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AI의 학습 데이터 표준화를 위한 패션 아이템 이미지의 색채와 소재 속성 분류 체계
Color & Texture Attribute Classification System of Fashion Item Image for Standardizing Learning Data in Fashion AI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4 no.2, 2020년, pp.354 - 368  

박낭희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  최윤미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urate and versatile image data-sets are essential for fashion AI research and AI-based fashion businesses based on a systematic attribute classification system. This study constructs a color and texture attribut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system by collecting fashion item images and analyzing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패션 아이템 이미지의 색채와 소재에 대한 속성 체계를 제안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수집된 패션 아이템의 자유 서술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색채와 소재의 속성 체계를 구성하고 이 체계를 실제 데이터 레이블(label)에 적용하여 체계의 실제적인 유용성을 확인하고 문제점을 보완하여 최종 체계를 제안하였다.
  • Park and Choi(2019)는 패션 아이템의 형태 속성에 대한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본연구는 형태 분류 체계의 후속연구로 표면 특성인 색채와 소재 특성을 체계화하고자 한다. 형태는 누구나 동일하게 느끼고 판단하는 항상성이 있어 표준화가 비교적 용이하나 색채와 소재 특성으로 드러나는 표면 특성은 표준화하기 까다로운 정성적인 영향력이 큰 디자인 요소이다(Arnheim, 2004).
  • 그러므로 정확하고 다양한 주석을 보유한 이미지 데이터 셋은 패션 AI 연구와 AI 기반의 패션 비즈니스를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며 이는 체계적 속성 분류 체계를 바탕으로 가능해진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제시된 패션 아이템의 형태 속성 분류 체계의 후속작업으로 패션 아이템 이미지의 색채와 소재의 속성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 수집된 패션 아이템은 동일기간에 패션 디자인 전공 학부학생 15명이 색채, 소재 특성을 각각 자유롭게 기술하였다. 패션 아이템의 여러 가지 속성 중 소비자가 어떤 속성을 인식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속성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미지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미지는 형태적 속성, 내용적 속성, 의미적인 속성 등 다층적 속성을 가지며 이용자의 정보 요구에 따라 이미지의 복합적인 속성에 대한 검색 우선순위와 색인의 범주가 달라질 수 있다(Lee & Chang, 2018). 기계학습을 통해 이미지를 인식하는 인공지능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사람이 이미지를 인식하는 과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계가 이미지를 인식하여 태그를 부여하고 분류 및 검색하는 등 자동 방식의 태깅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Lee & Chang, 2018).
패션 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사례는 무엇인가? 실제로 패션 산업 분야는 디자인을 위한 영감과 기획, 생산, 유통, 판매까지 모든 단계에서 인공지능의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구글은 2016년에 ‘잘란도(Zalando)’와 함께 인공지능 의류 제작 서비스인 ‘프로젝트 뮤제(Project Muze)’를 선보였으며, 2017년에 에이치앤엠(H&M)의 디지털 패션 업체인 아이비레벨(Ivyrevel)과 함께 개인 맞춤형 드레스를 디자인하는 인공지능 앱 ‘코디드 쿠튀르(Coded Couture)’를 개발하여 인플루언서를 대상으로 시범 운영하였다(Jung & Kim, 2019). 타미힐피거(Tommy Hilfiger)도 아이비엠(IBM)의 인공지능을 디자인 과정에 적용하는 등 국내외에서 패션 디자인의 기획에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Lee, 2018). AI 기술을 기반으로 직조기와 통합된 “WiseEye”는 지능형 직물 결함 감지 시스템으로 다양한 구조의 단색 직물에서 결함을 실시간으로 자동 측정하여 직물 생산에 효율을 높일 수 있다(Wong, 2018). 에딧티드(Edited)나 스타일루미아(Stylumnia)는 유통 업체나 리테일 업체에 인공지능 데이터에 의한 상품 구색, 가격, 프로모션, 상품 판매 트렌드에 대한 분석을 제공하여 전략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Kim & Lee, 2018).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의 활용 범위는 무엇인가? 인공지능의 딥러닝 기술이 비정형 데이터인 영상인식 분야에 적용되어 이미지 검색, 객체 분류, 영상설명, 사람 분석 및 식별 등 컴퓨터 비전에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는 패션 분야에도 의류 인식, 의류 검색, 자동 상품 추천 등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옷의 종류, 소매, 패턴 등 의복 속성 학습을 통해 소비자 사진에서 의복을 자동 검색하는 연구(Wang & Zhang, 2011)부터 온라인 제품 이미지와 같은 통제된 상황의 이미지가 아닌 런웨이(runway)의 의류 이미지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움직임이 있는 이미지로부터 브랜드나 스타일을 검색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의 연구(Seo & Shin, 2018a) 등 이미지를 이용한 의복의 인식과 검색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상품의 검색뿐 아니라 사용자의 피드백을 받아 지속적으로 지식을 성장시키는 구조를 가진 AI 패션 코디네이터까지 연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 H., Kwon, S., & Park, M. (2019). A case study on the recommendation services for customized fashion styl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3(3), 349-360. doi:10.5850/JKSCT.2019.43.3.349 

  2. Arnheim, R. (2004). Art and visual perception: A psychology of the creative eye (The new version). Berkeley, Los Angeles, and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Bhardwaj, P. (2018, July 6). Alibaba's new Hong Kong store combines the best parts of physical and online shopping - take a closer look. Business Insider. Retrieved from https://www.businessinsider.com/alibaba-fashion-ai-store-shopping-photos-2018-7 

  4. Choo, S. (2001). Images of fashion fabric based on color and textur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5. Heo, J., & Park, Y. (2016). A study on the range and ranking of the color to be recognized as a brown.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Fall Conference, Korea, 37-40. 

  6. Jang, D., & Chun, J. (2007). Automated classification scheme generation using product attribute information. The KIPS Transactions: PartD, 14-D(5), 491-500. doi:10.3745/KIPSTD.2007.14-D.5.491 

  7. Jeong, S., Vicent, M., Kim, J. K., Lee, B. W., Lee, S. Y., Lee, M. J., & Lee, W. J. (2017). Th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for image attribute recognition and classific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 Software Congress 2017, Korea, 877-879. 

  8. Jo, J., Lee, C., Lee, D., & Lim, H. (2018). An development of image retrieval model based on Image2Vec using G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2), 301-307. doi:10.14400/JDC.2018.16.12.301 

  9. Jung, J.-r., & Kim, M.-h. (2019). A study on AI-based design process innovation in fashion industry.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67, 140-153. 

  10. Kim, C. E., & Lee, J. H. (2018). Trends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ash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2(1), 148-158. doi:10.5850/JKSCT.2018.42.1.148 

  11. Kim, C. S., & Pak, J. E. (2010). Observation of textile design from 2005-2009 fashion collection and development of pattern design - Focused on conversational design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8(6), 1179-1193. doi:10.29049/rjcc.2010.18.6.1179 

  12. Kim, J.-I. (2010). An implementation of automatic upper-lower clothes matching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3(3), 467-474. 

  13. Kim, K.-H., Park, Y.-S., & Jung, E.-C. (2011). Development of classification system model of design information for integrated design resear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4(3), 55-66. 

  14. Kim, T. S. (2000). 분류의 이해 [Understanding of classification]. Seoul: Bibliographic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15. Kim, Y. W. (2015). Relationship between sensibility expression factors of the fabrics and preferences of fashion ima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6. Ko, S. G., Yoo, S. J., & Kim, E. A. (2003). DB for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images and sensibilities of fabrics-Effect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n the texture images of woolen fabr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5), 533-544. 

  1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KS A 0011 Names of non - luminous object colours. Korean Standards & Certifications. Retrieved from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menuId919&topMenuId502&upperMenuId503&ksNoKSA0011&tmprKsNoKSA0011&reformNo13 

  18. Kwon, H.-j., & Kim, S.-j. (2012). Periodic expression research on retro focusing on the motif and structuralizing method of pattern design.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3(4), 1-14. 

  19. Lee, E. O. (2007).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in Korean textil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3(3), 271-280. 

  20. Lee, K. H. (2012). Fashion design. Seoul: Kyungchoonsa. 

  21. Lee, H., & Chang, Y. (2018). Development of an image tagging system based on crowdsourcing.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9(3), 297-320. doi:10.14699/kbiblia.2018.29.3.297 

  22. Lee, J. (2020). A study on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KS A 0011 tone classification system and systematic color nam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Lee, J. E. (2018, December 2). 인공지능이 옷 만든다, 패션도'AI 열풍' [Artificial intelligence makes clothes, fashion is 'AI craze']. ChosunBiz. Retrieved from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30/2018113002436.html 

  24. Lee, J.-H., & Kim, S.-W. (2011). Consumer-based apparel design elements and evaluation criteria-Focus on F/W ou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9), 1015-1027. doi:10.5850/JKSCT.2011.35.9.1015 

  25. Lee, K.-S., & Kim, H.-S. (1998). Fashion coordination. Seoul: Kyomunsa. 

  26. Lee, S., & Lee, Y. (2018). Comparison of color recognition of Yellow Red, Green Yellow, Purple Blue and Red Purple according to the color name marking.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Spring Conference, Korea, 134-137. 

  27. Lim, K.-r. (2004). 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for using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s on interior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7(4), 79-88. 

  28. Liu, Z., Luo, P., Qiu, S., Wang, X., & Tang, X. (2016). DeepFashion: Powering robust clothes recognition and retrieval with rich annotations. Proceedings of 2016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USA, 1096-1104. doi:10.1109/CVPR.2016.124 

  29. Nikkei Top Leader, & Nikkei Big Data. (Eds.). (2018). 일본 기업은 AI를 어떻게 활용하는가 [How Japanese companies utilize AI] (H. W. Shin, Trans.). Seoul: Paperroad. (Original work published 2017) 

  30. Oh, H. S., & Park, H.-S. (2000). 아름다운 여성을 위한 패션코디 [Fashion coordination for beautiful women]. Seoul: Kyungchoonsa. 

  31. Park, J. R. (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mage based product search system using attribute classifi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32. Park, M.-L., & Yong, H.-S. (2016). Objects classification in three level model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Proceedings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Winter Conference, Korea, 131-133. 

  33. Park, N., & Choi, Y. (2019). A form attribute classification system for fashion i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Fashion Design, Technology and Education, 13(1), 11-19. doi:10.1080/17543266.2019.1664641 

  34. Patki, R., & Suresha, S. (2016). Apparel classification using CNNs. CS231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Visual Recognition. Retrieved from http://cs231n.stanford.edu/reports/2016/pdfs/286_Report.pdf 

  35. Rhee. E.-Y. (2003). Theory of fashion design. Seoul: Kyomunsa. 

  36. Seo, Y., & Shin, K.-s. (2018a). Business application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apparel classification using runway image.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4(3), 1-19. doi:10.13088/jiis.2018.24.3.001 

  37. Seo, Y., & Shin, K.-s. (2018b). Image classification of fine-grained fashion image based on style using pre-trai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Proceedings of 2018 IEE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ig Data Analysis (ICBDA), China, 387-390. doi:10.1109/ICBDA.2018.8367713 

  38. Shin, C.-w., & Kim, C. (2018). Image category classification based on deep learning. Proceedings of Korea Computer Congress 2018, Korea, 95-97. 

  39. Song, H. J., Kim, H. W., Chung, E., Oh, S., Lee, J. W., Kang, D., ... Lee, Y. K. (2019). Self-improv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34(4), 43-54. doi:10.22648/ETRI.2019.J.340405 

  40. Wang, X., & Zhang, T. (2011). Clothes search in consumer photos via color matching and attribute learning. Proceedings of the 19th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ultimedia, USA, 1353-1356. doi:10.1145/2072298.2072013 

  41. Wong, C. W. K. (2018, May). Keynote Speech III: Challenges & opportunities of AI in fashion & textile industry (AI and computer vision). Paper presented at 2018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lothing & Textiles (ICCT),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