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를 중심으로
Influencing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Focusing on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assion Fatigu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7, 2020년, pp.67 - 74  

김화진 (굿모닝병원 응급의료센터) ,  박점미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가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경기도 소재 9개 종합병원의 응급실 간호사 114명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1달 동안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폭력 경험은 언어적 폭력 11.50±3.37점, 신체적 위협 11.57±4.15점, 신체적 폭력 11.07±5.20점으로 나타났으며, 외상 후 스트레스는 34.59±14.46, 공감피로는 26.50±7.17점, 직무 만족도는 61.19±8.38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외상 후 스트레스(β=-.21, p=.090)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3.11, p<.001).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감소시키고 위해서는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관리 프로그램의 도입과 예방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대처 수준 향상을 위하여 적극적인 대처 방안과 안전한 근무환경 확보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correlational study between the violence experienc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mpassion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room nurses. The researcher conducted this study on 114 randomized emergency room nurses from 9 emergency rooms located in Gyeonggi-do and c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가 겪은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 및 직무 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가 직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간호사는 병원에서 핵심인력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응급실 간호사는 특히 숙련된 정확한 판단과 기술이 요구되므로[13]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폭력예방과 외상 후 스트레스와 공감피로가 일어날 수 있는 원인을 파악하고 요인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대책과 해결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응급실간호사를 대상으로 폭력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공감피로 및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간호사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E. G. Krug, M. R. Um, H. Y. Oh, & H. Y. An. (2007). Violence episodes and responses of emergency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4(4), 446-456. 

  2. C. Y. Cha. (2018) Workplace sexual violence against nurses and the role of professional associations.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61(6), 342-347. DOI : 10.5124/jkma.2018.61.6.342 

  3. S. E. Han & K. Y. Lee. (2018). Violence experiences, coping, and response of paramedics in the emergency room.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2(2), 51-65. DOI : 10.14408/KJEMS.2018.22.2.051 

  4. E. O. Park, S. J. Kang, E. K. Lee, E. J. Jee, L. H. Kang & C. H. Baek. (2001). Violenc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 in the hospita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7(2), 187-202. 

  5. S. J. Chang. (2015). The actual condition,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violence in health care providers.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13(1), 88-94. 

  6. S. Y. Hwang & J. Y. Han. (2018). Impact of response to violence and resilience to burnout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4(3), 303-312. DOI : 10.22650/JKCNR.2018.24.3.303 

  7. M. J. Kang & I. S. Park. (2015). Type of violence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92-104. DOI : 10.22650/JKCNR.2015.21.1.92 

  8. J. Gacki-Smith, A. M. Juarez, L. Boyett, C. Homeyer, L. Robinson & S. L. Maclean. (2009). Violence against nurses working in US emergency departments.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39(7/8), 340-349. 

  9. R. P. Kwok et al. (2006). Prevalence of workplace violence against nurses in Hong Kong. Hong Kong Medical Journal, 12(1), 6-9. 

  10. H. J. Kwon, H. S. Kim, K. S. Choe, K. S. Lee & Y. H. Sung. (2007) A study on verbal abuse experienced at medical cent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2), 113-124. 

  11. K. N. Stevenson, S. M. Jack, L. O'Mara & J. LeGris. (2015). Registered nurses' experiences of patient violence on acute care psychiatric inpatient units: an interpretive descriptive study. BMC nursing, 14(1), 35-48. DOI : 10.1186/s12912-015-0079-5 

  12. L. A. Hoff & C. Slatin. (2006). Workplace health and safety: Report of PHASE/MNA focus groups. Massachusetts Nurse, 77(8), 6-13. 

  13. S. K. Kim, H. Y. Ahn & H. S. Kim. (2008). Violence eperiences of cinical nrses and nrse ads in hospital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7(1), 76-85. 

  14. M. K. Kim & S. H. Lee. (2019). Influence of violence experience and self compassion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23(1), 1-11. 

  15. H. J. Kim & H. J. Choi. (2012). Emergency nurses'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compassion satisfaction,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3), 320-328. DOI : 10.11111/jkana.2012.18.3.320 

  16. J. W. Han & B. S. Lee. (2013). The Relationship of post-traumatic stress, job tress and turnover inten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3), 340-350. DOI : 10.11111/jkana.2013.19.3.340 

  17. J. S. Yun. (2004). A study of violence experience from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18. S. Franz, A. Zeh, A. Schablon, S. Kuhnert & A. Nienhaus. (2010). Aggression and violence against health care workers in Germany-a cross sectional retrospective survey. Bio Med Central Health Service Research, 10(51), 1-8. DOI : 10.1186/1472-6963-10-51 

  19. J. Y. Cho, Y. W. Lee, H. S. Kim & S. H. Kim. (2011) Relationships among response for violence experience, hardin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in emergency departmen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5), 494-502. 

  20. S. S. Choi, M. A. Han, J. Park, S. Y. Ryu, S. W. Choi & H. R. Kim. (2015). Impact of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post-traumatic stress on job satisfaction among 119 rescue crew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6(4), 286-296. DOI : 10.0000/jksem.2015.26.4.286 

  21. K. H. Kim & J. E. Lee. (2019). Factors influencing nurses' job satisfaction in integrated nursing and care services unit: focused on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munication efficacy. Korean Journal of Rehabilitaion Nursing, 22(2), 124-133. DOI : 10.7587/kjrehn.2019.124 

  22. H. J. Eun, S. M. Lee & T. H. Kim. (2001). The epidemiological stud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0(4), 581-591. 

  23. H. J. Kim.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traumatic events, compassion fatigu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emergency nurse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