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수의과대학생의 스트레스 경험 연구
A study on stress experiences of Korean veterinary student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대한수의학회지, v.60 no.2, 2020년, pp.69 - 77  

김재은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주설아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인문사회학교실) ,  천명선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인문사회학교실) ,  이동혁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  남상섭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해부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of a veterinary service depends on the veterinaria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However, a veterinarian's mental health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more vulnerable than that of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As many veterinary students will enter the veterinary profession in near f...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의 신뢰성(credibility)을 높이기 위해 모든 인터뷰 내용은 녹음하여 전사하였으며, 다수의 질적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가 분석내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가 연구 결과를 확인하여 인터뷰 분석 내용이 잘 정리되고 표현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학교 게시판에 전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전이성(transferability)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참여자층이 조사에 참여하도록 하여 심층묘사가 가능하도록 실시하였다.
  • 최근까지 국내 수의대생의 정신건강과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했고, 특히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는 전무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전국 수의대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과 질적 연구를 병행했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학생들의 언어를 통해 특정 상황에서 어떤 스트레스를 받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맥락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였으며[18], 이러한 연구방법은 기존의 설문조사만으로 파악할 수 없던 결과를 도출하여 학생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의 맥락과 개인의 반응, 상호작용을 잘 이해할 수 있게 했다 .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한 수의과대학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요인을 심층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장기적으로 수의학 교육과정에서 스트레스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서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한 수의과대학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의 요인을 심층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장기적으로 수의학 교육과정에서 스트레스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트레스의 정의는? 스트레스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자원의 한계를 넘어, 자신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이 위험하다고 평가되는 상황에서 개인과 환경 간에 나타나는 현상이다[1]. 일반적으로 의학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다른 고등교육을 받는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다고 알려졌다[2].
수의 서비스의 질 제고에 필수적인 것은? 수의사는 동물의 생명을 다루는 업무를 수행하므로 이들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은 수의 서비스의 질 제고에 필수적이다. 수의사 직업군이 정신건강에 있어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은 이미 선행 조사에 의해 알려졌다.
수의과대학생의 교육과정 중 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요인은? 참여자들은 공통적으로 과도한 학습량 때문에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수의학교육과정의 특성상 많은양의 공부를 해야 한다는 것에는 공감하지만 비효율적인 교육과정과 단순 지식전달, 일방통행식의 강의 등 효과적이지 않은 교육 방식으로 학업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있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New York, 1984. 

  2. Firth-Cozens J. Medical student stress. Med Educ 2001;35:6-7. 

  3. Guthrie EA, Black D, Shaw CM, Hamilton J, Creed FH, Tomenson B. Embarking upon a medical career: psychological morbidity in first year medical students. Med Educ 1995;29:337-341. 

  4. Bramness JG, Fixdal TC, Vaglum P. Effect of medical school stress on the mental health of medical students in early and late clinical curriculum. Acta Psychiatr Scand 1991;84:340-345. 

  5. Bartram D, Baldwin D. Mental health and wellbeing survey. Vet Rec 2008;162:868. 

  6. Dahlin M, Joneborg N, Runeson B. Stress and depression among medical students: a cross-sectional study. Med Educ 2005;39:594-604. 

  7. Kim MJ, Park KH, Yoo HH, Park IB, Yim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edical student stress scale in Korea. Korean J Med Educ 2014;26:197-208. 

  8. Vitaliano PP, Russo J, Carr JE, Heerwagen JH. Medical school pressures and their relationship to anxiety. J Nerv Ment Dis 1984;172:730-736. 

  9. Kogan LR, McConnell SL, Schoenfeld-Tacher R. Veterinary students and non-academic stressors. J Vet Med Educ 2005;32:193-200. 

  10. Collins H, Foote D. Managing stress in veterinary students. J Vet Med Educ 2005;32:170-172. 

  11. Chun MS, Nahm SS. Stressors predicting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Korean veterinary students. J Vet Med Edu. In press. 

  12. Henry JD, Crawford JR. The short-form version of the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DASS-21): construct validity and normative data in a large non-clinical sample. Br J Clin Psychol 2005;44:227-239. 

  13. Sinclair SJ, Siefert CJ, Slavin-Mulford JM, Stein MB, Renna M, Blais MA. Psychometric evaluation and normative data for the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cales-21 (DASS-21) in a nonclinical sample of U.S. adults. Eval Health Prof 2012;35:259-279. 

  14. Kim SH, Jeon WT. The failure experiences of medical school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Korean J Med Educ 2008;20:351-362. 

  15. Wang CC. Photovoice: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strategy applied to women's health. J Womens Health 1999;8:185-192. 

  16. Lee WJ, Chang SH. The perception of aging and selfdescription: through research based-photo voice. Glob Soc Welf Rev 2013;3:25-46. 

  17. Lincoln YS. Emerging criteria for quality on qualitative and interpretive research. Qual Inq 1995;1:275-289. 

  18. Creswell JW, Miler DL. Determining validity in qualitative inquiry. Theory Pract 2000;39:124-130. 

  19. Eloit M. The global public good concept: a means of promoting good veterinary governance. Rev Sci Tech 2012;31:585-590, 577-584. 

  20. Accreditation Board of Veterinary Education in Korea, Korean Association of Veterinary Medical College. Final report on veterinary education learning outcom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ejong, 2019. 

  21. Lim EB. Happiness of medical students and tasks in medical education. Korean Med Educ Rev 2011;13:25-37. 

  22. Kim J, Lee K, Hwang WM, Kang J. How to get students actively involved in course development: an experience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mentoring program for medical students. Korean J Med Educ 2013;25:157-165. 

  23. Frei E, Stamm M, Buddeberg-Fischer B. Mentoring programs for medical students--a review of the PubMed literature 2000-2008. BMC Med Educ 2010;10: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