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 생성 도서정보 태그에 기반한 소설 검색의 패싯 유형 개발
Developing Facets for Fiction Retrieval Based on User-generated Book Tag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2, 2020년, pp.225 - 249  

심지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설 검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서태그로부터 소설 이용자가 소설 탐색 상황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패싯 요소를 식별하고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의 기본 패싯 체계를 랑가나단의 PMEST 기본 패싯에 기반하여, 1) 소설 자료를 형성하는 주체, 2) 소설을 구성하는 내용적, 외형적 성질, 3) 독자가 책과 상호작용하는 행위, 4) 소설 및 독서활동과 관련된 공간 정보, 5) 소설 및 독서활동과 관련된 시간 정보로 정의하고, 소설 7,174건에 부여된 약 31만 건의 태그 중 핵심 태그 3,730건을 선별하여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설 패싯의 상위범주 25개를 중심으로 다양한 속성을 체계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서관 OPAC이나 소설 DB에 패싯 내비게이션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systematize various facet elements required by users in fiction search situations from book tags to improve the fiction search environment. Based on the Ranganathan's PMEST formula, the basic facet system of the fiction was defined as 1) the personality t...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대량의 도서태그 컬렉션으로부터 용어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각 태그의 의미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특정 속성(예, 인물, 지리적 위치, 시간, 조직, 장소 등)에 대응되는 태그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분류할 수 있는 개체명 인식(Named-Entity Recognition, 이하 NER) 기법 적용을 시도한다. 궁극적으로 소설 독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전형적인 요구 유형을 식별하고, 검색에 주로 관여하는 요소를 파악하여 체계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도서검색 환경에서 이용자 요구 맥락을 반영한 지적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해, 도서에 대한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가 표현된 도서 태그를 기반으로 소설 고유의 ‘패싯(facet)’ 유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는 소설 검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도서태그로부터 소설 이용자가 소설 탐색 상황 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패싯 요소를 식별하고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연구 에서는 자료의 속성을 표현하고, 구조화하는 데 효과적인 랑가나단의 패싯 개념을 소설의 특성과 관련지어 해석하여 도서태그 분석에 적용하였다.
  • 본 연구는 소설검색에서의 이용자들의 요구를 도서태그 데이터를 통해 식별하기 위해, 소설 관련 도서태그 수집을 기본으로 한다. 다수의 독자를 지닌 소설을 선별하는 한편, 도서 태깅 활동이 활발한 영어권 사회적 목록 플랫폼을 대상으로 하기 위해, 소설 저작의 표집틀 (sampling frame)을 영미권 고전과 현대 소설의 정선된 목록인 Fiction Core Collection(Wilson, 2016)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소수 이용자 샘플로 인한 한계를 해결하고, 색인자의 주관을 가능한 배제하기 위해, 다수의 이용자 관점이 자연스럽게 반영된 대량의 도서태그 데이터를 사용한다. 또한, 태그 용어가 지닌 모호성을 해결하고, 이용자의 이용 맥락을 추출하기 위해 자료의 속성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며(Broughton, 2006), 주제 접근성을 높이는 데 유용한 것으로 여겨져 온(Chung, 2014) 패싯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이용자 태그의 의미를 식별하고 구조화한다.
  • 태그 내에 서의 관계를 설정해주어 태그의 의미를 명확하게 해주는 방법(예, 김동숙, 정연경, 2010)과 통제어휘 체계를 사용하여 태그의 의미적 제어를 하는 방법(예, 이승민, 2011) 등이 제안된 바 있다. 본 연구는 자료 고유의 특성과 이용자와 관련된 맥락 정보 표현에 유용한 전자의 방식을 기본으로 하되, 대량의 도서태그 컬렉션 으로부터 용어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각 태그의 의미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특정 속성(예, 인물, 지리적 위치, 시간, 조직, 장소 등)에 대응되는 태그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분류할 수 있는 NER 기법을 적용하여 후자의 방식도 절충하는 형태로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7,174개의 소설에 부여된 전체 31만여 건에 달하는 자연어 상태의 도서태그 데이터를 의미 단위로 결합하고, 방대한 태그 집합 내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소설 이용자 들에게 부여받은 핵심 도서태그를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꾀하였다. 먼저 자연어 상태의 도서태그 데이터들을 의미 단위로 결합하기 위해, 자연어 처리에서 많이 사용하는 두 가지 자연어 처리 기법인 대소문자 통일 (case folding)과 원형복원(lemmatization)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소설 색인연구에서 주목해온 소설 콘텐츠와 이용자의 요구에 기반한 소설 고유의 요소 식별에 주목한다. 특히, 웹 2.
  • 본 연구에서는 랑가나단의 PMEST 패싯을 인물, 사건, 배경을 중심으로 서사구조를 지닌 소설의 속성에 잘 부합한다고 보고, 소설 검색의 패싯 유형을 개발하는 데 기본 구조로 삼았 다( 참고).
  •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태그 데이터를 일관되고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전체 태그 데이터 집합에서 핵심 태그 집합을 선별하였으며, 소설 검색의 패싯 유형을 구분하는 내용분석을 하기 이전에, NER 기법을 적용하여 자동으로 유사한 패턴이 발견되는 태그들을 초벌 분류하 였다. 이러한 방식은 향후 유사한 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으리라 본다.
  • 이는 ‘직업’ 패싯이 유달리 호주 문화권의 이용자들에 의해 탐색 접근점으로써 의미가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는 내용으로 검색 상황에서 이용자 관점을 분석하고 적용할 필요성을 역설하는 예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많은 이용자로부터부터 선택 받은 용어를 소설의 구조적인 속성을 추출하는데 사용하여 현상에 기반한 지적 접근점을 구현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 본 연구는 도서검색 환경에서 이용자 요구 맥락을 반영한 지적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해, 도서에 대한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가 표현된 도서 태그를 기반으로 소설 고유의 ‘패싯(facet)’ 유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도서태그 관련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여겨져 왔으며, 공공도서관의 이용요구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소설 장르로 한정하여, 소설검색에 특화된 패싯 유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웹 정보 검색 환경에서 지적 접근점을 제공하는 데 유용한 개념으로 주목받아 온 랑가나단의 PMEST 기본 패싯을 기반으로, 내용분석을 통해 소설 고유의 패싯 속성을 추출하고 의미 관계를 체계화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소설 색인연구에서 주목해온 소설 콘텐츠와 이용자의 요구에 기반한 소설 고유의 요소 식별에 주목한다. 특히, 웹 2.0 환경 이후 등장한 도서태그 데이터 분석 연구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단순한 요소 식별이 아닌 요소 간의 관계를 체계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설 색인은 어떻게 발전해왔는가? 이용자의 소설 탐색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가장 근본적인 노력은 소설 색인이다. 소설 색인은 정보조직과 검색 연구에서 꾸준히 논의되어 온 주제로(Saarti, 2019), 전통적인 정보조직체계에서 소설 콘텐츠 자체가 지닌 요소(예, 주제, 플롯, 등장인물, 시간적 배경 등)에 초점을 맞추었던 것과 더불어 다양한 이용자 연구를 통해 소설 이용자의 다양한 해석과 관계된 요소 (예, 저자의 의도, 내용을 읽고 이해하기 쉬운 정도(readability), 내용에 대한 감상 등)를 파악하고 체계화하는 것으로 발전하여왔다. 소설 콘텐츠의 요소를 파악하고 체계화하는 방식은 기존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소설 콘텐츠 고유의 요소를 구성하거나 소설 자료에 특화된 분류체계를 만드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Pejtersen, 1997).
웹 2.0 환경에서 이용자가 생성한 도서정보 태그를 통해 무엇이 가능해졌는가? 웹 2.0 환경에서 이용자가 생성한 도서정보 태그(이하 도서태그)는 도서 자체에 대한 기술과 묘사는 물론, 전통적인 도서조직 체계에서 표현할 수 없었던 도서와 독자와의 상호작용 내용 표현이 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다. 또한, 도서태그의 주제 표현 기능도 여러 연구를 통해 주제명표목표를 보완하는 도구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Wu, He, Qiu, Lin, & Liu, 2013).
NER 기법을 사용해 도서태그들의 개체명 유형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초벌 분류를 먼저 수행하는 이유는? 데이터 분석은 핵심 도서태그 데이터로 선정된 3,730개의 도서태그를 대상으로 NER 기법을 사용하여 도서태그들의 개체명 유형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초벌 분류를 먼저 수행하였다. 이는 대량의 도서태그 컬렉션으로부터 특정 속성에 대응되는 태그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분류하기 위함이다. NER을 통한 초벌 분류 과정에서는 두 가지 방식을 결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im, Dong-Suk, & Chung, Yeon-Kyoung (2010).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ibrarything folksonomy tags through the analysis of elements related with 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7(1), 41-60. https://doi:10.3743/KOSIM.2010.27.1.041 

  2. Lee, Seungmin (2011). Construction of folksonomy tag framework using bibliographic reco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2), 185-207. https://doi:10.4275/KSLIS.2011.45.2.185 

  3. Adkins, D., & Bossaller, J. E. (2007). Fiction access points across computer-mediated book information sources: A comparison of online bookstores, reader advisory databases, and public library catalog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29(3), 354-368. https://doi:10.1016/j.lisr.2007.03.004 

  4. Atdag, S., & Labatut, V. (2013). A comparison of named entity recognition tools applied to biographical texts. Paper presented at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and Computer Science, Villeneuve d'Ascq, France. https://doi.org/10.1109/icconscs.2013.6632052 

  5. Bartley, P. (2009). Book tagging on LibraryThing: How, why, and what are in the tag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6(1), 1-22. https://doi:10.1002/meet.2009.1450460228 

  6. Broughton, V. (2006). The need for a faceted classification as the basis of all methods of information retrieval. Aslib Proceedings, 58(1-2), 49-72. https://doi:10.1108/00012530610648671 

  7. Chung, Y. K. (2014). A study on varieties of subject access and usabiliti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subject heading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4), 171-185. https://doi:10.14699/kbiblia.2014.25.4.171 

  8. Desrochers, N., Laplante, A., Martin, K., Quan-Haase, A., & Spiteri, L. (2016). Illusions of a "Bond": Tagging cultural products across online platforms. Journal of Documentation, 72(6), 1027-1051. https://doi:10.1108/jd-09-2015-0110 

  9. Elson, D. K., & McKeown, K. R. (2010). Automatic attribution of quoted speech in literary narrative. Paper presented at the Twenty-Fourth AAAI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Atlanta, Georgia, USA. 

  10. Flick, U. (2019). An introduction to qualitative research (18th ed.). Los Angeles: Sage. 

  11. Golder, S. A., & Huberman, B. A. (2006). Usage patterns of collaborative tagging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2(2), 198-208. https://doi:10.1177/0165551506062337 

  12. Holsti, O. R. (1969). Content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MA: Addison-Wesley Pub. Co. 

  13. Iosif, E., & Mishra, T. (2014). From speaker identification to affective analysis: A multi-step system for analyzing children's stories.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3rd Workshop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for Literature, Gothenburg, Sweden. https://doi.org/10.3115/v1/w14-0906 

  14. Lawson, K. G. (2009). Mining social tagging data for enhanced subject access for readers and researcher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5(6), 574-582. https://doi:10.1016/j.acalib.2009.08.020 

  15. Lu, C. M., Park, J. R., & Hu, X. H. (2010). User tags versus expert-assigned subject terms: A comparison of LibraryThing tags and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6(6), 763-779. https://doi:10.1177/0165551510386173 

  16. Manning, C. D., Surdeanu, M., Bauer, J., Finkel, J. R., Bethard, S., & McClosky, D. (2014, June). The Stanford Core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oolkit. Paper presented at the 52nd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System Demonstrations, Stroudsburg, PA. https://doi.org/10.3115/v1/p14-5010 

  17. Morbhead, D. R., Pejtersen, A. M., & Rouse, W. B. (1984). The value of information and computer-aided information seeking: Problem formulation and application to fiction retrieval.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20(5-6), 583-601. https://doi:10.1016/0306-4573(84)90075-X 

  18. Nadeau, D., & Sekine, S. (2007). A survey of named entity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Lingvisticae Investigationes, 30(1), 3-26. https://doi:10.1075/li.30.1.03nad 

  19. Pejtersen, A. M. (1980). Design of a classification scheme for fiction based on an analysis of actual user-librarian communication, and use of the scheme for control of librarian's search strategies. In O. Harboe & L. Kajberg (Eds.), Theory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Research (pp. 146-159). London: Mansell. 

  20. Pejtersen, A. M. (1997). Subject access to Scandinavian fiction literature: Index methods and OPAC development. Copenhagen: Nordic Council of Ministers. 

  21. Pejtersen, A. M., & Austin, J. (1983). Fiction retrieval: experiment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search system based on users’ value criteria (part 1). Journal of Documentation, 39(4), 230-246. https://doi:10.1108/eb026750 

  22. Pejtersen, A. M., & Austin, J. (1984). Fiction retrieval: experimental design and evaluation of a search system based on users’ value criteria (part 2). Journal of Documentation, 40(1), 25-35. https://doi:10.1108/eb026755 

  23. Ranganathan, S. R. (1967). Prolegomena to library classification (3rd ed.). Bombay; New York: Asia Publishing House. 

  24. Saarti, J. (1999). Fiction indexing and the development of fiction thesauri.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31(2), 85-92. https://doi.org/10.1177/096100069903100203 

  25. Saarti, J. (2019). Fictional literature, classification and indexing. Knowledge Organization, 46(4), 320-332. https://doi:10.5771/0943-7444-2019-4-320 

  26. Satija, M. (2017). Reviews of Concepts in Knowledge Organization. Knowledge Organization, 44(4), 291-307. https://doi:10.5771/0943-7444-2017-4-291 

  27. Smith, T. (2007). Cataloging and you: Measuring the efficacy of a folksonomy for subject analysis. Paper presented at the 18th workshop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pecial Interest Group in Classification Research, Milwaukee, WI. 

  28. Solomon, P. (1997). Access to fiction for children: A user-based assessment of options and opportunities. Information Services & Use, 17(2), 139-146. https://doi.org/10.3233/isu-1997-172-308 

  29. Wilson, H. W. (2016). Fiction Core Collection (18th ed.). Ipswich, Massachusetts: Grey House Publishing, Inc. 

  30. Wu, D., He, D. Q., Qiu, J., Lin, R. N., & Liu, Y. (2013). Comparing social tags with subject headings on annotating books: A study comparing the information science domain in English and Chinese.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9(2), 169-187. https://doi:10.1177/0165551512451808 

  31. Yu, L., & O'Brien, A. (1997). Constructing references from the book to the reader in fiction searching, an experiment on the construction of information cues from the reading context approach. Information Services & Use, 17(2-3), 187-199. https://doi.org/10.3233/isu-1997-172-31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