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마이데이터 활성화를 위한 미국, 유럽 마이데이터 비교 연구
Comparison of MyData Use Among the U.S., Europe, and the Korean Government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1 no.2, 2020년, pp.183 - 201  

이명호 (상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셜 데이터, 공공 데이터, 개인정보 등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개인정보를 활용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미국, 유럽에서는 마이데이터에 대한 정책이 시도되고 있으며 2019년 국내에서도 마이데이터가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마이데이터 발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미국, 유럽의 마이데이터를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호환 및 데이터 품질 측면에서 발전 방향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ervices utilizing various data such as social data, public data, and personal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United States and the Korean government are working in various ways to utilize My Data. In 2019,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n Korea intends to expa...

주제어

표/그림 (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의 마이데이터인 스마트 공시는 데이터를 어떤 형식으로 제공하는가? 미국 정부는 국가과학기술 자문위원회의 ‘스마트 공시(Smart disclosure)’ 라는 제도를 통해 개인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명한(smart)한 선택을 하도록 돕고 있다. 스마트 공시는 소비자가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도록 사용자가 사용하기 유리한 데이터 형식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학, 제품 리콜, 병원 및 의사 품질, 광대역 서비스, 항공사 성과 및 기기의 에너지 효율성에 대한 데이터를 게시한다.
2018년도 금융위원회가 마이데이터(MyData)를 발표한 배경은 무엇인가? 빅데이터 시대에 개인정보에 대한 관리 및 활용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김혜빈, 신원, 신상욱 2020). 복잡하고 다양한 금융 상품을 소비자가 합리적인 선택을 하도록 개인정보에 대한 관리 및 분석이 필요하다. 2010년 이래로 신용조회사, 핀테크 업체 등이 주도가 되어 제한적인 개인정보 조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신용정보조회 산업은 소비자들의 신용관리에 대한 인식 제고, 인터넷 뱅킹, 다양한 모바일 페이먼트의 급증으로 신용조회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핀테크 사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정보의 주체인 개인이 본인의 개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소비 형태 위험성향 등 개인정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개별 소비자의 금융상품 추천 등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2018년도 금융위원회가 마이데이터(MyData)를 발표하였다.
마이데이터는 어떤 서비스인가? 이러한 시도 중 한 가지가 개인 정보를 활용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이데이터(MyData)이다. 마이데이터는 개인 정보에 대한 권한을 개인에게 주고 개인에게 적절한 금융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이다. 한국도 2019년 하반기에 금융 분야에서 마이데이터를 시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im, Gihwan and Sangoh Yoon. 2015. "Should Personal Data Always be Protected?: Comparison of Personal Data Utilization Policies in Foreign Countrie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18(3): 65-93. 

  2. Kim, Seo-An and Inho Lee. 2019. "The Right to Data Portability in the EU and the US and It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Chung-Ang Law Association, 21(4): 271-309. 

  3. Kim, Sunho, Jinwoo Lee, and Changsoo Lee. 2017. "Evalution model for open data quality." [NIA] Policy, 24(1): 30-47. 

  4. Kim, Young-ho and In-Seok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Protection Policy to Prevent the Misuse of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nitoring Personal Information Misuse in Financial Compan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9(6): 1437-1446. 

  5. Kim, Hyebin, Weon Shin, and Sang Uk Shin. 2020. "A Decentralized Copyright Management Model using Mydata Concept." Journal of Kora Multimedia Society, 23(2): 262-273. 

  6. Park, So-Yeon, Jun-ho Bang, In-ho Ryu, and Tae-hyeong Kim. 2019. "The Prediction of Photovoltaic Power Using Regression Models Based on Weather Big-data and Sensing Data."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68(12): 1662-1668. 

  7. Park, Hyoju, Jae-eun Jung, and Jinhong Yang. 2019. "A Study on Active User Consent to Obtaining and Processing Personal Data-Based on the Types and Conditions of Consent in EU GDPR."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44(12): 2352-2361. 

  8. Sun, Jong-chun and In-seok Kim. 2020. "Improvement of Selective Consent Method in the Collection Process of Personal Informa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25(1): 123-134. 

  9. Son, young hoa and soo jin Son. 2019. "Korean Companies Response to the EU 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s(GDPR)." The Jounal of Comparative Private Law, 26(1): 413-452. 

  10. Song, Mi-Jung and In-Seok Kim. 2019. "A Study on Privacy Protection in Financial Mydata Policy through Comparison of the EU's PSD2."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29(5): 1205-1219. 

  11. Song, Seokhyun, Samyoul Lee, Yeol Shin, and Jaiyong Lee. 2017.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s Open Government Data Policy: Ecosystem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Associas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20(4): 1-34. 

  12. Song, Seokhyun. 2018. "Innovation of open data." Paper presented at the 2018 at the Korean Associastion for Regional Information Society, 37-51. 

  13. Yoon, Sangoh, and Jiwoo Hyun. 2019. "Issues and Suggestions on Open data." The Korea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33(1): 219-247. 

  14. Lee, Giyoung. 2019. "Privacy and management issues on big data utiliz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7(1): 32-39. 

  15. Jung, Sungho and Deokhun Jung.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s in Data Quality of Public Organizations."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2(4): 251-266. 

  16. Jung, Ilyoung, Jiyeon Kim, Gaeun Kim, Seokkwan Kim, and Byungsam Choi, 2019. "Issues on Europ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GDPR." STEPI Insight, 23(3): 1-30. 

  17. Jung, Chulhee and Myongwon Lee. 2010. "An Exchangeable Data Format for Character Animation."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23): 87-96. 

  18. Choi, Bomi, Sangmi Chai, MinKyun Kim, and Yeonjeong Kang. 2018. "A Study of Development Plan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GDPR Perspective."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43(2): 416-426. 

  19. Han Eok-Soo. 2018. "A Study on Public Data Opening Status and Utilization Policy." Paper presented at the The Korea Contents Society, 77-78. 

  20. Chen, B., Duan, X., Yu, Z., Leng, S., Yu, L., and McCollough, C. 2015. "Technical Not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open data format for CT projection data." Medical Physics, 4212: 6964-6972. 

  21. Richard, T. and W. Tucker. 2013. "Smarter Information, Smarter Consumers." Harvard Business Review, 91(1): 44-54. 

  22. Sayogo, D. S., J. Zhang, T. A. Pardo, G. K. Tayi, J. Hrdinova, D. F. Andersen, and L. F. Luna-Reyes. 2014. "Going Beyond Open Data: Challenges and Motivations for Smart Disclosure in Ethical Consumption."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9(2): 1-6. 

  23. Sayogo, D. S., T. A. Pardo, and P. Bloniarz. 2014. "Information flows and smart disclosure of financial data: A framework for identifying challenges of cross boundary information sharing."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1: S72-S83. 

  24. Thaler, R. and W. Tucker. 2013. "Smarter Information, Smarter Consumers." Harvard Business Review, 91(1): 44-54. 

  25. 금융위원회. 2018. 금융분야 마이데이터 산업 도입방안 [online]. [cited 2020.1.15]. . 

  26. Data.Gov. 2020. Smart Disclosure Policy [online]. [cited 2020.3.10]. . 

  27. DataGov. 2020. Data.Gov [cited 2020.4.10]. . 

  28. Dekkers, M., N. Loutas, M. Keyzer, and S. Goedertier. 2013. "Open Data and Metadata Quality." Open Data Support [online]. [cited 2020.1.20]. . 

  29. Department of Health Care Services. 2019.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 Accountability Act [online]. [cited 2020.2.14]. . 

  30.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Council. 2013. Smart disclosure and consumer decision making: report of the task force on smart disclosure [online]. [cited 2020.2.15]. . 

  31. Hausenblas, M. 2012. 5 ${\bigstar}$ OPEN DATA [online]. [cited 2020.2.14]. . 

  32. Howard, A. 2012. What is smart disclosure? [online]. [cited 2020.2.17]. . 

  33. Orszag, P. 2009. Open Government Directive [online]. [cited 2020.2.19]. . 

  34. Vollmer, N. 2018. Recital 68 EU GDPR [online]. [cited 2020.3.14]. . 

  35. World Wide Web Foundation. 2020. Open Data Barometer [online]. [cited 2020.4.4].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