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를 위한 딥러닝 기반 이상 행동 탐지 시스템
Deep Learning-based Abnormal Behavior Detection System for Dementia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21 no.3, 2020년, pp.133 - 144  

김국진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jong Univ.) ,  이승진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jong Univ.) ,  김성중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jong Univ.) ,  김재근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jong Univ.) ,  신동일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jong Univ.) ,  신동규 (Dep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ejong Univ.)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령화로 인해 증가하는 노인 비율만큼이나 치매를 앓는 노인 수 또한 빠르게 늘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발생시킨다. 특히, 간병인의 근무 시간 손실 및 간호 부담으로 인한 의료 비용 증가와 같은 간접비용을 포함하는 치매 관리 비용은 수년에 걸쳐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치매 환자를 돌보기 위한 관리 시스템 도입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상 치매 환자를 돌볼 수 없는 환경이나 독거노인을 관리하기 위한 센서 기반 이상 행동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들은 단지 행동을 인지하거나 정상 행동 여부를 평가하는 정도였고 센서로부터 받은 데이터가 아닌 이미지를 처리하여 행동을 인지한 연구도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데이터 수집에 한계가 있음을 인지하여 비지도 학습 모델인 오토인코더와 지도 학습 모델인 장·단기 기억 모형을 동시에 사용했다. 비지도 학습 모델인 오토인코더는 정상 행동 데이터를 학습하여 정상적인 행동에 대한 패턴을 학습시켰고 장·단기 기억 모형은 센서로 인지 가능한 행동을 학습시켜 분류를 좀 더 세분화했다. 테스트 결과 각각의 모델은 약 96%, 98% 이상의 정확도를 도출하였고 오토인코더의 이상치가 3% 이상을 갖는 경우 장·단기 기억 모형을 통과하도록 설계했다. 이 시스템을 통해 혼자 사는 노인이나 치매 환자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돌보기 위한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is increasing as fast as the proportion of older people due to aging, which creates a social and economic burden. In particular, dementia care costs, including indirect costs such as increased care costs due to lost caregiver hours and caregivers, have grow...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생성된 정상 행동 데이터로 오토인코더 모델을 학습하였으며 라벨링이 진행된 이상 행동 데이터로 장·단기기억 모형(Long Short-Term Memory models) [2]을 학습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성한 데이터를 통해 세 모델을 학습하고 이상 행동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행동들을 일반적인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집하고 오토인코더와 장·단기 기억 모형을 이용하여 이상 행동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두 모델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이상 행동이 라벨링 된 데이터를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 행동 감지 시스템에는 두 종류의 모델을 사용함으로써 각 각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한다.
  • 노인 인구수가 증가할수록 그들을 관리하기 위한 경제적, 사회적 부담이 증가할 것이며 그에 따른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앞에 언급한 사람들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물리적인 관리의 어려움과 그들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노인과 치매환자의 이상 행동을 감지하여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 혹은 시설 등에 부착 가능한 센서를 통해 사람의 이상 행동을 감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센서 데이터를 얻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치매 환자들을 돌보는 요양 시설의 일정표를 참고하여 데이터를 생성했다.

가설 설정

  • - 00:30 ~ 4:30 시간대에 일정 시간 이상 센서가 동작하는 경우 및 다수의 센서가 동작하는 경우 불면이라 가정.
  • - 발생할 수 없는 시간대에 센서가 반복적으로 동작 및 하나 이상의 센서가 다수 동작하는 경우 반복 행동이라 가정.
  • 위와 같이 분류한 이상 행동들 중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고 가정한 이상 행동은 배회 행동/낙상, 불면, 반복 행동이다. 배회 행동이나 낙상의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측정 가능한 밴드를 착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판별 가능하다고 보았고 불면의 경우는 센서가 동작하지 않을 새벽 시간에 다수의 센서 데이터가 발생할 시 판별 가능하다고 가정했다. 반복 행동의 경우는 과식, 약물 과다 복용 등을 포함하고 있는데 시간대에 맞지 않는 센서 발생이나 하나 이상의 센서가 다수 동작하는 경우 판별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 및 병실에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한다고 가정했다. 따라서 우선적으로 연구에 포함한 이상 행동은 불면과 반복 행동이며 이상 행동 데이터 생성 시 두 가지 행동에 대해서만 고려했다.
  • 요양 병원에 있는 노인이나 환자가 그림 4와 같은 일정표에 따라 행동한다고 가정하고 데이터를 생성했다. 이때, 가정한 센서 부착 위치는 문, 창문, 냉장고, 서랍, 보조 침대로 5가지이며 각 센서들은 표 2와 같이 다음 행동을 취할 때 사용된다고 가정했다.
  • 위 사항들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생성하였으며 최대한 실제 데이터와 유사하게 만들기 위해 표 3의 각 스케줄마다 1~10번의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가정했다. 또한 각 행동들은 정의한 가능 행동 번호들 중 랜덤하게 선택했다.
  • 위와 같이 분류한 이상 행동들 중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판별할 수 있다고 가정한 이상 행동은 배회 행동/낙상, 불면, 반복 행동이다. 배회 행동이나 낙상의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가 측정 가능한 밴드를 착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판별 가능하다고 보았고 불면의 경우는 센서가 동작하지 않을 새벽 시간에 다수의 센서 데이터가 발생할 시 판별 가능하다고 가정했다.
  • 요양 병원에 있는 노인이나 환자가 그림 4와 같은 일정표에 따라 행동한다고 가정하고 데이터를 생성했다. 이때, 가정한 센서 부착 위치는 문, 창문, 냉장고, 서랍, 보조 침대로 5가지이며 각 센서들은 표 2와 같이 다음 행동을 취할 때 사용된다고 가정했다. 또한 참고한 일정에 따라 가능한 행동들을 표 3과 같이 정의했다.
  • 이상 행동 데이터는 지도학습 모델을 학습할 때 사용하므로 데이터에 라벨을 부여하였으며 이상 행동 데이터를 만드는 데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가정했다.
  • 일정 개수의 로그 데이터를 모으는 이유는 하나의 로그 데이터만으로는 이상 행동 데이터 여부를 알기 어렵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최소한의 데이터 묶음이 모델의 입력으로 들어가야 일련의 데이터에 대한 이상치가 보다 정확하게 출력될 것이라고 가정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in-na Kim et al., "Global Trends of Dementia Policy 2018", central dementia center (NIDR-1801-0022), 2018. https://ansim.nid.or.kr/community/pds_view.aspx?bid185 

  2. S. Hochreiter & J. Schmidhuber, "Long short-term memory," Neural computation, 9(8):1735-1780, 1997. https://www.mitpressjournals.org/doi/pdf/10.1162/neco.1997.9.8.1735 

  3. G. Singla, D. J. Cook, & M. Schmitter-Edgecombe, "Recognizing independent and joint activities among multiple residents in smart environments," Journal of ambient intelligence and humanized computing 1(1), pp 57-63, 2010.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958106 

  4. P. N. Dawadi, D. J. Cook, & M. Schmitter-Edgecombe, "Modeling patterns of activities using activity curves," Pervasive and mobile computing 28, pp 51-68, 2016.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57411921500173X 

  5. B. Das, D. J. Cook, N. C. Krishnan & M. Schmitter-Edgecombe, "One-class classification-based real-time activity error detection in smart homes,"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 in signal processing 10(5), pp 914-923, 2016.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7421975 

  6. C. Vondrick, H. Pirsiavash & A. Torralba, "Anticipating visual representations from unlabeled video," In Proceedings of the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pp 98-106, 2016. https://arxiv.org/abs/1504.08023 

  7. H. Zhong, J. Shi & M. Visontai, "Detecting unusual activity in video," In Proceedings of the 2004 IEEE Computer Society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004, Vol 2, pp. 1-8, 2004.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1315249/ 

  8. Y. Chen, G. Liang, K. K. Lee & Y. Xu, "Abnormal behavior detection by multi-SVM-based Bayesian network," In 2007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Acquisition, IEEE, pp. 298-303, 2007.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4295746 

  9. R. Mehran, A. Oyama, & M. Shah, "Abnormal crowd behavior detection using social force model," In 2009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IEEE, pp. 935-942, 2009.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5206641/ 

  10. J. Yin, Q. Yang, & J. J. Pan, "Sensor-based abnormal human-activity detection,"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20(8), pp. 1082-1090, 2008.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4358934 

  11. Y. X. Hung, C. Y. Chiang, S. J. Hsu & C. T. Chan, "Abnormality detection for improving elder's daily life independent,"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homes and health telematics, Springer, Berlin, Heidelberg, pp. 186-194, 2010. https://link.springer.com/chapter/10.1007/978-3-642-13778-5_23 

  12. A. Gaddam, S. C. Mukhopadhyay, & G. S. Gupta, "Elder care based on cognitive sensor network," IEEE Sensors Journal 11(3), pp. 574-581, 2010. https://ieeexplore.ieee.org/abstract/document/5483132/ 

  13. P. Baldi, "Autoencoders, unsupervised learning, and deep architectures," In Proceedings of ICML workshop on unsupervised and transfer learning, pp. 37-49, 2012. https://dl.acm.org/citation.cfm?id3045796.3045801 

  14. P. Vincent, H. Larochelle, I. Lajoie, Y. Bengio, & P. A. Manzagol, "Stacked denoising autoencoders: Learning useful representations in a deep network with a local denoising criterion,"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11, pp. 3371-3408, 2010. http://www.jmlr.org/papers/volume11/vincent10a/vincent10a.pdf 

  15. D. P. Kingma, & M. Welling, "Auto-encoding variational bayes," arXiv preprint arXive:1312.6114, 2013. https://arxiv.org/abs/1312.6114 

  16. A. Ng, "Sparse autoencoder," CS294A Lecture notes 72, pp. 1-19, 2011. https://web.stanford.edu/class/cs294a/sparseAutoencoder.pdf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