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상용 식품의 요오드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와 이를 활용한 한국 성인의 요오드 섭취량 및 배설량 평가: 2013-2015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이용하여
Revision of an iodine database for Korean foods and evaluation of dietary iodine and urinary iodine in Korean adults using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3, 2020년, pp.271 - 287  

최지연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주달래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영양실) ,  송윤주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인의 상용 식품에 대한 요오드 데이터베이스를 개정하고, 버전을 달리하여 한국인의 요오드 섭취수준을 평가하였으며, 배설량을 이용하여 섭취량과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요오드 데이터베이스는 기존의 Han 등 [2]의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최신의 참고문헌들을 활용하여 개정하였다. 요오드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상용 식품 목록에 분석값, 문헌값, 대체값, 결측값 등의 우선순위 순서로 요오드값을 적용하였고, 분석값은 총 166개 (19.4%), 문헌값 318개 (37.2%), 대체값 총 247개 (28.9%), 결측값 124개 (14.5%)이었다. 대체값은 레시피나 수분함량을 고려하여 계산하거나 유사식품들의 일반값을 생성하여 사용하였고, 일반값 생성 시 평균값과 최솟값을 선정하여 버전 1과 2로 구분하였다. 한국 성인의 요오드 섭취 수준 평가는 제6기 국건영을 활용하였고, 요오드 섭취량의 중앙값은 전체의 경우 352.1 ㎍/일이었고 남자는 400.8 ㎍/일이며, 여자는 389.0 ㎍/일이었다. 이는 버전 2과 비교하여 조금 높았지만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전체 요오드 섭취량에 대한 식품군별 기여도의 경우 해조류 55.7%, 절임 채소류 16.0%, 우유 및 유제품류 6.9%이었고 버전 2에서도 순서는 동일하였다. 해조류 섭취 여부에 따라 해조류 섭취군과 미섭취군으로 나누어 평가한 결과, 해조류 섭취군의 요오드 섭취량의 중앙값은 495.7 ㎍으로 미섭취군의 241.2 ㎍보다 약 2배 이상 높았다. 해조류의 분석값 차이에 따른 요오드 섭취량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세부 버전을 사용하였고, 버전 1_1을 이용하였을 때의 요오드 섭취량의 중앙값은 478.1 ㎍으로 버전 1의 요오드 섭취량의 중앙값은 495.7 ㎍에 비해 낮았다. 요오드 섭취수준 평가는 해조류 미섭취군에서는 평균 필요량 (95 ㎍/일)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남자 8.8%, 여자 8.1%로 높게 나왔고, 해조류 섭취군에서는 상한섭취량 (2,400 ㎍/일) 초과하여 섭취하는 비율이 남자 8.0%, 여자 6.3%로 높게 나타났다. 요오드 섭취량과 배설량 간의 상관성을 소변 요오드 배설량과 소변 속 크레아티닌의 비율을 이용하였고 섭취량과의 회귀계수는 버전 1은 0.11718, 버전 2는 0.11512이었고 모두 유의적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p < 0.0001). 이상의 결과에서 요오드 데이터베이스를 개정하고 데이터베이스 버전에 따라 한국의 요오드 섭취수준을 파악하였고, 해조류 섭취가 한국인의 주요한 급원 식품이었으며, 해조류 섭취 시 요오드 섭취의 과잉이, 해조류 미섭취 시 요오드 섭취의 부족이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요오드 데이터베이스의 지속적인 개정과 관리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되고, 해조류 섭취 유무에 따른 요오드 섭취의 교육자료나 영양 프로그램 자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요오드 섭취와 연관성이 높은 갑상선 관련 질환과의 연구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Variations in the iodine contents of foods is critical for estimating the iodine intake. This study aimed to update the iodine database of common Korean foods and evaluated the iodine intake in Korean adults. Methods: A list of 855 Korean foods was selected for the updated iodine databas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최신 참고문헌들과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기존의 요오드 데이터베이스를 개정하고자 하며, 데이터베이스의 변이 특성을 반영하여 버전을 나누어 한국 성인의 요오드 섭취 및 배설 수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Jeong HJ, Kim BH, Song YJ, Lee JE. Nutrition in public health. Paju: Yangseowon; 2013. 

  2. Han MR, Ju DL, Park YJ, Paik HY, Song YJ. An iodine database for common Korean food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iodine intake and thyroid disease in Korean adults. Int J Thyroidol 2015; 8(2): 170-182. 

  3. Imaeda N, Kuriki K, Fujiwara N, Goto C, Tokudome Y, Tokudome S. Usual dietary intakes of selected trace elements (Zn, Cu, Mn, I, Se, Cr, and Mo) and biotin revealed by a survey of four-season 7-consecutive day weighed dietary records in middle-aged Japanese dietitians. J Nutr Sci Vitaminol (Tokyo) 2013; 59(4): 281-288. 

  4. Mancini FR, Rajaobelina K, Dow C, Habbal T, Affret A, Balkau B, et al. High iodine dietary intake is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among women of the E3N-EPIC cohort study. Clin Nutr 2019; 38(4): 1651-1656. 

  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R).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9th ed. Jeonj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7. 

  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R).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9.1th ed. Jeonj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9. 

  7. Vandevijvere S, Lin Y, Moreno-Reyes R, Huybrechts I. Simulation of total dietary iodine intake in Flemish preschool children. Br J Nutr 2012; 108(3): 527-535. 

  8. Carriquiry AL, Spungen JH, Murphy SP, Pehrsson PR, Dwyer JT, Juan W, et al. Variation in the iodine concentrations of foods: considerations for dietary assessment. Am J Clin Nutr 2016; 104 Suppl 3: 877S-887S. 

  9. Ershow AG, Skeaff SA, Merkel JM, Pehrsson PR. Development of databases on iodine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Nutrients 2018; 10(1): 100. 

  10. Kang TS, Lee JH, Leem DG, Seo IW, Lee YJ, Yoon TH, Lee JH, Lee YJ, Kim YJ, Kim SG. Monitoring of iodine in foods for estimation of dietary intake. Cheongwon: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2012. 

  11. Zywicki RS, Sullivan DM, Bao L, Bolong W, Boyd M Jr, Chen SY, et al. Determination of total iodine in infant formula and adult/pediatric nutritional formula by inductively coupled plasma-mass spectrometry (ICP-MS): collaborative study, final action 2012.15. J AOAC Int 2015; 98(5): 1407-1416. 

  12. Park KS, Yang JY, Kim SH, Lee JY. Study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iodine in seaweed. Seoul: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5. 

  13. NSW Multicultural Health Communication Service. Warning to Pregnant and Breastfeeding Women: Seaweed Soup [Internet]. Gladesville: NSW Multicultural Health Communication Service; 2012 Nov 12 [cited 2020 Jan 4]. Available from: https://www.mhcs.health.nsw.gov.au/publications/9120. 

  14. Ko YM, Kwon YS, Park YK. An iodine database establishment and iodine intake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1998-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2017; 50(6): 624-644.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1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3).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17. Katagiri R, Asakura K, Sasaki S, Hirota N, Notsu A, Miura A, et al. Estimation of habitual iodine intake in Japanese adults using 16 d diet records over four seasons with a newly developed food composition database for iodine. Br J Nutr 2015; 114(4): 624-634. 

  18. Kim S, Kwon YS, Kim JY, Hong KH, Park YK. Association between iodine nutrition status and thyroid disease-related hormone in Korean adul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 (2013-2015). Nutrients 2019; 11(11): 2757. 

  19. Kim JY, Kim KR. Dietary iodine intake and urinary iodine excretion in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s. Yonsei Med J 2000; 41(1): 22-28. 

  20. Kim JY, Moon SJ, Kim KR, Sohn CY, Oh JJ. Dietary iodine intake and urinary iodine excretion in normal Korean adults. Yonsei Med J 1998; 39(4): 355-362. 

  21. Gunnarsdottir I, Gunnarsdottir BE, Steingrimsdottir L, Maage A, Johannesson AJ, Thorsdottir I. Iodine status of adolescent girls in a population changing from high to lower fish consumption. Eur J Clin Nutr 2010; 64(9): 958-964. 

  22. Combet E, Bouga M, Pan B, Lean ME, Christopher CO. Iodine and pregnancy - a UK cross-sectional survey of dietary intake, knowledge and awareness. Br J Nutr 2015; 114(1): 108-117. 

  23. Combet E, Lean ME. Validation of a shor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pecific for iodine in U.K. females of childbearing age. J Hum Nutr Diet 2014; 27(6): 599-605. 

  24. McAfee AJ, Mulhern MS, McSorley EM, Wallace JM, Bonham MP, Faure J, et al. Intakes and adequacy of potentially important nutrients for cognitive development among 5-year-old children in the Seychelles Child Development and Nutrition Study. Public Health Nutr 2012; 15(9): 1670-1677. 

  25. Dahl L, Johansson L, Julshamn K, Meltzer HM. The iodine content of Norwegian foods and diets. Public Health Nutr 2004; 7(4): 569-576. 

  26. Tsubota-Utsugi M, Imai E, Nakade M, Matsumoto T, Tsuboyama-Kasaoka N, Nishi N, et al. Evaluation of the prevalence of iodine intakes above the tolerable upper intake level from four 3-day dietary records in a Japanese population. J Nutr Sci Vitaminol (Tokyo) 2013; 59(4): 310-316. 

  27. Zimmermann MB, Andersson M. Assessment of iodine nutrition in populations: past, present, and future. Nutr Rev 2012; 70(10): 553-570. 

  28. Baldini E, Virili C, D'Armiento E, Centanni M, Ulisse S. Iodine status in schoolchildren and pregnant women of Lazio, a central region of Italy. Nutrients 2019; 11(7): 1647. 

  29. Kim HI, Oh HK, Park SY, Jang HW, Shin MH, Kim SW, et al. Urinary iodine concentration and thyroid hormone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5. Eur J Nutr 2019; 58(1): 233-240. 

  30. Katagiri R, Asakura K, Uechi K, Masayasu S, Sasaki S. Iodine excretion in 24-hour urine collection and its dietary determinants in healthy Japanese adults. J Epidemiol 2016; 26(12): 613-621. 

  31. Nerhus I, Odland M, Kjellevold M, Midtbo LK, Markhus MW, Graff IE, et al. Iodine status in Norwegian preschool children and associations with dietary iodine sources: the FINS-KIDS study. Eur J Nutr 2019; 58(6): 2219-2227. 

  32. Lee JY. Iodine analysis method establishment and content monitoring of food. Seoul: Global Health Car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6. 

  33. Kim BH, Kim CI, Choi SH. Development of nutrient database - 3. Mineral composition of foods -.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3. 

  34. Moon SJ, Kim JY, Chung YJ, Chung YS. The iodine content in common Korean foods. Korean J Nutr 1998; 31(2): 206-212. 

  3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 Jeonju: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3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Food value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9. 

  37. Chang NS, Cho YW, Kim WJ. Iodine intake and excretion of the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 Korean J Nutr 1994; 27(10): 1037-10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