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MPI-2-RF로 살펴본 불안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와 우울장애 공병 환자군의 임상적 특성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mong Anxie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nd Co-morbid of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with MMPI-2-RF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1, 2020년, pp.1 - 7  

이주연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준호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은경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불안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공병으로 지닌 환자군의 심리적 특성을 탐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 법 2017년 1월부터 2019년 5월까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 및 입원하여 심리평가를 진행한 환자들 중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혹은 임상심리사에 의해 DSM-5에 근거하여 불안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공병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참가자들이 실시한 MMPI-2를 연구자들이 RF로 변환한 뒤 SPSS를 활용하여 집단 간 차이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결 과 MMPI-2-RF의 결과 EID, RC2, HLP, SAV, INTR-r가 공병 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또한 BXD, RC4, JCP, AGGR-r가 우울 집단에서 가장 높았다. 결 론 공병 집단은 단일 집단에 비하여 낮은 긍정 정서와 무력감 등과 같은 우울 증상,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과 같은 내면화 증상이 더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 집단은 불안 집단과 공병 집단에 비해 분노감과 공격성과 같은 외현화 증상이 더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mparis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mong Anxiety disorder, Depressive disorder, and Co-morbid of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ve disorder. Methods : Since January, 2017 to May, 2019,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불안장애군, 우울장애군,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공병으로 지니는 공병 장애군의 MMPI-2-RF 특성에서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전반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우울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분노감을 보인 것은 스스로에 대한 내적인 분노감이 일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우울장애와 불안장애 집단,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를 공병으로 지닌 환자 집단의 MMPI-2-RF 특성을 비교하며 각 집단의 환자군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 연구에 포함된 불안장애 집단, 우울장애 집단,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를 공병으로 지니는 집단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세 집단 사이에 연령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 하지만 단독 불안집단이 배재된 채 단독 우울 집단과 우울과 불안 공병 집단간의 차이만을 밝혔고, 추후 MMPI-2의 몇몇 척도들에서 나타나는 낮은 변별 타당도와 지나치게 이질적인 문항들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이에, 이러한 문제점을 수정하여 타당도를 향상시킨 최신판의 미네소타 다면적 인성검사 II 재구성판(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RestructuresdForm, MPI-2-RF)이 개발되었으나17) 이를 활용한 연구가 불충분한 바, 본 연구에서는 MMPI-2-RF를 활용하여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를 공병으로 지닌 환자군의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reud가 내린 우울의 정의는? 24-27) 또한 사회 불안 환자들은 분노를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혀졌다.28) 이와 달리 Freud29)는 우울은 자신을 향하는 분노감이라고 정의 내렸고, 실제 Cautin 등30)의 연구에서 외부로표출되는 분노감보다 내부를 향하는 억제된 분노감이 우울감과 더 큰 연관성을 지닌다고 밝혀졌다. 전반적으로 볼 때, 본 연구에서 우울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분노감을 보인 것은 스스로에 대한 내적인 분노감이 일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우울증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이유는? 4,5) 이처럼 우울장애와 불안장애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서로 유사한 증상을 공유하는 바, 진단 상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또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우울장애와 불안장애가 공존할 경우 단일 질환을 지니고 있는 경우보다 우울 및 불안 증상이 심각해질 뿐만 아니라 사회적 및 일상생활 기능 수준이 저하되고, 다양한 신체적 고통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11) 아울러 우울장애를 동반한 불안장애 환자들은 SSRI 계열 약물치료 효과가 미흡하고 치료에서 중도 탈락될 비율이 높은 등 빈약한 치료적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12-14) 전반적으로 볼 때, 불안장애와 우울장애가 동반 이환되면서 진단 상의 혼란뿐만 아니라, 추후 나타나는 증상의 심각도와 예후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긍정적인 치료적 효과 및 예후를 위해, 우울장애와 불안장애가 공존하는 환자군의 임상적 특징들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는 정확한 진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불안장애가 만성적으로 지속되면서 환자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불안증상과 우울증상은 높은 상관율을 보일 뿐만 아니라, 불안장애와 우울장애는 주의집중 문제, 정신운동성 긴장과자율신경계 반응 등과 같은 공통 증상들을 공유하면서 16~62%의 높은 공존율을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1-3) 또한 불안장애가 만성적으로 지속됨에 따라 흥미나 즐거움의 상실, 슬픔 등과 같은 전형적인 우울장애의 증상을 함께 동반하고, 우울장애 환자들도 불안장애 환자들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신체생리학적 증상을 함께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4,5) 이처럼 우울장애와 불안장애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서로 유사한 증상을 공유하는 바, 진단 상의 어려움을 초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YS, Jung SH. Differentiation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developmental aspect.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6;35;86-95. 

  2. Park YN. Shared characteristics of depressive and anxiety disorders.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3;9:118-128. 

  3. Brady EU, Kendall PC. Comorbidity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ological bulletin 1992;111:244. 

  4. Kwon SM.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their commonness and difference in related life events and cognitions. Psychological Science 1996;5:13-38. 

  5. Jeon EY, Lee DH, Lee JL, Kim SH. MMPI-2 profile differences between depressive disorders and anxiety disorders. Korea J Couns 2013;14:555-572. 

  6. Clark DA, Beck AT, Stewart BL. Cognitive specificity and positive-negative affectivity: complementary or contradictory views on anxiety and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990;99:148. 

  7. O'Neil KA, Podell JL, Benjamin CL, Kendall PC. Comorbid depressive disorders in anxiety-disordered youth: demographic, clinic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2010;41:330-341. 

  8. Tyrer P, Seivewright H, Simmonds S, Johnson T. Prospective studies of cothymia (mixed anxiety-depression): how do they inform clinical practice?.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001;251:53-56. 

  9. Scott KM, Bruffaerts R, Tsang A, Ormel J, Alonso J, Angermeyer MC, Gasquet I. Depression-anxiety relationships with chronic physical conditions: results from the world mental health survey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7;103:113-120. 

  10. Clayton PJ, Grove WM, Coryell W, Keller M, Hirschfeld R, Fawcett J. Follow-up and family study of anxious depression. Am J Psychiatry 1991;148:1512-1517. 

  11. Coryell W, Endicott J, Winokur G. Anxiety syndromes as epiphenomena of primary major depression: outcome and familial psychopathology.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992. 

  12. Fava M, Uebelacker LA, Alpert JE, Nierenberg AA, Pava JA, Rosenbaum JF. Major depressive subtypes and treatment response. Biological Psychiatry1997;42:568-576. 

  13. Brown C, Schulberg HC, Madonia MJ, Shear MK, Houck PR. Treatment outcomes for primary care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and lifetime anxiety disorder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1996. 

  14. Ballenger JC. Clinical guidelines for establishing remission in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anxiety.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1999;60;29-34. 

  15. Gerhardt CA, Compas BE, Connor JK, Achenbach TM. Association of a mixed anxiety-depression syndrome and symptom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999;28:305-323. 

  16. Basso MR, Lowery N, Ghormley C, Combs D, Purdie R, Neel J, Bornstein R. Comorbid anxiety corresponds with neuropsychological dysfunction in unipolar depression. Cognitive Neuropsychiatry 2007;12:437-456. 

  17. Ben-Porath YS, Tellegen A.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Restructured Form.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2008. 

  18. Hathaway S, Mckinley J. Manual for administering and scoring the MMPI.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1943. 

  19. Han KH, Moon KJ, Lee JY, Kim JH.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2 Restructured Form Manual. Maumsarang; 2011. 

  20. Tabachnick BG, Fidell LS, Ullman JB.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Vol. 5). Boston, Pearson;2007. 

  21. Barlow DH, Durand VM. Abnormal psychology: an integrated approach. Cengage Learning;1995. 

  22. Zinbarg RE, Barlow DH, Liebowitz M, Street L. The DSMIV field trial for mixed anxiety-depressi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1994. 

  23. Fava M, Rush AJ, Alpert JE, Carmin CN, Balasubramani GK, Wisniewski SR, Shores-Wilson K. What clinical and symptom features and comorbid disorders characterize outpatients with anxious major depressive disorder: a replication and extension.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2006;51:823-835. 

  24. Posternak MA, Zimmerman M. Anger and aggression in psychiatric outpatients.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02. 

  25. Fava M, Anderson K, Rosenbaum JF. " Anger attacks": possible variants of panic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s.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1990. 

  26. Fava M, Rosenbaum JF, Pava JA, McCarthy MK, Steingard RJ, Bouffides E. Anger attacks in unipolar depression, Part 1: clinical correlates and response to fluoxetine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993;150:1158-1163. 

  27. Fava M, Rosenbaum JF. Anger attack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1999. 

  28. Lee GT, Kim KH, Ahn TH, Kwak SW, Park KA. Mediating effect of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anger expression. Koreanpsychology;2016. p.402. 

  29. Freud S. Mourning and melancholia. In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XIV (1914-1916): On the History of the Psycho-Analytic Movement, Papers on Metapsychology and Other Works;1957. p.237-258. 

  30. Cautin RL, Overholser JC, Goetz P. Assessment of mode of anger expression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Adolescence 2001;36: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