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관점의 융·복합 공간정보 품질관리 방안 연구
A Quality Management Model for Consumer-oriented Spatial Information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50 no.1, 2020년, pp.47 - 62  

최재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은형 (가천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융·복합 공간정보의 수요와 활용에 증가에 따라 요구되는 사용자 관점의 품질 확보를 위한 품질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융·복합 공간정보의 수요와 활용이 증가함에 따라 품질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으나 생산자 위주의 일방적인 품질관리는 융·복합 활동에 있어 중요한 사용자의 요구는 반영하기 어려웠다. 공간정보의 양적 성장에 따른 품질관리 대상의 폭발적인 증가는 사용자 관점 품질 반영의 시간, 비용적 한계점을 문제점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이런 한계점의 보완을 위해 본 논문은 공간정보의 특징인 관계성계층 구조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융·복합 공간정보는 관계성에 따라 서로 품질에 영향을 준다. 이를 이용하여 품질핵심 레이어를 선정하고 이 공간정보에 사용자 관점 품질관리를 하여 점진적으로 관계된 공간정보들의 사용자 관점 품질을 확보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에 국가공간정보센터의 수집된 융·복합 공간정보를 대상으로 품질핵심 레이어를 선정하고 절차의 진행을 서술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demands and applications of spatial information increase, different aspects of quality management have been raised as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suggests a quality management method for consumer-oriented spatial information, providing the consumer satisfaction. As opposed to the demands menti...

주제어

표/그림 (2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Figure 8로 정리한 내용과 같이 2장에서 언급한 Knowledge 수준의 융·복합 공간정보는공통적인 품질 깊이가 아닌 고유적인 품질 깊이를 요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 관점의 품질관리 방안을 마련하여 해당 공간정보의 고유적 품질을 확보하고자 한다.
  • 하지만 앞서 2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융·복합 공간정보는 생산 시 서로 관계를 가지고 있고 이 관계는 관련된 융·복합 공간정보들의 모든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품지관리 대상이 되는 공간정보 중 다른 공간정보와 가장 많은 관계를 가지고 있거나 다른 공간정보의 기준이 되는 공간정보를 품질 핵심 Layer로 보고 이를 통한 품질관리로 연쇄적인 품질 확보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공간정보의 융·복합 활용이 활발해 짐에 따라 기존의 공간정보 품질관리를 통해 관리되기 힘든 융·복합 공간정보 품질관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을 고민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은 융·복합 공간정보 품질 관리의 보완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을 바탕으로 융·복합 공간정보를 위한 사용자 관점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 이 결과 중 하나의 예시로 NS센터에서 보유, 서비스하고 있는 대표적인 융·복합 공간정보인 국가중점데이터를 설명하고자 한다.
  • 품질 규칙은 지속적인 관리를 위해 아래 내용을 확인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이를 기존의 품질 관리 체계 및 시스템과 연계하여 향후 해당 Layer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자 한다.
  • 이에 대량의 융·복합 공간정보를 대상으로 최소한의 품질관리를 통한 연쇄적 품질 확보 가능성을 중점사항으로 정리하고 국내 융·복합 공간정보가 수집되고 있는 NS센터의 융·복합 공간정보를 대상으로 품질 핵심 Layer를 선정하고 사용자 관점 품질 기준 마련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정보 품질이란 무엇인가? 공공 데이터중 하나라 볼 수 있는 공간정보는 지형공간정보체계 용어사전에서 “지상·지하·수상·수중 등 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인지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로 정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위의 품질정의를 적용하면 공간정보 품질이란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활용 목적이나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런 입장에서 국제표준기구인 ISO/TC211의 ISO19157: Geographic information Data quality 문서는 Figure 2와 같이 생산자와 사용자 관점을 각각 고려하고 있다.
데이터 품질의 정의는 무엇인가? 데이터의 품질은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증명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찾아 사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런 데이터 품질(Data Quality)의 정의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활용 목적이나 만족도를 지속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수준”으로 공공정보 품질관리 매뉴얼에서 정의하고 있다. 이를 행하는 활동, 즉 데이터 품질관리(Data Quality Management)는 “데이터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품질 목표 설정, 품질 진단 및 개선 등 일련의 활동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관련 도구”로 정의하고 있다.
융·복합 공간정보는 어떤 특징으로 법적으로 정의되는 주제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가? 융·복합 공간정보는 생산, 가공할 때 서로 관계성을 가진다. 이는 생산 시 필요한 위치나 속성정보를 참조하여 제작되는 특징으로 법적으로 정의되는 주제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토지피복도를 예로 살펴보면 ‘토지피복지도 작성 지침’에서 세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아래 Figure 4와 같이 영상자료, 정밀임상도, 지적도, 용도지역지구도, 갯벌 공간정보, 수치지형도를 통해서 작성되는 것을 명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Eun-Hyung, Choi Jae-Yeon. 2017. A Study on a Recombination Method for the Bottom-up Construction of Spatial Information Products.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375(47-2):185-199. 

  2.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Center. 2015. Survey on the satisfaction of national open data practical use and utilization.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Act No. 12736.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Center 2015 List of spatial information.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Center 2016 List of spatial information.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Center 2017 List of spatial information. 

  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KS&ISO 19157Quality Standards Manual 

  8.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7. A Study on the Basic System of New State.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Regulations for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enter Oper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rder No. 925. 

  10.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5.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Renewal of Seamless Digital Map in Multi-Size and Set Use Data. 

  11.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6. A Study on the Mass Customization Information Support System. 

  1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8. Regulations for Suveying Results Assessmen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otice No.218-1077. 

  13. Lee KW, Son HW. 2016.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Gis. Gumi-Seogwan. 

  14. Choi BN, Lee JH, Park JS, Kang IG. 2015. A Study on Selecting Geospatial Framework Data Using Factor Analysi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3(5):53-64. 

  15.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2017.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 for the Establishment of Space-Based Convertgence Information Quality Management System. 

  16.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Public Data Quality Management Level Assessment Guide. 

  17.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Guideline for Land Coverage Preparation. Act of Environment 1216. 

  18. Anna T. Boin, Gary J. Hunter. 2007. WHAT COMMUNICATES QUALITY TO THE SPATIAL DATA CONSUMER?. The International 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Vol. 34. 

  19. Gary J. Hunter, Arnold Bregt, Gerard Heuvelink, Sytze de Bruin, Kirsi Virrantaus. 2009. Spatial Data Quality: Problems and Prospects. Research Trends in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ISSN 1863-2246. 101-121. 

  20. ISO. 2013. FDIS 19157 Geographic information - Data quality, as sent to the ISO Central Secretariat for issuing as FDIS. 170. 

  21. ISO. 2013. FDIS 19115-1 Geographic information - Metadata - Part 1: Fundamentals, as sent to the ISO Central Secretariat for issuing as FDIS. 179. 

  22. Ordnance Survey. 2016. OS MasterMap Addressbase-premium Technical specifications, Ordnance Survey. 

  23. Ordnance Survey. 2016. OS MasterMap ITN Layer User Guide & Technical specifications, Ordnance Survey. 

  24. Ordnance Survey. 2016. OS MasterMap Topography Layer User Guide & Technical specifications, Ordnance Surve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