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층처분장 처분공 주변 굴착손상영역에 존재하는 불연속면으로의 압축 벤토나이트 침투
Penetration of Compacted Bentonite into the Discontinuity in the Excavation Damaged Zone of Deposition Hole in the Geological Repository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30 no.3, 2020년, pp.193 - 213  

이창수 (한국원자력연구원) ,  조원진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진섭 (한국원자력연구원) ,  김건영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사용후핵연료 심층처분장 처분공에 설치된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가 처분공 내벽에 형성된 굴착손상영역 불연속면 내로 침투하는 현상을 보다 더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이 개발되었다. 이 모델에서는 압축 벤토나이트의 침투를 평행 평판 암반 절리을 통한 Bingham 유체의 이동으로 가정한다. 개발된 모델에 의해 벤토나이트의 침투현상을 분석한 결과, 암반 절리를 통해 압축 벤토나이트가 침투하는 최대 깊이는 포화 압축 벤토나이트의 팽윤압과 암반 절리의 폭에 비례하며, 압축 벤토나이트의 항복강도에 반비례하였다. 압축 벤토나이트의 점도는 압축 벤토나이트의 침투 속도를 좌우하나, 최대 침투깊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mathematical model to simulate more realistically the penetration of compacted bentonite buffer installed in the deposition hole into the discontinuity in the excavation damaged zone formed at the inner wall of the deposition hole in the geological repository for spent fuel is developed. In this m...

주제어

표/그림 (1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벤토나이트의 함량이 아주 높은 압축 벤토나이트는 항복강도라 불리는 문턱 값(threshold value) 이하의 전단응력에서는 고체처럼 거동하여 전단이 일어나지 않다가, 항복강도 이상의 전단응력이 가해지면 점성유체(viscous flow)로 거동하는 Bingham 유체의 특성을 가질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처분공에 설치된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가 지하수에 의해 포화된 후, 팽윤에 의해 처분공 내벽에 존재하는 손상영역 불연속면 내로 침투하는 현상을 평행 평판 암반 불연속면을 통한 Bingham 유체의 이동으로 모사하고자 한다.
  • 심층처분장 처분공에 설치된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가 처분공 내벽에 형성된 손상영역의 불연속면 내로 침투하는 현상을 모사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였다. 암반 불연속면 내로 벤토나이트가 침투하는 현상을 모사하기 위해 제안된 기존 모델을 조사하여, 그 특성과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처분공에 설치된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가 처분공 내벽에 형성된 손상영역에 존재하는 불연속면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조사하고, 이 현상을 모사하기 위해 제안된 기존모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심층처분장 처분공 내벽에 형성된 손상영역 불연속면과 완충재의 특성에 따른 압축 벤토나이트의 침투거리와 침투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정량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처분공에 설치된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가 처분공 내벽에 형성된 손상영역에 존재하는 불연속면으로 침투하는 현상을 조사하고, 이 현상을 모사하기 위해 제안된 기존모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심층처분장 처분공 내벽에 형성된 손상영역 불연속면과 완충재의 특성에 따른 압축 벤토나이트의 침투거리와 침투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정량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Bingham 유체 모델에서는 처분공 내벽에 포화 압축 벤토나이트의 팽윤압이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한다. 실제 처분공에서 손상영역의 불연속면 내로 침투하는 벤토나이트의 양은 처분공에 존재하는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총량에 비해 매우 작으므로, 손상영역의 불연속면 입구에 가해지는 벤토나이트의 팽윤압이 일정하다고 가정하여도 큰 무리가 없다.
  • 그러나 불연속면 내로 침투하는 매질의 상태 변화에 따른 물성 변화를 모두 고려하여 모델링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질공학적 문제에서 전 응력장(stress field)에서 매질의 물성이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 모델에서도 불연속면 내로 침투하는 벤토나이트의 마찰각이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Birgersson et al., 2009; Borgesson et al., 2018).
  • = 0) 지점에서, 벤토나이트의 침투가 중지된다. 벤토나이트의 밀도가 감소하면 점도도 감소하나, 수학적 모델링을 용이하게 만들기 위하여 불연속면 내로 침투하는 벤토나이트의 점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Poiseuille 방정식은 정상상태(steady state) 에 있는 뉴턴 유체의 층류흐름에서 압력 강하(pressure drop)를 나타내는 식이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벤토나이트의 침투깊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실제 이 식을 사용하여 암반 불연속면 내로의 압축 벤토나이트의 침투깊이를 추정한 사례가 없다.
  • 손상영역의 불연속면에서 흐르는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유로 중앙 부분에는 Fig. 4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벽면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전단응력의 변화가 없이 고체처럼 거동하는 직경이 2 Z인 경화플러그(stiff plug)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플러그 주위를 소성유동대(plastic flow zone)가 둘러싸고 있으며, 암반 불연속면을 통해 흐르는 압축 벤토나이트의 흐름은 층류(laminar flow)라고 가정한다(Gustafson et al., 2013). 손상영역의 불연속면 내에서는 x 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의 유속이 영이고, 부피요소(volume element) dx dy dz 를 고려하면 부피요소에서 질량과 운동량이 보존되어야 하므로 정상상태(steady state)의 비압축성 층류 (laminar flow)의 연속방정식(equation of continuity)과 Navier Stokes 방정식은 식 (11)과 같이 간단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Bird, 2002).
  • 그러나 불연속면 내로 침투하는 매질의 상태 변화에 따른 물성의 변화를 모두 고려하여, 모델링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지질공학적 문제에서 응력장(stress field) 전체에서 매질의 물성이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도 손상영역 불연속면 내로 침투하는 압축 벤토나이트의 항복강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하였다.
  • 이 확산방정식의 경계조건으로, 침투한 벤토나이트 전단(front)의 함수비가 벤토나이트의 액성한계와 같다고 가정하였다. 식 (6)을 이용하여 암반 불연속면 내로 벤토나이트 겔이 침투하는 현상을 모사한 결과, 벤토나이트의 침투속도가 지나치게 크게 나타났으며, 이는 소성체인 압축 벤토나이트를 뉴턴 유체로 가정한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처분공에 설치된 KJ-I 포화벤토나이트는 건조밀도가 1.6 Mg/m3으로 위에 기술한 MX-80 벤토나이트의 건조밀도인 1.78 Mg/m3보다 작고, 지하수로 완전히 포화되었기 때문에 수분흡입력이 9 MPa보다 낮을 것이 확실하므로, 항복강도가 위에서 기술한 건조밀도 1.78 Mg/m3, 수분흡입력 9 MPa인 MX-80 벤토나이트의 항복강도 값보다 작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pted, M.J., R. Arthur, D. Bennett, D. Savage, G. Sallfors and H. Wennerstrom, 2010. Buffer erosion: An overview of concepts and potential safety consequences. SSM Report 2010:31, Swedish Radiation Safety Authority, Stockholm, Sweden. 

  2. Asada, M. and S. Horiuchi, 2005, High-density bentonite slurry for seepage barrier, J.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17, 178-187. 

  3. Bird, R., W. Stewart, and E, Lightfoot, 2002, Transport Phenomena, Wiley. 

  4. Birgersson, M., L. Borgesson, M. Hedstrom, O. Karnland, and U. Nilsson, 2009, Bentonite erosion, Final report,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mpany, TR 09-34, Svensk Karnbranslehantering AB. 

  5. Borgesson, L., M. Hedstrom, M. Birgersson, and O. Karnland, 2018, Bentonite swelling into fractures at conditions above the critical coagulation concentration,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mpany, TR 17-11, Svensk Karnbranslehantering AB. 

  6. Cho, W.J., J.O. Lee, and S. Kwon, 2012,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hydraulic conductivity and swelling pressure of Kyungju Ca-bentonite for use as a clay-based sealing material for a high-level waste repository,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44, 89-102. 

  7. Grindrod, P., M. Peletier, and H. Takase, 1999, Mechanical interaction between swelling compacted clay and fractured rock and the leaching of clay colloids, Engineering Geology, 54, 159-165. 

  8. Gustafson, G. and H. Stille, 1996, Prediction of groutability from grout properties and hydrological data, Tunne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11, 325-332. 

  9. Gustafson, G. and H. Stille, 2005, Stoping criteria for cement grouting, Felsbau, 23, 62-68. 

  10. Gustafson, G., J. Claesson, and A. Fransson, 2013, Steering parameters for rock grouting, J. of Applied Mathematics, Vol. 2013, Article ID 269594. 

  11. Hassler, L., 1991, Grouting of rock - Simulation and classification, Ph D. Thesis, Dept. of Soil and Rock Mechanics, KTH Stockholm, Sweden. 

  12. Hiemenz, P., 1986, Principles of Colloid and Surface Chemistry, Marcel Dekker, NY. 

  13. Kanno, T., K. Matsumoto, and H. Sugino, 1999, Evaluation of extrusion and erosion of bentonite buffer, Proc. 7th Int. Conf. on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Remediation. 

  14. Kanno, T. and Y. Iwata, 2004, Study on model for bentonite buffer intrusion (II),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itute, JNC TJ8400 2003-083 (in Japanese). 

  15. Kobayashi, S. and H. Stille, 2007, Design for rock grouting based on analysis of grout penetration, Verification using Aspo HRL data and parameter analysis,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mpany, R-07-13, Svensk Karnbranslehantering AB. 

  16. Komine, H., 2004, Simplified evaluation for swelling characteristics of bentonites, Engineering Geology, 71, 265-279. 

  17. Kwon, S., Lee, C.S., Cho, S.J., Jeon, S.W., Cho, W.J., 2009. An investigation of the excavation damaged zone at the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Tunn. Undergr. Space Technol. 24, 1-13. 

  18. Lee, C., 2012, Characterization of Thermal-Mechanical Behavior of Rock Mass in the Excavation Damaged Zone at KURT.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C., S. Kwon, J.W. Choi and S. Jeon, 2011, An Estimation of the Excavation Damaged Zone at the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21(5), 359-369. 

  20. Lloret, A., M. V. Villar, M. Sanchez, A. Gens, X. Pintado, and E. E. Alonso, 2003, Mechanical behaviour of a heavily compacted bentonite under high suction changes, Geotechnique, 53, 27-40. 

  21. Moreno, L., I. Neretnieks, and L. Liu, 2010, Modelling of erosion of bentonite gel by gel/sol flow,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mpany, TR 10-64, Svensk Karnbranslehantering AB. 

  22. Neretnieks, I., L. Liu, and L. Moreno, 2009, Mechanisms and models for bentonite erosion,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mpany, TR 09-35, Svensk Karnbranslehantering AB. 

  23. Park, S. and S. Kwon, 2017, Status of Researches of Excavation Damaged Zone in Foreign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ies Constructed for Developing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Techniques, Explosives and Blasting, 35(3), 31-54. 

  24. Pusch, R., 1983, Stability of bentonite gels in crystalline rock- physical aspects, Swedish Nuclear Fuel and Waste Management Company, TR 83-04, Svensk Karnbranslehantering AB. 

  25. SKB, Svensk Karnbranslehantering AB, 2010, Choice of Method - Evaluation of Strategies and Systems for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 Report P-10-47. 

  26. Svoboda, J., 2013, The experimental study of bentonite swelling into fissure, Clay Minerals, 48, 383-389. 

  27. Tanai, K. and K. Matsumoto, 2008, A study of extrusion behavior of buffer material into fractures, Science & Technology Series No 334, 57-64. 

  28. Tang, A., Y. Yui, and N. Barnel, 2008, Thermo-mechanical behaviour of a compacted swelling clay, Geotechnique, 58, 45-54. 

  29. Yui, Y., A. Tang, L. Qian, W. Yei, and B. Chen, 2011, Thermo-mechanical behaviour of compacted GMZ bentonite, Soils and Foundations, 51, 1065-10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