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렁이(Eisenia andrei)의 장으로부터 분리한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의 균학적 특성과 탄소원 활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arbon source activity of Unrecorded Wild Yeast Strains from gut of the earthworm(Eisenia andrei)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8 no.2, 2020년, pp.161 - 167  

한주현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이상은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  김명겸 (서울여자대학교 생명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 자생하는 지렁이로(붉은줄지렁이)의 장에서 야생효모를 분리, 동정하고자 하였다. 지렁이는 고양시 난지 물 재생 센터에서 분양 받았으며, 지렁이 5마리에서 19개의 야생효모를 분리하였다. 효모의 D1/D2 영역으로 동정하여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효모 3균주를 선별하였다. 국내 미기록종 효모인 Yarrowia deformans YP242 (=KACC48778), Sporidiobolus pararoseus YP66(=KCTC27963), Naganishia liquefaciens YI9 (=KACC48948) 균주는 위상차현미경, API 20C AUX kit를 통해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YP242, YI9, YP66 균주의 세포 모양은 타원형이며, 집락은 볼록하고, 부드러운 재질을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탄소원 활성 측정 결과, YP242는 glycerol, L-arabinose, N-acetyl-D-glucosamine을, YP66는 N-acetyl-D-glucosamine을, liquefaciens YI9는 2-keto-D-gluconate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nd characterize the wild yeast strains from the gut of earthworm(Eisenia andrei). The 19 yeast strains isolated from 5 gut of earthworm samples from Nanji water regeneration center in Goyang-si, Gyeonggi-do, Korea. Among them, 16 strains were recorded and 3 st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곤충들로부터 야생효모를 분리, 동정하여 종 다양성을 확립하고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야생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난지물재생센터로부터 분양 받은 지렁이에서 야생효모를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모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효모는 예로부터 식품을 발효하는데 이용되어 왔으며, 현대에는 식품뿐 아니라 향장소재, 바 이오 에너지, 환경개선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여 미생물 산업화에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 어,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는 버려지는 감껍질을 발효시켜 바이오에탄올 생산이 가능하게 하고, Candida tropicalis는 바이오필터에 적용 시 인체에 유해한 톨루엔 제거 성능을 증가시키며, Saccharomyces exiguous는 돈분뇨에 첨가 시 악취를 제거할 뿐 아니라 대장균 증식 억제를 통해 환경개선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1, 2, 3].
Candida tropicalis의 기능은? 효모는 예로부터 식품을 발효하는데 이용되어 왔으며, 현대에는 식품뿐 아니라 향장소재, 바 이오 에너지, 환경개선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여 미생물 산업화에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 어,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는 버려지는 감껍질을 발효시켜 바이오에탄올 생산이 가능하게 하고, Candida tropicalis는 바이오필터에 적용 시 인체에 유해한 톨루엔 제거 성능을 증가시키며, Saccharomyces exiguous는 돈분뇨에 첨가 시 악취를 제거할 뿐 아니라 대장균 증식 억제를 통해 환경개선제로서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1, 2, 3]. 따라서, 야생 효모 발굴은 단순 미생물의 발굴을 넘어효모의 융복합적 활용을 통해 산업화에 기여할 수 있다.
효모의 셀룰레이즈의 기능을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는 산업 분야는 무엇인가? 또한, 메뚜기 장으로부터 담자균 효모 Papiliotrema aspenensis, Saitozyma flava, Moesziomyces aphidis가 분리되었으며, 이들 효모는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셀룰레이즈의 기능을 가진다고 밝혀진 바 있다. 이 셀룰라아제는 바이오 에탄올 생산에 참여하여 바이오 연료와 같은 다양한 산업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5,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Hwang IJ. Evaluation of the removal of toluene in a bioreactor containing Candida tropicalis 2006. 

  2. Yoon DH, Kang DW, Nam KW. The Effect of Yeast(Saccharomyces exiguus SJPAF1) on Odor Emission and Contaminants Reduction in Piggery Slurry. Korean J Environ Agric 2009;28:47-52. 

  3. Lee JS, Park EH, Kwun SY, Yeo SH, Kim MD. Optimization of Pretreatment of Persimmon Peel for Ethanol Production by Yeast Fermentation. Korean J. Microbiol 2014;42:202-6. 

  4. Seo DJ, Moon C, Song YS, Choi SH, Han YS, Jo YH, Noh MY, Jung WJ. Production of N-acetyl-glucosamine by Chitinase from Serratia marcescens PRNK-1 Using Chitin Obtained from Edible Tenebrio molitor Larva. J. Chitin Chitosan 2017;22:149-55. 

  5. Kim JY, Jang JH, Park JH, Jung HY, Park JS, Cho SJ, Lee HB, Limtong S, Subramani G, Sung GH, Kim MK. Cellulose degrading basidiomycetes yeast isolated from the gut of grasshopper in Korea. Korean J. Microbiol 2018;54:362-8. 

  6. Kim JY, Jung HY, Park JS, Cho SJ, Lee HB, Sung GH, Subramani G, Kim MK.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ulolytic yeast belonging to Moesziomyces sp. from the gut of Grasshopper. Korean J. Microbiol 2019;55:234-41. 

  7. Kurtzman CP, Robnett CJ. Identification and phylogeny ascomycetous yeasts from analysis of nuclear large subunit (26S) ribosomal DNA partial sequences. Antonie van Leeuwenhoek 1998;73:331-71. 

  8. Thompson JD, Gibson TJ, Plewniak F, Jeanmougin F, Higgins DG. The CLUSTAL_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 1997;25:4876-82. 

  9. Felsenstein J. Confidence limits on phylogenies: an approach using the bootstrap. Evolution 1985;39:783-91. 

  10. Han SM, Hyun SH, Lee HB, Lee HW, Kim HK, Lee JS.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Yeasts from Wild Flowers Collected around Jangseong Lake in Jeollanam-do, Republic of Korea, and Characterization of the Unrecorded Yeast Bullera Coprosmaensis. Mycobiology 2015;43:266-71 

  11. Gales AC1, Pfaller MA, Houston AK, Joly S, Sullivan DJ, Coleman DC, Soll DR. Identification of Candida dubliniensis Based on Temperature and Utilization of Xylose and a-Methyl-D-Glucoside as Determined with the API 20C AUX and Vitek YBC Systems. J Clin Microbiol 1999;37:380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