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공원 지속가능성평가에 기반한 군립공원 지속가능성 영향요인 분석 - 경남권역 11개소 군립공원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Sustainable Management Factors in County Parks Based on the Sustainabil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 Nature Parks - Focus on the 11 County Parks in Gyeongsangnam-do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8 no.3, 2020년, pp.12 - 21  

홍석환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안로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톈완팅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허학영 (국립공원연구원) ,  박준효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군립공원을 대상으로 자연공원 지속가능성평가를 통해 관리효과성평가(MEE)를 실시하여 이를 바탕으로 군립공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도모하기 위한 영향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연공원 지속가능성평가 진단표는 2016년 환경부에서 개발한 보호지역 관리효과성평가를 준용하여 소규모 자연공원에 응답할 수 있도록 보완한 평가표이며, 이를 바탕으로 공원이해관계자가 자가진단을 통해 자연공원의 전반적인 관리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현장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이를 보완하였다. 경남권역 군립공원의 11개소 MEE결과를 살펴보면, 과반수의 군립공원에서 '자연생태적 가치(6개소)'를 주요 가치로 인식하고, '역사문화적 가치(4개소)', '여가휴양적 가치(1개소)'순으로 나타났다. 자연공원 관리의 위협요인으로는 '자연재해 및 환경요인(5개소)', '인위적 요인(3개소)'로 나타났으며, 군립공원 3개소에서는 관리를 저해하는 위협요인이 없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관리효과성평가 점수가 양호한 분야는 휴양가치상태, 역사 및 문화자원의 가치상태, 주요 자연자원 등이며, 미흡한 분야는 조사 및 연구프로그램, 멸종위기종 관리, 생태계 교란 동·식물 관리, 관리활동 모니터링 및 평가 수행이 지적되었다. 지속가능하게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관리효과성평가점수와 관리요인 간 회귀분석결과, 연간공원관리투입예산이 관리효과성평가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는 연간 자연공원관리예산의 적정한 집행이 현 시점에서 군립공원 관리에 가장 필요한 요소임을 의미한다. 향후 군립공원 관리계획 이행 시, 평가결과에서 도출된 미흡한 요인의 보완을 위한 예산확보가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리투입예산을 고려한다면 군립공원 관리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the Sustainability Evaluation Framework of Korea Natural Parks to county parks in Gyeongsangnam-do, and to review the performance statu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MEE) and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rovement of management effectiveness in prot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군립공원 관리현황과 실태를 점검하고 관리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표를 제안하고자 자연공원지속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여 진행하였다. 자연공원 지속가능성평가는 2016년 환경부·국립공원공단·IUCN에서 개발한 자연공원관리효과성평가를 군립공원 실정에 맞게 보완한 평가표로서, 경남권역 13개 군립공원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군립공원의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지속가능한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자연공원지속가능성평가를 수행하였다. 여타 자연공원에 비해 절대적으로 군립공원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가운데, 이 연구를 통해 군립공원의 관리여건현황 및 기본현황정보를 구축 및 분석하여 군립공원의 지속가능한 관리를 위한 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ertzky, B., C. Corrigan, J. Kemsey, S. Kenney, C. Ravilious, C. Besancon and N. Burgess(2012) Protected planet report 2012: Tracking progress towards global targets for protected areas. IUCN: Gland, Switzerland and UNEP-WCMC: Cambridge, UK. p. 25. 

  2. Cho, W.(2019) Evaluation on park planning of provincial parks among Korea natural park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3(3): 321-332. 

  3. Cho, W., S. D. Lee and J. O. Yoon(2017) Management status and system improvement plan of provincial and county park, Korea.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7(1): 57-58. 

  4. Cook, G. T., P. L. Ascough, C. Bonsall, W. D. Hamilton, N. Russell, K. L. Sayle, E. M. Scott and J. M. Bownes(2015) Best practice methodology for 14C calibration of marine and mixed terrestrial/marine samples. Quaternary Geochronology 27: 164-171. 

  5. DeFries, R., A. Hansen, A. C. Newton and M. C. Hansen(2005) Increasing isolation of protected areas in tropical forests over the past twenty years. Ecological Applications 15(1): 19-26. 

  6. Gray, C. L., S. L. L. Hill, T. Newbold, L. N. Hudson, L. Borger, S. Contu, A. J. Hoskins, S. Ferrier, A. Purvis and J. P. W. Scharlemann (2016) Local biodiversity is higher inside than outside terrestrial protected areas worldwide. Nat Commun 7: 12306. 

  7. Heo, H. Y. and H. Kwon(2012) Review on the protected areas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in Korea - Focus on the implementation status and resul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6(4): 41-57. 

  8. Heo, H. Y.(2006)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of Management Effectiveness for Adaptive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Heo, H. Y., J. C. Kim, D. J. Lee, D. G. Cho, K. W. Sim and J. W. Kang(2017) A review on the results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Focusing the protected areas established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roceeding of the Conference 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017(1): 21-22. 

  10. Hockings, M.(2003) Systems for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in protected areas. BioScience 53 (9): 823-832. 

  11. Hockings, M., S. Stolton and N. Dudley(2000) Evaluating Effectiveness A Framework for Assessing the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WCPA and WWF/IUCN. 

  12. Hong, J. P.(2017) A Study on Improving the National Protected Areas System-Focusing on Other Effective Area-Based Conservation Measures.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Hong, J. P. and Y. J. Shim(2018)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evaluation method for national protected areas based on aichi biodiversity target 11.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1(1): 83-94. 

  14.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2005) Benefits beyond boundaries. Proceedings of the Vth IUCN World Parks Congress.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5. Juffe-Bignoli, D., N. D. Burgess, H. Bingham, E. M. S. Belle, M. G. De Lima, M. Deguignet, B. Bertzky, A. N. Milam, J. Martinez-Lopez, E. Lewis, A. Eassom, S. Wicander, J. Geldmann, A. Van Soesbergen, A. P. Arnell, B. O'Connor, S. Park, Y. N. Shi, F. S. Danks, B. MacSharry and N. Kingston(2014) Protected Planet Report 2014. UNEP-WCMC: Cambridge, UK. 

  16. Laurance, W. F.(2012) Averting biodiversity collapse in tropical forest protected areas. Nature 489(7415): 290-294. 

  17. Lee, S. D.(2016) Policy Proposal for Improving the Management of Provincial and County Parks. Policy report. 

  18. Lee, W. H. and S. A. Abdullah(2019) Framework to develop a consolidated index model to evaluate the conservation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s doi:https://doi.org/10.1016/j.ecolind.2019.02.034 

  19. Lester, S. E., B. S. Halpern, K. Grorud-Colvert, J. Lubchenco, B. I. Ruttenberg, S. D. Gaines and R. R. Warner(2009) Biological effects within no-take marine reserves: A global synthesi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384: 33-46. 

  20. Leverington, F. and M. Hockings(2004)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protected area management: The challenge of change. In 'Securing protected areas and ecosystem services in the face of global change.' Gland, Switzerland and Cambriage pp. 169-214. 

  21. Ministry of Environment(2012) 제 2차 자연공원 기본계획(2013-2022). Research report to Ministry of Environment. 

  22. Nassep, M., A. El-Sammak and R. Misak(2017) Lessons learned from the application of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in Sabah Al-Ahmad Natural Reserve: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in Kuwait. Journal of Taibah University for Science 11(6) :868-882. 

  23. Shaharum, N. S. N., H. Z. M. Shafri, J. Gambo and F. A. Z. Abidin (2018) Mapping of krau wildlife reserve (KWR) protected area using landsat 8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algorithms doi:https://doi.org/10.1016/j.rsase.2018.01.002 

  24. UNEP-WCMC and IUCN(2016) Protected Planet Report 2016. UNEPWCMC: Cambridge, UK. and IUCN: Gland, Switzerland. pp. 7, 30, 40. 

  25. https://www.undp.org/content/undp/en/home/sustainable-development-goals.htm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