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적합 관리도를 활용한 생활인구 이상치 탐색
CUSUM Chart Applied to Monitoring Areal Population Mobility 원문보기

品質經營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v.48 no.2, 2020년, pp.241 - 256  

김형준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  손소영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ertain places in Seoul such as Shinchon, Hongdae, and Gangnam, often suffer from sudden overflow of mobile population which can cause serious safety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tion of spatial CUSUM control chart in monitoring areal population mobility data which is recently p...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선행되었던 연구들 중 소셜미디어 데이터와 토픽모델링을 결합한 것과 같이, 키워드와 토픽 등으로 시공간적 이상치를 설명하는 연구가 차후에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데이터가 시간대별 생활인구를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세밀한 변화를 탐지하는 CUSUM 관리도를 택하고 있기 때문에 일별 이상치를 탐색하였다. 주어진 데이터를 잘 활용하려면, 시간대별 이상치를 탐지하기 위한 공간관리도에 관해서조금 더 많은 연구가 되어야 한다.
  • , 2018; Seo & Yun, 2019), 학습을 위해서는 다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고, 모형들의 1차적인 목표는 과거의 추세를 활용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다(Han & Yu,2019). 본 연구는 미래 예측이 아닌 짧은 기간의 데이터만으로도 과거에는 없었던 변동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방법론을 고려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데이터에서 새롭게 제안하는 생활인구를 이용하여 일자별 이상치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전 공중보건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공간통계량의 누적합 관리도를 이용하였다.
  • 서울의 인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인구뿐만 아니라 위성도시에서 출퇴근하는 수많은 직장인과 관광객들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주인구가 도시서비스의 수요를 잘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활인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제공하는 생활인구 추계 빅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이상치 쏠림이 언제 어디에서 발생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해당 생활인구 추계 데이터와 국지적 모란지수의 누적합 관리도를 이용하여 생활인구 이상치를 탐지하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우선, 서울시의 관심 행정동의 집계구 i (=1,2, .
  • 이어지는 본문에서는 인구이동 패턴 이상치 탐지와 누적합 관리도에 관련된 선행 문헌들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프레임워크의 알고리즘과 생활인구 데이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 해당 방법론을 마포구 서교동에 적용하여 결과를 제시하고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구이동 패턴의 이상치를 탐지하는 것의 이점은 무엇인가? 도시에서 발생하는 인구이동 패턴의 이상치를 탐지하는 것은 도시 관리와 긴급 사태 대비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서비스 차원에서도 좋은 기회를 부여할 수 있다(Chae et al., 2014).
이상치를 감지하는 방법론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이는 무엇인가? , 2009). 첫 번째로는 Retrospective change detection으로, 고정된 데이터 샘플을 이용하여 해당 기간 동안 변화가 일어났는지 확인하고, 그 변화의 원인이 무엇인지 판단하게 된다. 극단치 이론을 활용하여 서울시의 초미세먼지 농도 수준을 지역별로 분석한 Oh & Lim (2019)의 연구가 좋은 예이다. 반면에 Prospective change detection의 경우 새로운 관측치가 이전 프로세스에 추가되어 해당 관측치가 이상치 인지 판단하거나 관측치를 계속 수집할 것인지 결정하게 된다. 후자의 시공간 이상탐지 방법론으로는 베이지안 모델(Rodeiro & Lawson, 2006), 공간통계량(Rogerson, 1997), 그리고 품질 관리도(Lund & Seymour, 1999; Yamada et al., 2009)가 있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머신러닝을 활용한 방법론들이 많이 연구되었지만(Zhang et al.
생활인구란 무엇인가? 특히 서울시는, 서울의 공공데이터와 KT의 LTE 시그널을 이용하여 서울시 집계구1)별로 해당 시각에 존재하는 “생활인구”2)를 추계하여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다른 말로 해당 지역에 거주하거나, 직장, 관광, 의료, 쇼핑, 교육 등 목적으로 머무는 모든 인구를 포함한다. 서울의 인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인구뿐만 아니라 위성도시에서 출퇴근하는 수많은 직장인과 관광객들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상주인구가 도시서비스의 수요를 잘 설명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활인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27(2):93-115. 

  2. Chae, J., Thom, D., Jang, Y., Kim, S., Ertl, T., Ebert, D. S. 2014. Public Behavior Response Analysis in Disaster Events Utilizing Visual Analytics of Microblog Data. Computers & Graphics 38:51-60. 

  3. Gim, S. 2013. Discursive Construc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Cultural Space: Focused on the Hongdae Area. The Seoul Institute Policy Research. pp. 1-89. 

  4. Gundogdu, D., Incel, O. D., Salah, A. A., Lepri, B. 2016. Countrywide Arrhythmia: Emergency Event Detection Using Mobile Phone Data. EPJ Data Science 5(1):25. 

  5. Han, M., Yu, S. J. 2019. Prediction of Baltic Dry Index by Applications of Long Short-Term Memory.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7(3):497-508. 

  6. Han, S. W., Mei, Y., Tsui, K. L. 2008. A Comparison between SCAN and CUSUM Methods for Detecting Increases in Poisson Rates. School of ISyE,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Atlanta, GA. Technical report. 

  7. Jeong, Y. Y., Moon, T. H. 2014. Analysis of Seoul Urban Spatial Structure Using Pedestrian Flow Data - Comparative Study with '2030 Seoul Pla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6(3):139-158. 

  8. Kim, H. J., Lee, S. W. 2011. Determinants of 5 Major Crimes in Seoul Metropolitan Area: Application of Mixed GWR Model. Seoul Studies 12(4):137-155. 

  9. Kim, M., Kang, S., Kim, S. P., Sohn, H. G. 2016. A Spatial Analysis of Shelter Capacity Using Floating 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4(1):1-10. 

  10. Kim, S., Lee, Y. D. 2005. Cusum Control Chart for Monitoring Process Variance.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33(3):149-155. 

  11. Kracalik, I., Lukhnova, L., Aikimbayev, A., Pazilov, Y., Temiralyeva, G., Blackburn, J. K. 2011. Incorporating Retrospective Clustering into a Prospective Cusum Methodology for Anthrax: Evaluating the Effects of Disease Expectation. Spatial and Spatio-temporal Epidemiology 2(1):11-21. 

  12. Kwon, D. S., Sohn S.Y. 2017. Spatial Analysis of Small Churches in Seoul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2(5):625-643. 

  13. Kwon, H., Hong, S. H., Lee, M. K., Lim, S. 2016. Literature Review on the Statistical Quality Control in Journal of the KSQM for 50 Years.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4(1):1-16. 

  14. Lee, K. M., Jung, C. M. 2014. The Effect of Time Period Pedestrian Volume on Store Location - Focused on the Suwon Retail Stores and Restaurant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30(8):47-55. 

  15. Lee, M. L. 2015. Comparison of Multivariate CUSUM Charts Based on Identification Accuracy for Spatio-temporal Surveillance.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3(4):521-532. 

  16. Lee, Y. S., Park, H. S., Lew S. H., Kang J. M. 2014. An Analysis of the Location Factors that Affects the Sales of Campus Commercial District. Seoul Studies 15(1):17-34. 

  17. Lloyd, C. 2010. Spatial Data Analysis: An Introduction for GIS Users. Oxford University press. 

  18. Lund, R., Seymour, L. 1999. Assessing Temperature Anomalies for a Geographical Region: A Control Chart Approach. Environmetric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Environmetrics Society 10(2):163-177. 

  19. Manogaran, G., Lopez, D. 2018. Spatial Cumulative Sum Algorithm with Big Data Analytics for Climate Change Detection. Computers & Electrical Engineering 65:207-221. 

  20. Montgomery, D. C. 2009. Introduction to Statistical Quality Control. John Wiley & Sons : New York. 

  21. Oh, J. W., Lim, T. J. 2019. Regional Analysis of Extreme Values by Particulate Matter(PM2.5) Concentration in Seoul,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7(1):47-57. 

  22. Page, E. S. 1954. Continuous Inspection Schemes. Biometrika 41(1/2):100-115. 

  23. Qiu, P. 2013. Introduction to Statistical Process Control. Chapman and Hall/CRC. 

  24. Rogerson, P. A. 1997. Surveillance Systems for Monitoring the Development of Spatial patterns. Statistics in Medicine 16(18):2081-2093. 

  25. Rogerson, P. A. 2005. Spatial Surveillance and Cumulative Sum Methods. Spatial and Syndromic Surveillance for Public Health. pp. 95-114. 

  26. Seo, M. K., Yun, W. 2019. Condition Monitoring and Diagnosis of a Hot Strip Roughing Mill Using an Autoencoder.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7(1):75-86. 

  27. Sonesson, C. 2007. A CUSUM Framework for Detection of Space-time Disease Clusters Using Scan Statistics. Statistics in Medicine 26(26):4770-4789. 

  28. Vidal Rodeiro, C. L., Lawson, A. B. 2006. Monitoring Changes in Spatio Temporal Maps of Disease. Biometrical Journal: Journal of Mathematical Methods in Biosciences 48(3):463-480. 

  29. Yamada, I., Rogerson, P. A., Lee, G. 2009. GeoSurveillance: A GIS-based System for the Detection and Monitoring of Spatial Clusters.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11(2):155-173. 

  30. Zhang, H., Zheng, Y., Yu, Y. 2018. Detecting Urban Anomalies Using Multiple Spatio-Temporal Data Sources. Proceedings of the ACM on Interactive, Mobile, Wearable and Ubiquitous Technologies 2(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