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헌정보학 분야 정보격차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Digital Divide'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37 no.2, 2020년, pp.333 - 352  

강인서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  김혜진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에서 다뤄지는 정보격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문헌정보학관련 4개 학술지에서 발행한 195편의 논문을 수집하고, 해당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대상(11개 하위 범주), 연구목적(4개 하위 범주), 연구방법(4개 하위 범주)로 코딩하였다. 이것을 저자 키워드와 함께 패스파인더 알고리즘을 적용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취약계층(연구대상) 중 장애인, 다문화가정, 고령자에 대한 연구가 79.5%로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격차, 장애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다문화, 고령자 등에 대한 정보취약 실태와 해소방안을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정보취약 해소효과, 정보취약의 영향요인을 목적으로 한 연구는 고령자, 독서치료,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독서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례연구 또는 설문조사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digital divide'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o this end, we coded research subjects with 11 subcategories, and research objectives with 4 subcategories, and research methods with 4 subcategories, and constructed keyword networks to which a path...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에서 정보격차에 대해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즉, 정보격차의 대상, 연구목적, 연구방법을 정량적으로 분석·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문헌정보학분야에서의 정보격차에 대한 논의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정책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조용완(2007)은 장애인, 고령자, 이주민, 농어촌 거주자, 도시 저소득층 등 정보취약계층의 정보격차 및 해소를 위해 국내 공공도서관들이 어떤 활동을 하고있는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58개의 국내 공공도서관을 표본으로 홈페이지 게시물을 분석하여,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 해소 활동은 양적·질적으로 상당히 빈약하고, 국외 정보취약계층 도서관 서비스 관련 지침에 비해 미진함을 밝혀냈고, 사서들의 인식 개선, 자료 제작, 정보기기의 효율적 구입 방안 등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 본 연구는 앞서 기술한 선행연구와 달리 정보격차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정보격차연구의 대상(정보취약계층), 연구목적, 연구방법 등의 분석기준을 제시하고, 이 기준들이 포함된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가시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문헌정보학의 ‘정보격차’ 관련 논문들의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이를 기초로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에 필요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에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취약 실태와 해소방안을 목적으로 한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5%로 특정 계층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격차, 장애인,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다문화, 고령자 등에 대한 정보취약 실태와 해소방안을 목적으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정보취약 해소효과, 정보취약의 영향요인을 목적으로 한 연구는 고령자, 독서치료, 정보화교육, 정보활용, 독서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에 국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보격차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함께 사례연구 또는 설문조사를 동시에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격차문제가 국가나 국제적 차원에서 논의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과 사회, 국가의 경쟁력은 지식과 정보를 얼마나 보유하고 접근할 수 있으며 활용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 산업사회에서 재화의 ‘부익부, 빈익빈'이 심각한 문제였던 것처럼 정보화 사회에서는 정보의 ‘부익부, 빈익빈'이 사회 양극화를 초래하고, 분리된 계층을 고착화하는 중대한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여러 가지 이유로 정보접근이 상대적으로 제한되거나, 개선되기 어려운 정보환경으로 인해 발생되는 정보격차는 국가 및 국제적 차원에서 해소 노력이 요구된다.
정보격차란 무엇인가? 정보격차는 ‘한 국가나 사회의 구성원이 지리·경제·교통·통신·신체·연령적 조건으로 인하여 정보에 접근 및 활용할 수 있는 기회와 능력에서의 차이’(윤희윤, 2012)를 의미한다. 『도서관법』 제8장 지식정보격차의 해소 조항의 근거는 『국가정보화 기본법』으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법으로 정하고 있으며(윤정옥,곽동철, 심경, 2012), 『도서관법』 제43조에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도서관의 책무가 명시되어 있고, 『도서관법시행령』제21조에서는 장애인, 수급권자, 노인, 농어촌의 주민 등을 ‘지식정보취약계층'으로 규정하고,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들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서비스개발 및 제공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im, Yu-Mi (2007). A study on the solution of the digital divide for information disadvantaged groups. Dept. of Electric Government,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stration Hanyang University. http://www.riss.kr/link?idT11212905&outLinkK 

  2. Noh, Young-hee, & Chang, Ro-sa (2019).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information poor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3(3), 63-82. http://dx.doi.org/10.4275/KSLIS.2019.53.3.063 

  3. Library Information Policy Committee (2019). 2019-2023 The 3rd library development plan. Seoul: Library Information Policy Committee. 

  4. Suh, Yi-Joung (2000). Structuring the digital information gap and socializing it. Information Society and Media, 2, 68-87. 

  5. Seo, Hyung-Jun, & Myeong, Seung-Hwan (2016). Research trends and issues on digital divide: Focusing on Korean journals. Korean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9(4), 151-187. 

  6. Son, Mon-Cheol, & Kim, Young-Kyu (1886). A study on the library service for the visually disabled person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3, 29-58. 

  7. Oh, Cheol-Ho (2009). Evaluation research on information: An empirical review. Informatization Policy, 16(4), 3-26. http://dx.doi.org/10.4275/KSLIS.2019.53.3.063 

  8. Yoon, Cheong-Ok, Kwack, Dong-Chul, & Shim, Kyung (2012). A study on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po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4), 189-206. http://dx.doi.org/10.4275/KSLIS.2012.46.4.189 

  9. Yoon, Hee-Yoon (2012). Strategies of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for vulnerable class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53-75. http://dx.doi.org/10.16981/kliss.43.2.201206.53 

  10. Lee, Myung-Jin, & Park, Ki-Tae (2009). The issue change of digital divide studies and its implication. Informatization policy, 16(3), 3-17. 

  11. Lee, Seong-sin, Kang, Bo-ra, & Lee, Se-na (2019). A study on the information divide research trends: Comparative analysis of LIS fields and other social science field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0(3), 139-166. http://dx.doi.org/10.16981/kliss.50.201909.139 

  12. Lee, Eun-Chul, & Sim, Hyo-Jung (2008). Basic study for analysis of public libraries contribution for resolving the gap in knowledge and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309-325. http://dx.doi.org/10.4275/KSLIS.2008.42.2.309 

  13. Lee, Jae-Yun (2006). A study on the network generation methods for examining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knowledge domai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2), 333-355. http://dx.doi.org/10.4275/KSLIS.2006.40.2.333 

  14. Lee, Jae-Yun (2013). A comparison study on the weighted network centrality measures of tnet and WN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4), 241-264.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4.241 

  15. Jong, So-Yun, & Yu, Pyong-Jun (2014). Analysis on e-participation research trend in Korea. Informatization Policy, 21(2), 3-23. http://dx.doi.org/10.22693/NIAIP.2014.21.2.003 

  16. Jo, Sun-Goo, Noh, Young, & Jung, Hae-Yong (2005). The study on the expention program of digital opportunity for information disadvantaged groups. Korea Digital Policy Society, 239-252. 

  17. Cho, Yong-Wan (2007). Analysis of the activities of public libraries for closing the information divid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167-186. http://dx.doi.org/10.16981/KLISS.38.4.200712.167 

  18. Choi, Choong-Hyun, & Lee, Geo-Yeon (2013).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divide in Korea and the countermeasure.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33, 81-88. 

  19. Korea Computerization Agency (2000). 2000 National informatization white paper, Yongin: Korea Computerization Agenc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