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X선 이 장수풍뎅이 유충의 체중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X-ray Irradiation on the Survival Rate and Weight of the Rhinoceros Beetle Larvae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4 no.3, 2020년, pp.271 - 277  

이원정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  임동환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  박정순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  심영은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  정유진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정호 (건양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  유세종 (대전보건대학교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X선을 노출시켜 장수풍뎅이 유충의 체중과 생존율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9년 4월 초 장수풍뎅이 유충 1령 41마리를 구입하여 적응을 위해 3일 사육 후, 대조군 11마리, 조사군 (10 Gy, 20 Gy, 30 Gy 각 10마리)으로 분류하여 대전 소재 대학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선형가속기(Clinac IS, VERIAN, USA)를 이용하여 조사(6MV X-ray, Source-surface distance 96cm, field size 18 × 10cm, dose rate 600MU/min) 하였다. 조사 후 1주 간격으로 생존율, 체중을 측정하였다(사육 온도 20.6℃, 습도 64.3%). 모든 통계분석은 SPSS ver 22.0(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체중은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어 대조군과 X선 조사군 간에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고, 생존율은 교차분석으로 비교 하였다. 또한, 선량과 체중의 상관성을 Spearman 으로 분석하였다. 조사 후 3주차에서는 모근 군이 체중이 증가하였고, 대조군에 대해 10 Gy군과 20 Gy군은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특히 30 Gy군과는 더 큰 차이를 보였다(p<0.01). 14주차에서 체중에서 대조군은 증가를 보였지만 조사군은 감소를 보였고, 대조군에 대해 10 Gy 군과 30 Gy 군(p<0.05), 20 Gy군(p<0.01) 간에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 후 3주차에는 10 Gy군을 제외한 모든 군에서 급격한 생존율 감소를 보였고, 조사군에서 4주차까지 급격한 생존율 감소를 보였다. 대조군은 3주차부터 14주차까지 생존율의 변화(54.5%)가 없었다. 조사 후 3주차부터 조사에서 선량이 높을수록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조사 후 19주차에는 대조군 45.4%, 10 Gy군 30.0%의 생존율을 보였고, 20 Gy군과 30 Gy군에서는 모두 사망하였다. 조사 후 기간이 길어질수록 선량과 체중은 높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X선은 장수풍뎅이 유충의 체중과 생존율에 영향을 미쳤고, 선량이 높을수록 체중과 생존율의 감소는 더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rvival rate and weight of rhinoceros beetle larvae by irradiating X-rays which are most commonly used in diagnosing and treating for diseases. Subjectts and Methods: In early April 2019, the rhinoceros beetle larvae 41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병의 진단 및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X선을 노출시켜 장수풍뎅이 유충의 생존율과 체중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향후, 외부 형태학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선량을 낮추거나 번데기 단계에서 X선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수풍뎅이 유충 생존율이 실험군 간에 차이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를 부여할 수 없었다. 향후 개체 수를 증가시킨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 M. Rumack, "2010 ACR presidential address, patient-focused radiology: Taking charge of radiation dos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Vol. 7, No. 1, pp. 837-844, 2010. http://dx.doi.org/10.1016/j.jacr.2010.07.003 

  2.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Managing patient dose in digital radiology", ICRP publication, Vol. 93, 2003. 

  3. S. A. Geras'kin, S. V. Fesenko, R. M. Alexakhin, "Effects of non-human species irradiation after the Chernobyl NPP accident", Environ International, Vol. 34, No. 6, pp. 880-897, 2008. http://dx.doi.org/10.1016/j.envint.2007.12.012 

  4. V. G. Bebeshko, K. M. Bruslova, N. M. Tsvietkova, L. O. Lyashenko, T. I. Pushkareva, L. O. Honchar, A. S. Sergeeva, M. Yatsemyrskii, Y. M. Samson, I. V. Trihlib, O. I. Makovey, "Effect of someunfavorable factors of environment on the survival of children with acute leukemia in a long term period after accident on the chornobyl NPP", Problemy radiatsiinoi medytsyny ta radiobiolohii, Vol. 23, No. 1, pp. 254-262, 2018. http://dx.doi.org/10.33145/2304-8336-2018-23-254-262 

  5. S. Akiba, "Epidemiological studies of Fukushima residents exposed to ionising radiation from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prefecture--a preliminary review of current plans", Journal of Radiological Protection, Vol. 32, No. 1, pp. 1-10, 2012. http://dx.doi.org/10.1088/0952-4746/32/1/1 

  6. A. Hiyama, C. Nohara, S. Kinjo, W. Taira, S. Gima, A. Tanahara, J. M. Otaki, "The biological impacts of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on the pale grass blue butterfly", Scientific Reports, Vol. 2, No. 1, pp. 1-10, 2012. http://dx.doi.org/10.1038/srep00570 

  7. W. J. Lee, S. R. Han, O. Jeong, S. I. Kim, M. J. Cho, W. S. Kim, "Radiation-induced Congenital Anomalies in the Rat Fetuses",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Vol. 14, No. 2, pp. 159-168, 2001. http://dx.doi.org/10.11637/kjpa.2001.14.2.159 

  8. W. J. Lee, S. K. Son, M. A. Lee, Y. S. Yang, W. S. Kim, "Low-dose Radiation-induced Hormetic Effect in the Rat Ovarian Follicle",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 Vol. 20, No. 3, pp. 201-211, 2007. http://dx.doi.org/10.11637/kjpa.2007.20.3.201 

  9. A. Ayvaz, S. Albayrak, A. Tuncbilek, "Inherited sterility in Mediterranean flour moth Ephestia kuehniella Zeller (Lepidoptera: Pyralidae): Effect of gamma radiation on insect fecundity, fertility and developmental period", Journal of Stored Products Research, Vol. 43, No. 3, pp. 234-239, 2006. http://dx.doi.org/10.1016/j.jspr.2006.06.003 

  10. M. J. Seo, H. J. Lee, E. J. Kang, S. Y. Kang, Y. M. Yu, Y. N. Youn,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Harmonia axyridis (Coccinellidae, Coleoptera)",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ol. 50, No. 4, pp. 335-342, 2011. http://dx.doi.org/10.5656/KSAE.2011.10.0.60 

  11. H. J. Joo, H. Choi, K. H. Yang, D. K. Keum, H. S. Kim, "Organ Weights and Splenocytic Apoptosis in ${\gamma}$ -irradiated Korean Dark-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Vol. 40, No. 3, pp. 168-173, 2015. http://dx.doi.org/10.14407/jrp.2015.40.3.168 

  12. http://www.law.go.kr/LSW/lsLinkProc.do?&lsNm%EB%8F%99%EB%AC%BC%EB%B3%B4%ED%98%B8%EB%B2%95&chrClsCd010202&mode20&ancYnChk0# 

  13. H. W. Jang, S. Y. Choi, H. S. Choi, S. Y. Park, S. T. Jeong, S. H. Yeo, B. R. Park, "Quality Characteristics of Oil and Defatted Powder from Allomyrina dichotoma Larvae",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47, No. 11, pp. 1153-1158, 2018. http://dx.doi.org/10.3746/jkfn.2018.47.11.1153 

  14. H. J. Ryu, H. J. Song, S. O. Lee, "Enzymatic Preparation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tein Hydrolysates from Allomyrina dichotoma Larvae", Journal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48, No. 4, pp. 410-417, 2019. http://dx.doi.org/10.3746/jkfn.2019.48.4.410 

  15. C. S. Shin, D. Y. Kim, W. S. Shin, "Characterization of chitosan extracted from Mealworm Beetle (Tenebrio molitor, Zophobas morio) and Rhinoceros Beetle (Allomyrina dichotoma)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Vol. 125, pp. 72-77, 2018. http://dx.doi.org/10.1016/j.ijbiomac.2018.11.2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