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바이오틴 함유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tability of Biotin-containing Nano-liposome 원문보기

大韓化粧品學會誌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46 no.2, 2020년, pp.133 - 145  

양성준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학과) ,  김태양 ((주)코리아나화장품 송파기술연구원) ,  이춘몽 ((주)코리아나화장품 송파기술연구원) ,  이광식 ((주)코리아나화장품 송파기술연구원) ,  윤경섭 (제주대학교 화학.코스메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용해도가 낮은 수용성 활성물질인 바이오틴(biotin)의 안정화 및 용해도 증가를 목적으로 나노리포좀을 활용하였다. 이번 실험을 통해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에 pH가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pH 상승이 바이오틴 활성에 튼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타사이저(zetasizer)로 입자크기, 제타전위(zeta potential) 및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를 측정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입자크기는 평균 100 ~ 250 nm, 제타전위 -80 ~ -30 mV로 나노리포좀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바이오틴 나노리포좀 내의 바이오틴 캡슐화율(capsulation efficiency)을 측정하기 위해 dialysis membrane method (DMM)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를 통해 알지닌을 첨가시킨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이 일반 바이오틴 나노리포좀보다 캡슐화율이 5 배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의 경피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method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cryogenic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cryo - TEM)을 통해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이 잘 형성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본 논문을 통하여 모발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소개된 바이오틴을 약물전달체(drug delivery carrier)인 나노리포좀에 캡슐화시켜 기존의 낮은 용해도 및 석출되는 문제를 보완한 바이오틴 나노리포좀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tilized nano-liposomes for the purpose of stabilizing and increasing the solubility of biotin, a water-soluble active material with low solubility. The particle size, zeta potential, and polydispersity index were confirmed with a nano zetasizer. It was possible to manufacture nano liposo...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때문에 나노 크기의 입자가 포함된 기능성화장품을 사용하면 유효성분이 피부에 보다 깊숙이 흡수 및 전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피부를 통한 유효성분 전달의 방법으로 알려진 나노리포좀의 효과 및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화장품에 사용되는 용해도가 낮은 탈모방지제 성분인 바이오틴을 나노리포좀에 캡슐화 시켜바이오틴의 리포좀에서의 안정성 및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노리포좀은 구성하고 있는 인지질 및 첨가제, 제조 공정 등에 의해서 특성이 많이 달라지므로, 바이오틴이 리포좀에 잘 캡슐화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dialysis membrane method (DMM)를 이용해 바이오틴에 대한 나노리포좀의 캡슐화율(capsulation efficiency)을 평가하였다.
  • 바이오틴 나노리포좀 제조 시 바이오틴이 석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아미노산 알칼리 성분인 알지닌을 첨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pH 측정 결과 알지닌을 첨가한 #4-2와 #4-4에서 pH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바이오틴 나노리포좀 #4-4에서 pH가 5.
  • 본 연구에서는 용해도가 낮은 수용성 비타민인 바이오틴을 약물전달체의 일종인 나노리포좀을 통해 바이오틴의 용해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나노리포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 또한 in vitro franz diffusion cell 실험을 통해 바이오틴의 경피흡수율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안정한 경피흡수 전달체로서 나노리포좀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 Claude, J. Dominique, and D. Roland, Biotin metabolism in plants,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51, 17 (2000). 

  2. S. A. Harris, D. E. Wolf, R. Mozingo, R. C. Anderson, G. E. Arth, N. R. Easton, D. Heyl, A. N. Wilson, and K. Folkers, Biotin. II. synthesis of biotin, J. Am. Chem. Soc., 66(10), 1756 (1944). 

  3. L. J. Goldberg and Y. Lenzy, Nutrition and hair, Clin. Dermatol., 28(4), 412 (2010). 

  4. R. M. Trueb, Serum biotin levels in women complaining of hair loss, Int J Trichology, 8(2), 73 (2016). 

  5. D. P. Patel, S. M. Swink, and L. Catelo-Sccio, A review of the use of biotin for hair loss, Skin Appendage Disord., 3(3), 166 (2017). 

  6. J. M. Yoo, S. Y. Kim, E. Cho, E. Cho, S. Choi, Y. Jeong, B. Ha, and H. J. Chae, Stabilization of astaxanthin using nanoliposome, KSBB J., 25(2), 130 (2010). 

  7. E. J. An, C. K. Kang, J. W. Kim, and B. S. Jin, Lipid-based vesicles as transdermal delivery system, KIC News, 13(4), 24 (2010). 

  8. E. J. Yang, Master's Thesis Dissertation, Konkuk Univ., Seoul, Korea (2003). 

  9. E. Mayhew, R. Lazo, W. J. Vail, J. King, and A. M. Green, Characterization of liposomes prepared using a microemulsifier, Biochim. Biophys. Acta., 775(2), 169 (1984). 

  10. M. S. Park, J. K. Park, G. W. Lee, M. K. Baek, and U. K. Je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aclarubicin liposome using microfluidizer, Yakhak Hoeji, 42(3), 265 (1998). 

  11. D. Carugo, E. Bottaro, J. Owen, E. Strider, and C. Nastruzzi, Liposome production by microfluidics: potential and limiting factors, Sci. Rep., 6, 1 (2016). 

  12. A. Laouini, C. Jaafar-Maalej, I. Limayem-Blouza, S. Sfar, C. Charcosset, and H. Fessi,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s of liposomes: state of the art, J. Colloid Sci. Biotechnol., 1(2), 147 (2012). 

  13. D. H. Bae and J. S. Shin, Silicone nanoemulsion stablized with hydrogenated lecithin, J. Korean. Ind. Eng. Chem., 11(5), 522 (2000). 

  14. Y. Ebato, Y. Kato, H. Onishi, T. Nagai, and Y. Machida, In vivo efficacy of a novel double liposome as an oral dosage form of salmon calcitonin, Drug Dev. Res., 58(3), 253 (2003). 

  15. G. J. Grant, Y. Barenholz, E. M. Bolotin, M. Bansinath, H. Turndorf, B. Piskoun, and E. M. Davidson, A novel liposomal bupivacaine formulation to produce ultralong-acting analgesia, Anesthesiology, 101(1), 133 (2004). 

  16. K. Katayama, Y. Kato, H. Onishi, T. Nagai, and Y. Machida, Double liposomes: hypoglycemic effects of liposomal insulin on normal rats drug, Dev Ind Pharm, 29(7), 725 (2003). 

  17. J. G. Duman, N. J. Pathak, M. S. Ladinsky, K. L. Mcdonald, and J. G. Forte,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cytoplasmic membrane networks in parietal cells, J. Cell. Sci., 115(6), 1251 (2002). 

  18. J. Lee, G. Y. Chi, and J. Lim, Effect of fatty acid on the membrane fluidity of liposomes, Appl. Chem. Eng., 28(2), 177 (2017). 

  19. E. Yilmaz and H. H. Borchert, Design of a phytosphingosine-containing, positively-charged nanoemulsion as a colloidal carrier system for dermal application of ceramides, Eur J Pharm Biopharm, 60(1), 91 (2005). 

  20. Y. P. Patil and S. Jadhav, Novel methods for liposome preparation, Chem. Phys. Lipids., 177, 8 (2013). 

  21. X. R. Shao, X. Q. Wei, S. Zhang, N. Fu, Y. F. Lin, X. X. Cai, and Q. Peng, Effects of microenvironmental pH of liposome on chemical stability of loaded drug, Nanoscale Res. Lett., 12(1), 504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