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스템의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포화 수리전도도 추정
A Prediction of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for Compacted Bentonite Buffer in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원문보기

Journal of nuclear fuel cycle and waste technology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18 no.2, 2020년, pp.133 - 141  

박승훈 (한국원자력연구원) ,  윤석 (한국원자력연구원) ,  권상기 (인하대학교) ,  김건영 (한국원자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의 처분은 고심도 암반내에 처분시스템을 구축하는 심층 처분방법이 고려된다. 심층 처분은 처분용기, 완충재, 뒷채움재, 근계암반의 설계 요소인 공학적방벽천연 방벽으로 구성된다. 공학적방벽 중에서 벤토나이트 완충재는 암반으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 흐름을 최소화하고 핵종 유출을 저지하는 기능을 한다. 지하수 유입으로 인한 완충재의 수리전도도 특성 규명은 처분장 공학적방벽의 안정성 및 건전성에 대한 성능 평가에 있어 중요한 사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 벤토나이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건조밀도와 온도 조건에 따라 포화 수리전도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120개의 실험 결과를 다중 회귀 분석을 통해 수리전도도 추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에서는 건조밀도가 커질수록 수리전도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온도가 증가할수록 수리전도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들을 종합한 다중 회귀 분석 결과에서는 수리전도도 추정식의 결정계수(R2)가 0.93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리전도도 추정식은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성능과 연관된 건조밀도와 온도의 영향을 고려하여 처분시스템의 공학적방벽 설계에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geological repository comprises a natural barrier and an engineered barrier system. Its design components consist of canisters, buffers, backfill, and near-field rock. Among the engineered barrier system components, bentonite buffers minimize the groundwater flow from near-field rock and prevent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KJ-Ⅱ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수리-역학적 물성 중 수리전도도에 대한 추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 다. 기존의 KJ-Ⅰ에 대한 수리전도도 측정 및 추정 모델에 관한 연구는 수행된 바 있으나[15], 이들은 실내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KJ-Ⅰ에서만 활용할 수 있는 단순 모델을 제시하였다.
  • 기존의 KJ-Ⅰ에 대한 수리전도도 측정 및 추정 모델에 관한 연구는 수행된 바 있으나[15], 이들은 실내 시험에서 얻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KJ-Ⅰ에서만 활용할 수 있는 단순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조밀도, 온도와 같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KJ-Ⅱ의 수리전도도 시험과 추정 모델에 대한 통계적 검증을 추가하였으며, KJ-Ⅰ과 KJ-Ⅱ의 수리전도도 자료를 통합하여 경주 벤토나이트의 수리전도도에 대한 종합적 추정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 개념에서 사용되는 공학적방벽 완충재 물질 중 하나인 경주 벤토나이트의 수리전도도 물성 평가 및 통계적 기법을 통한 추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벤토나이트 완충재는 처분 용기에 주변 암반으 로부터 유입되는 지하수 흐름을 최소화하는 차수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완충재의 수리적 성능은 공학적방벽의 처분 시스템에서 장기 안정성 및 건전성 측면에서 중요한 인자로볼 수 있다.
  • 이는 XRD (X-ray diffraction)를 이용하여 분석된 벤토나이트 시료에서의 광물 비율 평균치를 의미한다(Table 1). 본 연구에서는 벤토나이트 분말을 이용하여 다양한 건조 밀도 블록을 제작하기 위해 하중 재하 방식의 시료 제작법인 플로팅 다이(Floating Die)법에 따라 시료를 만들었다. 플로팅 다이법은 상하부 하중에 따라 시료를 동시에 압축하여 몰드의 형태에 따라 원하는 시료의 성형이 가능하다[19].
  • 4와 5에서처럼 압축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리전도도는 건조밀도와 온도에 따라 선형 및 비선형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 벤토나 이트의 수리전도도를 종속변수로 결정하고 건조밀도와 온도를 독립변수로 정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통하여 압축 벤토 나이트의 수리전도도를 추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완충재 성능과 연관된 인자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건조밀도와 온도를 이용하여 추정한 회귀 모델이 공학적방벽 처분시스템의 안정성 및 건전성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한 처분 초기 환경이 아닌 지하수에 의한 완전 포화 환경을 고려한 벤토나이 트의 수리전도도 실험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초기 처분 환경 에서의 지하수 유입을 고려하여 완충재 벤토나이트가 완전 포화되기 전의 불포화 정도에 대한 수리전도도의 물성 평가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가설 설정

  • Darcy의 법칙은 매질 입자가 구형이고 균일하며, 포화 다공성 매질에서 층류 (Laminar flow)가 흐를 때의 유체 흐름으로 기술된다. Darcy 의 법칙은 일반적으로 유량과 수리 구배 사이의 선형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가정으로 한다. 이 선형적인 가정은 다공성 매질을 통과하는 유체의 양에서 발생되는 수리 구배가 정비 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층 처분장이란 무엇인가?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한 심층 처분장은 핵연료로부터 발산되는 열과 방사성 핵종의 누출과 같은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안전한 운영이 이루어져야하는 지하 구조 물이다. 심층 처분에서는 처분용기를 이용하여 수 만년 이상의 장기 안전성을 보장하는것이 핵심사항이다.
높은 온도에서의 벤토 나이트의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이유는 무엇인가? 처분 환경에서는 붕괴열에 의한 높은 열 발생이 필연적이기 때문에 완충재 성능 유지를 위해서 많은 국가들에서 완충 재의 최대 허용 온도 범위를 100℃ 이내로 제한해 왔다[8-11]. 이러한 이유로 많은 연구자들은 높은 온도에 노출된 벤토 나이트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
심층 처분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을 처분하기 위한 심층 처분장은 핵연료로부터 발산되는 열과 방사성 핵종의 누출과 같은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안전한 운영이 이루어져야하는 지하 구조 물이다. 심층 처분에서는 처분용기를 이용하여 수 만년 이상의 장기 안전성을 보장하는것이 핵심사항이다. 심층 처분시 스템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추천되는 공학적방벽은 처분용 기(Canister), 완충재(Buffer), 뒷채움재(Backfill), 근계영역 암반(Near-field rock)으로 구성된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S. Kim, S. Kwon, M. Sanchez, and G.C. Cho, "Geological storage of high level nuclear waste", KSCE J. Civ. Eng., 15, 721-737 (2011). 

  2. S. Kwon, W.J. Cho, and J.O. Lee, "An analysis of the thermal and mechanical behavior of engineered barriers in a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Nucl. Eng. Tech., 45, 41-52 (2013). 

  3. J.O. Lee, W.J. Cho, and S. Kwon, "Thermal-hydro-mechanical properties of reference bentonite buffer for a Korean HLW repository", Korea Tunnel. Under. Spac., 21, 264-273 (2011). 

  4. J.O. Lee, H.J. Choi, and G.Y. Kim, "Numerical simulation studies on predicting the peak temperature in the buffer of an HLW repository", Int. J. Heat Mass Transf., 115, 192-204 (2017). 

  5. J.O. Lee, H.J. Choi, G.Y. Kim, and D.K. Cho, "Numer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gap-filling options on the maximum peak temperature of a buffer in an HLW repository", Prog. Nucl. Energy, 111, 138-149 (2019). 

  6. W.J. Cho, "Bentonite barrier material for radioactive waste disposal",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Report. KAERI/GP-535 (2019). 

  7. S. Yoon, J.S. Jeon, G.Y. Kim, J.H. Seong, and M.H. Baik, "Specific heat capacity model for compacted bentonite buffer materials", Annals Nucl. Energy, 125, 18-25 (2019). 

  8. H.J. Choi, J.Y. Lee, S.K. Kim, S.S. Kim, K.Y. Kim. J.T. Chung, M.S. Lee, J.W. Choi, and J.O. Lee, "Korean reference HLW disposal system",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Report, KAERI/TR-3563 (2008). 

  9. J.Y. Lee, D.K. Cho, H.J. Choi, and J.W. Choi, "Concept of a Korean reference disposal system for spent fuels", J. Nucl. Sci. Technol., 44, 1563-1573 (2007). 

  10. J.O. Lee, M.S. Lee, H.J. Choi, J. Y. Lee, and I.Y. Kim,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buffer for an HLW repository: an approach",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Report, KAERI/TR-5824 (2014). 

  11. JNC., "H12 project to establish technical basis for HLW disposal in Japan",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itute, JNC/TN1400-99-020 (1999). 

  12. K.A. Daniels, J.F. Harrington, S.G. Zihms, and A.C. Wiseall, "Bentonite permeability at elevated temperature", Geosic., 7(3) (2017). 

  13. W.M. Ye, M. Wan, B. Chen, and Y.G. Chen, "Temperature effects on the swelling pressure and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compacted GMZ01 bentonite", Environ. Earth Sci., 68, 281-288 (2013). 

  14. S.G. Zihms, and J.F. Harrington, "Thermal cycling: impact on bentonite permeability", Mineral. Mag., 79, 1543-1550 (2015). 

  15. W.J. Cho, J.O. Lee, and K.S. Chun, "The temperature effects on hydraulic conductivity on compacted bentonite", App. Clay Sci., 14, 47-58 (1999). 

  16. R. Lide, "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5th edn., CRC press, New York (1995). 

  17. M.V. Villar, R. Gomez-Espinal, and A. Lloret,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temperature effect on hydro-mechanical behaviours of bentonite", J. Roc. Mech. Geo. Eng., 2, 71-78 (2010). 

  18. S. Yoon, W.H. Cho, C. Lee, and G.Y. Kim, "Thermal conductivity of Korean compacted bentonite buffer materials for a nuclear waste repository", Energies, 11, 2269 (2018). 

  19. J.S. Kim, S. Yoon, W.J. Cho, Y.C. Choi, and G.Y. Kim,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nd field applicability of engineering-scale bentonite buffer in a high-level nuclear waste repository", J. Nucl. Fuel Cycle Waste Technol., 16(1), 123-136 (2018). 

  20. W.Z. Chen, Y.S. Ma, H.D. Yu, F.F. Li, X.L. Li, and X. Sillen, "Effects of temperature and thermally-induced microstructure change on hydraulic conductivity of Boom Clay", J. Roc. Mech. Geotech. Eng., 9, 383-395 (2017). 

  21. W.J. Cho, J.S. Kim, S. Yoon, and G.Y. Kim, "Estimation of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 compated bentonite at elevated temperatur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Report, KAREI/TR-7269 (2018). 

  22. S. Yoon, G.Y. Kim, and M.H. Baik, "A prediction of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for compacted bentonite buffer materials", J. Nucl. Fuel Cycle Waste Technol., 16(3), 339-346 (2018). 

  23. S. Yoon, M.S. Lee, G.Y. Kim, S.R. Lee, and M.J. Kim, "A prediction of thermal conductivity for compacted bentonite buffer in the high-level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J. Korean Geotech. Soc., 33(7), 55-64 (2017). 

  24. Data solution Consulting Team, "SPPS statistics descriptive s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SPSS Data Solution (2013). 

  25. I.H. Lee, "Easy flow regression analysis", Hannarae Publishing Corporation (2014). 

  26. S. Yoon, S.R. Lee, J.Y. Park, J.H. Seong, and H.B. Kang, "A prediction of entrainment growth for debrisflow hazard analysis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 Korean Soc. Hazard Mitig., 15(6), 353-360 (2015). 

  27. G.H. Go, S.R. Lee, S. Yoon, and H.B. Kang, "Design of spiral coil PHC energy pile considering effective borehole thermal resistance and groundwater advection effects", Appl. Energy, 125, 165-178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