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서 바람길 적용 방안 : 세종시를 대상으로
Application of Ventilation Corridor to Mitigate Particulate Matter for the Sejong-Si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3, 2020년, pp.1 - 9  

남성우 (국토연구원 국가균형발전지원센터) ,  성선용 (국토연구원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 ,  박종순 (국토연구원 국토환경.자원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내륙 분지에 위치하여 대기 정체율이 높은 세종시를 대상으로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한 바람길의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도시내 바람길의 도입을 위해서는 첫째, 신도시 건설에 따른 신선한 대기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고 둘째, 도시공간에서 바람길을 확보함으로써 대기순환을 촉진해야 함을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산유체역학모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시 건설 전과 후의 탁월풍의 풍속, 풍향 변화와 일몰 후 생성된 시원한 공기가 낮은 지대를 따라 흐르는 특성이 분석되었다. 이와 더불어 블록단위에서 바람길과 순응하는 건축물을 배치 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시 가능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 숲,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신선한 공기가 도시 안으로 원활히 유입, 분산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바람 통로를 조성하고, 적절한 건축물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둘째,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에는 공원, 광장, 놀이터 등 공공시설들을 우선적으로 설치하여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옥외활동을 유인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지구단위계획 등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서 바람길 분석을 통해 최적의 대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ventilation corridor and derive adequate policy alternatives to its application for the city of Sejong, which is located in an inland of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introduce the ventilation corridor in the city, it is necessary both to underst...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FD 모형을 활용한 단지배치별 시뮬레이션 결과를 적용하여 바람길 구현을 위한 도시계획 대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세종시 생활권에 대한 바람길 조성과 단지배치 등의 사항은 지구단위계획을 통하여 실현되므로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이를 반영하도록 한다.
  •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도시계획적 기법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계획적 기법은 도시공간에서 건조물에 의해 정체된 미세먼지를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바람길 또는 바람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바람길의 정의, 효과, 그리고 공간계획에서 바람길 적용의 필요성 등을 논하고, 해외 도시들의 바람길 조성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바람길 효과의 모의실험과 계획 기법 적용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을 바람길 조성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 및 분산 효과를 검증하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바람길 도입을 위한 도시계획적 고려요소들을 도출하기 위해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모형을 이용한 미세먼지 영향 모의실험을 통해서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계획 가이드라인의 적정성을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세종시 전체 중에서 현재 활발한 개발이 발생하고 있는 건설지역을 대상으로 바람길의 효과를 분석하였다[그림 1]. 전체 건설지역을 대상으로 일몰 이후에 발생하는 바람의 흐름을 분석하였으며, 첫마을 지역(2생활권)을 대상으로 국토교통부에서 제공하는 건축물 자료를 활용하여 건설 전·후의 풍향과 풍속 변화예측을, 신규로 조성예정인 6-3생활권 B1블럭을 대상으로는 건축물 및 오픈스페이스의 배치와 미세먼지 농도와의 상관성을 모의실험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세종시를 대상으로 도시 조성 전과 후의 탁월풍의 풍속 및 풍향의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일몰 후 생성된 찬공기가 저지대를 따라 유동하는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도시계획 수립 시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있는 환경정보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블록단위에서 바람길과 순응하는 건축물을 배치하였을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여, 바람길이 미세먼지 저감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고 이를 통해 바람길 구현을 위한 도시계획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신도시 건설이나 생활권 규모의 도시계획 수립 시 바람길 도입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기법들을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산, 숲,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맑은 공기가 도시 내에서 원활히 유입되고 분산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계획 수립구역 내 바람통로를 조성하도록 한다.

가설 설정

  • 6-3생활권 B1 블록에 건축물이 건설되었을 때 지상 0.5m의 위치에서 3시간 후의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현재의 농도를 초미세먼지가 ‘매우 나쁨’ 수준인 80μg/㎥으로 가정하고, 유입되는 대기의 미세먼지 농도는 5μg/㎥으로 보다 청정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 바람길 분석을 위해 북서측(연서면)에 입지한 녹지지역과 골프장에서 도시지역보다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신선한 바람이 생성되며, 생성된 신선한 바람이 도시지역으로 유입된다고 가정하였다. 공원․녹지 등 공공부지와 민간부지 내 공개공지․보행통로 등 바람길 확보에 기여 가능한 부지를 고려한 녹지축이 조성되어 있으며, 시뮬레이션을 실시하는 해당 대지의 현재 세대수 기준을 준용하여 약 1,500 세대의 200% 용적률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계획 분야 미세먼지 개선을 위해 무엇이 이뤄져야 하는가?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미세먼지 배출 저감 및 관리를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여 왔는데, 노후 경유 차량교체, 친환경차 보급 확대, 도로청소차 보급, 먼지총량제 등 배출원 관리가 주를 이뤄온 것이 사실이다[4]. 도시계획 분야에서도 미세먼지를 이동시키고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공간계획과 설계 기법을 활용한 전략들을 수립하고 이를 실제 도시공간에 구현하기 위한 많은 시도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계획적 시도와 함께, 과학적 분석방법을 이용한 검증이 이루어짐으로써 계획수립 과정에서 대안적 모델들이 제시될 수 있어야 한다.
바람길 도입을 통한 계획기법은 어떤 식으로 이뤄지는가? 신도시 건설이나 생활권 규모의 도시계획 수립 시 바람길 도입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기법들을 강조하고자 한다. 첫째, 산, 숲,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맑은 공기가 도시 내에서 원활히 유입되고 분산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계획 수립구역 내 바람통로를 조성하도록 한다. 둘째, 바람통로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신선한 대기를 차단하지 않고 도시 내로 빠르게 유입․분산시킬 수 있도록 건축물 형태를 정하고 이를 적절하게 배치하도록 한다. 셋째, 바람속도가 빠르고,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에 공원, 놀이터 등 이용자가 많은 시설을 우선 설치하도록 하여 미세먼지 로부터 안전한 옥외활동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바람길의 필요성이 높은 지역에 대해서는 가급적 지구단위 계획 수립 시 3D형상을 구체화할 수 있도록 지침을 마련해야 하며, 지침 마련 이전에 반드시 3D 모델링에 의한 CFD 등의 시뮬레이션에 의한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바람길이 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할 것을 제안한다.
미세먼지 배출 저감 및 관리를 위한 정책들은 주로 어떤 식으로 이뤄졌는가? 지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미세먼지 배출 저감 및 관리를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여 왔는데, 노후 경유 차량교체, 친환경차 보급 확대, 도로청소차 보급, 먼지총량제 등 배출원 관리가 주를 이뤄온 것이 사실이다[4]. 도시계획 분야에서도 미세먼지를 이동시키고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공간계획과 설계 기법을 활용한 전략들을 수립하고 이를 실제 도시공간에 구현하기 위한 많은 시도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