape skin extract on apoptosis in MDA-MB-231 human breast cancer cell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5:87-98 

  29. Peng L, Zhaohui L. 2015. Neuroprotective effect of paeoniflorin on $H_2O_2$ -induced apoptosis in PC12 cells by modul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inflammatory response. Exp Ther Med 9:1768-1772 

  30. Price NM, Schmitt LG, McGuire J, Shaw JE, Trobough G. 1981. Transdermal scopolamine in the prevention of motion sickness at sea. Clin Pharmacol Ther 29:414-419 

  31. Shin JA, Park JH, Kim SH, Song KY. 2013. Inhibition effect of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by Inonotus obliquus in human glioblastoma U-87 M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022-1028 

  32. Shuheng L, Guisheng Y, Guohua S, Qingguo Z. 2019. Green tea polyphenols protect PC12 cells against $H_2O_2$ -induced damages by upregulating lncRNA MALAT1. Int J Immunopathol Pharmacol 33:2058738419872624 

  33. Talesa VN. 2001. Acetylcholinesterase in Alzheimer's disease. Mech Ageing Dev 122:1961-1969 

  34. Trabace L, Cassano T, Steardo L, Pietra C, Villetti G, Kendrick KM, Cuomo V. 2000. Biochemical and neurobehavioral profile of CHF2819, a novel, orally active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or Alzheimer's disease. J Pharmacol Exp Ther 294:187-194 

  35. Wang XP, Zhou J, Han M, Chen CB, Zheng YT, He XS, Yuan XP. 2017. MicroRNA-34a regulates liver regeneration and the development of liver cancer in rats by targeting Notch signaling pathway. Oncotarget 8:13264-13276 

  36. Warburton DM, Wesnes K. 1984. Drugs as research tools in psychology: cholinergic drugs and information processing. Neuropsychobiology 11:121-132 

  37. Watkins PB, Zimmerman HJ, Knapp MJ, Gracon SI, Lewis KW. 1994. Hepatotoxic effects of tacrine administrat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JAMA 271:992-998 

  38. Xiao J, Li S, Sui Y, Wu Q, Li X, Xie B, Zhang M, Sun Z. 2014. Lactobacillus casei-01 facilitates the ameliorative effects of proanthocyanidins extracted from lotus seedpod on learning and memory impairment in scopolamine-induced amnesia mice. PLOS ONE 9:e112773 

  39. Zhao Q, Kim YU, Han IH, Yun JM. 2016.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ethanolic extract of Lespedeza cuneata G. Don in human colorectal cancer HT-29 cells. Korean Soc Food Sci Nutr 45:911-9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