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서관법안에 관한 19대 국회 입법과정의 공동발의 네트워크 분석
A Network Analysis of the Library Bill Cosponsorship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of Korea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2, 2020년, pp.1 - 22  

김혜영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박지홍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동발의 네트워크는 법안 공동발의로 형성되는 국회의원 간의 관계를 통해 국회 입법과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제19대 국회 임기기간 중 발의된 도서관법안을 중심으로 공동발의 네트워크 분석과 국회의원 액터중심성 분석 및 키워드 중심 네트워크의 서브그룹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서관법안 공동발의 네트워크는 정당에 따라 분절된 모습을 보였으며, 다른 소속 정당 의원과 근접한 거리에 위치하면서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는 의원들이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키워드중심 네트워크로 재구조화할 경우, 다른 정당 소속 의원들이 동일한 키워드를 공유하면서 서브그룹을 형성함에 따라 정당으로 분절된 네트워크 구조가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서관계 입법활동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당 간 매개적 역할을 하는 의원들을 중심으로 도서관 법안이 아닌 주요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책이슈를 확산하고 공유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egislative cosponsorship network shows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Assembl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formed by cosponsorship. This study focused on the library bill proposed during the 19th National Assembly term, and conducted the cospon...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계 입법과정을 밝히기 위해 도서관 법안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동발의 네트워크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또한 공동발의 네트워크 전체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회의원 액터의 중심성을 분석하고, 제19대 국회의장 재임기간을 기준으로, 국회 임기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네트워크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동발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동적으로 변화하는 도서관계 입법과정의 특성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도서관 입법활동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정당에 따라 분절된 네트워크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법안이 아닌 주요 이슈를 담은 키워드를 중심으로 매개적 역할을 하는 의원들이 정당을 뛰어넘어 적극 공유하도록 하는 기회를 늘려가는 것이 중요하다.
  • 본 연구는 도서관법안 중심으로 형성된 공동발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국회의원 액터에 대한 중심성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후, 키워드중심 공동발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거번-뉴먼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응집성이 강한 서브그룹으로 네트워크를 분할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제19대 국회 임기 기간 중발의된 도서관법안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질문에 따라 공동발의 네트워크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제19대 국회 입법과정에서 발의된 도서관 법안 공동발의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계 국회 입법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앞으로의 도서관 입법활동을 위한 방향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계 입법과정을 밝히기 위해 도서관 법안을 중심으로 형성된 공동발의 네트워크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또한 공동발의 네트워크 전체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회의원 액터의 중심성을 분석하고, 제19대 국회의장 재임기간을 기준으로, 국회 임기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어 네트워크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발의 네트워크의 특징은 무엇인가? 법안 발의(bill sponsorship)는 여러 이슈를 법률로 제정하여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입법활동이다(Woon, 2008). 공동발의 네트워크(cosponsorship network)는 법안 공동발의로 형성되는 국회의원들 간의 관계를 통해 국회 입법환경과 구조를 보여준다. 국회의원의 소셜네트워크는 독특한 동적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입법활동 성과와 생산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Tam Cho & Fowler, 2010).
법안 발의란 무엇인가? 법안 발의(bill sponsorship)는 여러 이슈를 법률로 제정하여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입법활동이다(Woon, 2008). 공동발의 네트워크(cosponsorship network)는 법안 공동발의로 형성되는 국회의원들 간의 관계를 통해 국회 입법환경과 구조를 보여준다.
국회 입법환경과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기존의 선행연구의 특징은 무엇인가? 2010). 기존 연구들은 주로 국회의원의 속성 간 영향관계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거나(예: 김석우, 전용주, 2012; 장임숙, 2017;정희옥, 윤종빈, 박영환, 2016), 각 속성이 법안가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예: 박찬무,장원철, 2017; 서일정, 2018; 이한수, 2016). 입법환경이 점차 복잡하고 다변화됨에 따라, 동적으로 변화하는 입법과정을 파악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론으로 공동발의 네트워크 연구가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Heaney & McClurg,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a, Sangjoon (2014). Has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been polarized?. The Journal of Parliamentary Research, 9(2), 247-272. 

  2. Kwahk, Keeyoung (2014).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Cheongnam. 

  3. National Assembly Secretariat (2016). The 19th National Assembly circular report. 

  4. Kim, Kyong Sik, & Jang, Mi Ran (2014). Social network analysis on the joint submission of sports bill in the 17, 18th National Assembly of Korea and bill adoption.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Sport, 27(2), 1-26. https://doi.org/10.22173/jksss.2014.27.2.1 

  5. Kim, Lanu (2009). The contingency of influence network effect on political voting decision. Korean Journal of Sociology Conference, 2009(12), 1355-1378. 

  6. Kim, Seok Woo & Jeon, Yong Joo (2012).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olitical ideology of the Korean 19th National Assembly members. Journal of Korean Politics, 21(3), 23-44. 

  7. Kim, Ha Young, & Kang, Baddle (2018). Network analysis on joint initiative of legislative process for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in the nineteenth national assembly. Multicultural Education Studies, 11(3), 99-120. https://doi.org/10.14328/MES.2018.9.30.99 

  8. Ryu, Seouk Chun, & Lee, Seoung-su (2016). A legislative cosponsorship network analysis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members. A material on lawmakers' policy debates on ideological reality viewed through the actual state of the bill, May 2, 2016, The Press Center's Chrysanthemum Chamber, Host: Citizen United For Better Society. 

  9. Park, Ja-Hyun, & Song, Min (2013).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using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 7-32. https://doi.org/10.3743/KOSIM.2013.30.1.007 

  10. Park, Chanmoo, & Jang, Woncheol (2017). Cosponsorship network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of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30(3), 403-415. 

  11. Seo, Inseok, Yoon, Byung Sup, & Jo, Ilhyung (2014). Structure and persistiveness of cosponsorship network in legislative process: Application of structural variable and ERGM on the sexual violence prevention act. Korea Public Administration Journal, 23(1), 65-90. https://doi.org/10.22897/kipajn.2014.23.1.003 

  12. Seo, Il-Jung (2018). The impact of network structure on legislative performance in cosponsorship network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8(9), 433-440. https://doi.org/10.5392/JKCA.2018.18.09.433 

  13. Youm, Yoo Sik (2007). A network analysis of the legislative bill adoption in the 16th congress in Korea: the effect of brokerage position in the cosponsorship network at the standing committee of public health and social welfare on the bill adoption. Korean Journal of Law & Society 32, 159-184. 

  14. Lee, Byung Kyu, & Youm, Yoo Sik (2009). Identifying the structure of co-signing networks among the 17th Korean congressmen in the standing committee of health and welfare: By using p-net modeling. Journal of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 29, 33-60. 

  15. Lee, Ji-yeon, Jo, Hyun-joo, & Yoon, Ji Won (2014). Network analysis of legislators and committees based on bills in the 18th and 19th National Assembly,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2), 11-25. https://doi.org/10.14400/JDC.2014.12.2.11 

  16. Lee, Han Soo (2016). Explaining Korean representatives’ sponsorship behavior. Dispute Resolution Studies Review, 14(1), 161-188. https://doi.org/10.16958/drsr.2016.14.1.161 

  17. Chang, Dukjin (2011). Policy Network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of Korea: An analysis of co-sponsorship and friendship ties. Korean Party Studies Review, 10(2), 157-187. 

  18. Jang, Im Sook (2017). The current situation of migration policy and characteristics of proposer. Contemporary Society and Multiculture, 7(1), 48-76. 

  19. Jeong, Hoi Ok, Yoon, Jong Bin, & Park, Young Hwan (2016). The effect of legislators Individuallevel factors on legislative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and Communication, 19(1), 243-274. https://doi.org/10.15617/psc.2016.02.19.1.243 

  20. Choi, Hyung Wook, Choi, Ye-jin, & Nam, So-Yeon (2018). Time series analysis of intellectual structure and research trend change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03 to 2017.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5(2), 89-114. https://doi.org/10.3743/KOSIM.2018.35.2.089 

  21. Han, Seunghee (2019). An analysis of news trends for libraries in Korea: Based on 1990-2018 News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6(3), 7-36. https://doi.org/10.3743/KOSIM.2019.36.3.007 

  22. Aleman, E. (2015). Coauthorship ties in the colombian congress, 2002-2006. Colombia International, 83(83), 23-42. https://doi.org/10.7440/colombiaint83.2015.02 

  23. Borgatti, S. P. (2002). Netdraw network visualization. Analytic Technologies: Harvard, MA. 

  24. Borgatti, S. P., Everett, M. G., & Johnson, J. C. (2013). Analyzing social networks. CA: Sage Publications. https://doi.org/10.1080/10705422.2016.1209400 

  25. Fowler, J. H. (2006a). Connecting the Congress: A study of cosponsorship network. Political Analysis, 456-487. https://doi.org/10.1093/pan/mpl002 

  26. Fowler, J. H. (2006b). Legislative cosponsorship networks in the US house and senate. Social Networks, 28(4), 454-465. https://doi.org/10.1016/j.socnet.2005.11.003 

  27. Heaney, M. T., & McClurg, S. D. (2009). Social networks and American politic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American Politics Research, 37(5), 727-741. https://doi.org/10.1177/1532673X09337771 

  28. Tam Cho, W. K., & Fowler, J. H. (2010). Legislative success in a small worl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he dynamics of congressional legislation. The Journal of Politics, 72(1), 124-135. https://doi.org/10.1017/S002238160999051X 

  29. Woon, J. (2008). Bill sponsorship in congress: The moderating effect of agenda positions on legislative proposals. The Journal of Politics, 70(1), 201-216. https://doi.org/10.1017/S0022381607080140 

  30. Yang, S., Keller, F. B., & Zheng, L. (2016).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examples. CA: Sage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