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분지 제3기 이암의 산성배수 발생 능력
Acid Rock Drainage Generation Capacity of Tertiary Mudstone in Pohang Basin 원문보기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19 no.2, 2020년, pp.23 - 33  

백인우 (Dept. of Civil and Environ. E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 ,  김재곤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송영석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김태형 (Dept. of Civil E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포항 제3기 이암의 실내시험을 통해 기본적인 특성과 산성배수 발생능력을 파악하였다. XRF 분석 결과 SiO2 성분이 약 60%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Al2O3와 Fe2O3 순으로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높은 산화물이 많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XRD 분석 결과 이암이 황철석(FeS2)을 포함하고 있어 산성배수 발생 개연성이 높은데,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분석기(ICP)로 분석 결과에서도 이암 시료에서 Fe2+ 이온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C)로 측정한 음이온 분석 결과 모든 이암 시료 SO2-4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원소 분석결과 총 황(S) 함량이 높아 최대 산 발생량(MPA) 계산 결과 1% 이상으로 산성배수 발생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제3기 이암은 시료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산성배수 발생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termines the basic properties and acid rock drainage generation capacity of Pohang tertiary mudstone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s. According to X-ray fluorescence (XRF) analysis results, the mudstone of this area mostly comprised of SiO2 with a proportion of approximately 60%, followe...

주제어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포항 이암의 산성배수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었다. 연구에서 제3기 이암의 기본적인 특성과 산성배수 발생능력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에서 포항 제3기 이암(tertiary mudstone)의 실내 시험을 통해 기본적인 특성과 산성배수 발생능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포항 이암의 산성배수와 관련된 문제를 다루었다. 연구에서 제3기 이암의 기본적인 특성과 산성배수 발생능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3기 이암의 활 용에 제약 요인 중 하나인 산성배수의 개선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 획득이 가능하였다.

가설 설정

  • 하지만 본 결과를 보는데 있어 한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그것은 본 연구의 가정 상 이러한 분류기준은 산성배 수 발생을 과대 또는 과소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 MPA의 경우에 황을 모두 황철석 으로 가정하였으며, ANC는 자연 상태에서 발현하지 않는 중화광물의 중화능력도 총량으로 설정하였다.
  • 식 (1)은 모든 황이 황철석으로 가정하고 황 함량이 1% 로 측정되었을 경우에 톤 당 30.6kg의 H2 SO4가 발생한다 고 가정하였다.
  • 그것은 본 연구의 가정 상 이러한 분류기준은 산성배 수 발생을 과대 또는 과소하게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 MPA의 경우에 황을 모두 황철석 으로 가정하였으며, ANC는 자연 상태에서 발현하지 않는 중화광물의 중화능력도 총량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NAG 의 경우에도 시료 내 황화광물이 산화되는 과정에 중화광 물도 용출되어 반응하는 경우와 순 산발생량에서 H2O

    제안 방법

    • 850∼1150°C 연소법으로 C, H, N, S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 다음으로 80°C∼90°C으로 2시간 이상 가열 시켜 반응을 종료시킨 후 125ml까지 증류수로 부피를 맞 춰주고 상온에서 감온시킨 뒤 반응용액의 pH 0.8∼1.5 사이의 범위여부를 확인한다.
    • 45 um 멤브레인 필터에 여과시킨 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C, 881 Compact IC pro)를 이용하여 7가지 음이온을 분석하였다. 음이온 분석 결과에서는 산성배수의 발생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황산염 (Sulfate) 함량을 중점적으로 정밀 분석하였다.
    • 음이온 분석(IC) 시험은 준비된 이암 시료를 NAG pH 용출법을 통해 시험한 반응용액을 0.45 um 멤브레인 필터에 여과시킨 후, 이온 크로마토그래피(IC, 881 Compact IC pro)를 이용하여 7가지 음이온을 분석하였다.
    • 이암이 지표에 처음으로 노출되었을 경우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증류수 반응시험도 실시되었다. 이 경우 시료를 증류수와 1 : 2 비율의 슬러리 상태로 혼합하여 12시간 이상 반응시켜 안정화시킨 후, HQ11d 측정기(HACH)를 이용하여 pH 와 EC(Electrical Conductivity)를 측정하였다.
    • 이암 시료를 토양오염공정시험법 중 산분해(왕수추출) 법을 택하고 염산과 질산을 사용하여 전처리 과정을 거친 반응용액을 0.45 um 멤브레인 필터로 여과시키고 유도 결합 플라즈마 분광 분석기(ULTIMA 2)를 이용하여 중금속을 중점으로 하여 16가지 양이온 함량을 분석하기 위한 양이온 분석(ICP)도 실시하였다.
    • 이암의 총 황(Total S) 함량 분석은 원소분석기를 이용 하였다. 이암 시료를 열풍 건조기에서 완전 건조하고 200 mesh 이하로 파쇄한 100mg을 이용하였다.
    • 이암의 구성성분을 알아보기 위한 기본적인 입도분석 시험, 광물성분을 알아보기 위한 X선 형광분석시험 (XRF) 및 X선 회절분석시험 (XRD) 등이 실시되었다. 이암이 지표에 처음으로 노출되었을 경우의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증류수 반응시험도 실시되었다. 이 경우 시료를 증류수와 1 : 2 비율의 슬러리 상태로 혼합하여 12시간 이상 반응시켜 안정화시킨 후, HQ11d 측정기(HACH)를 이용하여 pH 와 EC(Electrical Conductivity)를 측정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시료는 EN-R1∼R4로 명명되었는데 EN은 지명 “이 인리”를 나타내며 R은 “암석”을 의미한다.
    • 2).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 이암은 신생대 제 3기 연일층군 두호층과 이동층에 해당 되며, 대표적인 암상으로 연갈색 셰일 및 이암과 담갈색 셰일 및 이암이며 역암이 협재되어 있다.
    • 시험에서는 완 전 건조하고 200 mesh(< 75 um) 이하로 분쇄한 이암 시료를 사용하였다.
    • 연구에 사용되는 이암 시료는 경상북도 포항시 흥해읍 이인리 택지개발지구에 위치한 건설공사현장에서 채취하였다. 이 지역은 산성배수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반으로 구성되어 있고(KIGAM, 2019), 이암을 토공재료 활용 가능성을 추진하고 있는 현장이다.
    • 이암의 총 황(Total S) 함량 분석은 원소분석기를 이용 하였다. 이암 시료를 열풍 건조기에서 완전 건조하고 200 mesh 이하로 파쇄한 100mg을 이용하였다. 850∼1150°C 연소법으로 C, H, N, S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 지역은 산성배수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지반으로 구성되어 있고(KIGAM, 2019), 이암을 토공재료 활용 가능성을 추진하고 있는 현장이다. 이암을 토공재료로 이용될 경우에 유지관리 단계에서 대량의 산성배수가 발생 될 뿐 아니라 기초 구조물의 안정성 문제가 우려되어 연구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다(Fig. 2).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 이암은 신생대 제 3기 연일층군 두호층과 이동층에 해당 되며, 대표적인 암상으로 연갈색 셰일 및 이암과 담갈색 셰일 및 이암이며 역암이 협재되어 있다.
    • 포항은 양산단층의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신생대 제3기층인 연암 퇴적층이 광범위하게 분포 되어있는 지역이다. 포항지역 제3기 이암에 대하여 현재까지 연구가 진행 되었다. 특히 이암이 존재하는 암반에서 시공 중 또는 유지관리 단계에서 구조물 파괴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이암의 역학적 문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Lee and Jeong, 2012; Kim et al.

    이론/모형

    • 850∼1150°C 연소법으로 C, H, N, S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된 황 함량(%)을 이용하여 ARD test handbook(Smart et al., 2002)에서 제시하는 식 (1)을 통하여 최대산발생량(MPA) 를 산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k, I.-W. (2020), Characteristics of Banking Structures Constructed with Improved Tertiary Mudstone with Composite Slag and Neutralizing and Coating Agents, MS. Thesis,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2. Ban, H. K., Lee, H. Y., Bae, K. J. and Cho, W. J. (2015), "Engineering Properties of Uncemented Mudrock from Yeoju Area, Gyeonggi-Do",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6, pp.53-58. 

  3. Choi, E.-K., Kim, S.-W., Hwang, W.-K., Kwon, H.-W. and Kim, T.-H. (2018), "A Study on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 of Clastic Sedimentary Rocks in the Gyeongsang Basi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4, No.8, pp.5-14. 

  4. Gillott, J. E. (1968), Clay in Engineering Geology. Elsevier, Amsterdam, p.296. 

  5. Godfrey, N. (1980), "A Field Recognition Guide to Swelling Clay Rich Weathering Profiles in Overburden Sediments in the Northern Bowen Basin. "Sediments Through the Ages"", Proc 5th Australian Geological Convention, Perth, W.A. Geological Society of Australia Inc. 

  6. Jeong, G.-B. (2006), A Study of Engineering Characteristics and Deformation Behavior of Pohang Mudstone, Youngnam University, Ph.D. thesis, pp.292. 

  7. KIGAM (2019), Technology Development for Damage Reduction and Ecosystem Restoration in Acid Drainage Producing Construction Site, GP2017-041-2019, pp.160. 

  8. Kim, J. G. (2007), "Acid Drainage and Damage Reduction Strategy in Construction Site: An Introduction", Econ. Environ. Geol., Vol.50, pp.651-660. 

  9. Kim, J. W. (2017), Estimation of Chemical Weathering Index and Rock Property Reduction Considering Anisotropy of Clastic Sedimentary Rock in Korea, Ph.D. Thesis,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10. Kim, K. S., You, B. O. and Lee, S. D. (2002), "Failure Characteristics of Cut Slopes of Shale in Kyoungsang Basin", Proceedings of the seminar and field workshop for mudstone and shale, organized by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mmission, pp.103-114. 

  11. Kim, S.-W., Choi, E.-K., Kim, J.-W., Kim, T.-H. and Lee, K.-H. (2017), "Chemical Weathering Index of Clastic Sedimentary Rocks in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27, No.1, pp.67-79. 

  12. Lee, G. M., Kim, J. G., Lee, J. S., Chon, C. M., Park, S. G., Kim, T. H., Ko, G. S. and Kim, T. K. (2005),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Acid Rock Drainage(ARD) of Cut Slope", Econ. Environ. Geol., Vol.38, pp.91-99. 

  13. Lee, N. Y., Kim, Y. I., Jung, H. J. and Kim, Y. G. (2002), "Problems in Construction of Tunnel and Rock Slope at Mudstone and Shale Region", Proceedings of the seminar and field workshop for mudstone and shale, organized by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mmission, pp.115-140. 

  14. Lee, Y.-H. and Jeong, G.-B. (2012), "Creep Characteristics of Mudstone According to Stress Level and Water Content", Journal of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3, No.3, pp.39-51. 

  15. Park, H. D. (2002), "Engineering Geological Properties of Mudstone and Shale", Proceedings of the Seminar and Field Workshop for Mudstone and Shale, organized by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for Rock Mechanics Commission, pp.18-30. 

  16. Smart, R., Skinner, W. M., Levay, G., Gerson, A. R., Thomas, J. E., Sobieraj, H., Schumann, R., Weisener, C. G., Weber, P. A., Miller, S. D. and Stewart, W. A. (2002), ARD test handbook: Project P387A, A Prediction and Kinetic Control of Acid Mine Drainage. Melbourne: AMIRA international Ltd., pp.A4-8, pp.D3-4. 

  17. Snethen, D. R., Townsend, F. C., Johnson, L. D., Patrick, D. M. and Vedros, P. J. (1975), A Review of Engineering Experiences with Expansive Soils in Highway Subgrades,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NTIS No. ADA 020309, pp.4-25. 

  18. Sobek, A. A., Schuller, W. A., Freeman, J. R. and Smith, R. M. (1978),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Applicable to Overburdens and Minesoils, EPA 600/2-78-054.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incinnati, OH. pp.47-50. 

  19. Taylor, R. K. and Spears, D. A. (1981), "Laboratory Investigation of Mudrocks", Quarterl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and Hydrogeology, Vol.14, pp.291-309. 

  20. Van Eeckhout, E. M. (1976), "The Mechanisms of Strength Reduction Due to Moisture in Coal Mine Sh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Rock Mechanics and Mining Science and Geomechanics Abstracts, V.13(2), pp.61-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