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집단 운동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oup Motor Activity Program on Motor Function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8 no.1, 2020년, pp.23 - 33  

김혜진 (365웃는세상 발달클리닉) ,  제영현 (코키아병원 심리발달클리닉) ,  서정민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은영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집단 운동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만 6~9세 아동 9명에게 대운동과 소운동 요소를 포함한 운동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사전, 사후 평가에서 운동적합성 검사 단축형(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 Short Form; BOT-2 SF)을 사용하여 아동의 운동기능을, 인식효능감 및 목표설정 척도(Perceived Efficacy and Goal Setting, Second Edition; PEGS-2)를 사용하여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결과 : 프로그램 전과 비교하여 프로그램 후, BOT-2 SF와 PEGS-2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결론 : 집단 상황에서 의미 있는 활동으로 제공되는 운동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운동기능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활동 중재 접근이 수행에 대한 객관적 능력과 주관적 인식을 함께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group motor activity programs on motor function and perceived self-efficacy of children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Methods : Nine children aged six to nine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group motor activity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평가자는 아동 에게 각 그림카드에 대해서 설명한 후에 아동이 자신과 비슷한 아동을 나타내는 그림카드를 고르도록 한다. 다음, 평가자는 아동에게 선택한 그림카드의 아동이 자신과 많이 비슷한지 조금 비슷한지에 대해서 묻는다. 점수는 1점(잘 수행하지 못하는 아동과 많이 비슷함), 2점(잘 수행하지 못하는 아동과 조금 비슷함), 3점(잘 수행하는 아동과 조금 비슷함), 4점(잘 수행하는 아동과 많이 비슷함)으로 부여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 운동 활동 프로그램이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아동들의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달적으로 적절하고 의미있는 대운동 및 소운동 활동을 집단 상황에서 제공하였고, 프로그램 전후 아동의 운동기능과 자기효능감을 평가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아동의 운동기능은 브로닉스-오세레츠키 운동적합성 검사 단축형(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nd Edition Short Form; BOT-2 SF; Bruininks & Bruininks, 2005)으로, 자기효능감은 인식효능감 및 목표설정 척도(Perceived Efficacy and Goal Setting System, Second Edition; PEGS-2; Pollock & Missiuna, 2015)로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집단 운동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비장애 아동의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을 보여주었다. 다른 아동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집단 환경에서 소운동 및 대운동 요소를 포함하는 의미 있는 활동을 사용하여 중재한 결과, 아동의 객관적인 운동기능과 주관적인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 다른 아동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집단 환경에서 소운동 및 대운동 요소를 포함하는 의미 있는 활동을 사용하여 중재한 결과, 아동의 객관적인 운동기능과 주관적인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활동 중재가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한 것을 보여줌으로써 활동을 통한 자아 발달에 대한 임상적 함의를 제공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 운동 활동 프로그램이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아동들의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달적으로 적절하고 의미있는 대운동 및 소운동 활동을 집단 상황에서 제공하였고, 프로그램 전후 아동의 운동기능과 자기효능감을 평가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 지역아동센터에서 진행한 활동 중재 프로그램이 운동 기능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킴을 보여준 본 연구는 지역 사회에서 활동 환경의 제한 가능성이 있는 비장애 아동들을 대상으로 실행된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추가적인 증거를 제공한다. 작업 중재 대상이 되는 클라이언트를 장애 아동에서 비장애 아동으로 확장하여 지역아동센터에서 실시된 감각, 시지각, 운동기능을 포함한 활동 프로그램(Kim & Kim, 2016) 및 실행 기능을 포함한 집단 요리활동 프로그램(Lee et al.
  • 활동을 사용한 중재가 특정 기능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에 근거하여 (Cahill, Egan, & Seber, 2020; Craig, Brown, Upright, & DeRosier, 2016) 본 연구는 운동 프로그램이 운동기능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것으로 예측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dkins, M. M., Bice, M. R., Dinkel, D., & Rech, J. P. (2017). Leveling the playing field: Assessment of gross motor skills in low socioeconomic children to their higher socioeconomic counterparts. International Journal of Kinesiology and Sports Science, 5(3), 28-34. http://dx.doi.org/10.7575/aiac.ijkss.v.5n.3p.28 

  2. Annesi, J. J. (2006). Relations of physic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with frequency of voluntary physical activity in preadolescents: Implications for after-school care programming.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1(4), 515-520.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06.04.009 

  3. Bellows, L. L., Davies, P. L., Anderson, J., & Kennedy, C. (2013). Effectiveness of a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for head start preschoolers: A randomized intervention stud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7(1), 28-36. http://dx.doi.org/10.5014/ajot.2013.005777 

  4. Berk, L. E. (2015). Self and social understanding. In J. Mosher (Eds.), Child Development (9th ed., pp. 446-483). Boston: Pearson. 

  5. Bruininks, R. H., & Bruininks, B. D. (2005).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nd ed.). Minneapolis, MN: Pearson Assessment. 

  6. Cahill, S. M., Egan, B. E., & Seber, J. (2020). Activity- and occupation-based interventions to support mental health, positive behavior,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children and youth: A systematic review.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74(2), 1-28. http://dx.doi. org/10.5014/ajot.2020.038687 

  7. Case-Smith, J. (2014). An overview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In J. Case-Smith & J. C. O'Brien (Eds.),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7th ed., pp. 16-17). St. Louis, Missouri: Elsevier. 

  8. Cermak, S. A., Gubbay, S. S., & Larkin, D. (2002). What i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In S. A. Cermak & D. Larkin (Ed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pp. 2-22). Albany, NY: Delmar Thomson. 

  9. Chen, Y. N., Lin, C. K., Wei, T. S., Liu, C. H., & Wuang, Y. P. (2013). The effectiveness of multimedia visual perceptual training groups for the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4(12), 4447-4454. http://dx.doi.org/10.1016/j.ridd.2013.09.023 

  10. Choi, J. H., & Kim, H. (2018).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fine motor,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6(1), 25-34. https://doi.org/10.14519/jksot.2018.26.4.09 

  11. Codella, R., Puci, M. V., Vandoni, M., Correale, L., Galvani, C., Togni, F., et al. (2020). School self-efficacy is affected by gender and motor skills: Findings from an Italian study. PeerJ, 8, e8949. https://doi.org/10.7717/peerj.8949 

  12. Craig, A. B., Brown, E. R., Upright, J., & DeRosier, M. E. (2016). Enhancing children's social emotional functioning through virtual game-based delivery of social skills training.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5(3), 959-968. http://dx.doi.org/10.1007/s10826-015-0274-8 

  13. Damon, W., & Hart, D. (1988). Self-understand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Ferguson, G. D., Naidoo, N., & Smits-Engelsman, B. C. (2015). Health promotion in a low-income primary 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DCD benefit, but differently. Physical & Occupational Therapy in Pediatrics, 35(2), 147-162. https://doi.org/10.3109/01942638.2015.1009230 

  15. Ferreira, L., Godinez, I., Gabbard, C., Vieira, J. L. L., & Cacola, P. (2018). Motor development in school-age children is associated with the home environment including socioeconomic status. Child Care Health and Development, 44(6), 801-806. http://doi.org/10.1111/cch.12606 

  16. Haapala, E. A. (2013).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motor skills in relation to cogni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hildren - A review. Journal of Human Kinetics, 36(1), 55-68. https://doi.org/10.2478/hukin-2013-0006 

  17. Hong, E. K., & Kim, H. G. (2009).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skill, and social Skil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2), 1-12. 

  18. Hong, E. K., & Kim, K. M. (2009). The effect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play skill and social inter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1), 13-25. 

  19. Jirovec, J., Musalek, M., & Mess, F. (2019). Test of motor proficiency second edition (BOT-2): Compatibility of the complete and short form and Its usefulness for Middle-Age School Children. Frontiers in Pediatrics, 7, 153. http://dx.doi.org/10.3389/fped.2019.00153 

  20. Kim, H. J., & Kim, E. Y. (2016). The effect of group occupational activity program on visual perception and motor function of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 cent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4(1), 9-18. http://dx.doi.org/10.18064/JKASI.2016.14.1.009 

  21. Kim, J. M., & Kim, K. M. (2009).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for sensory motor ability and behavio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2), 13-22. https://doi.org/10.1097/00004703-200410000-00037 

  22. Lee, C. H., Gwon, S. J., Lee, S. M., Je, Y. H., Jo, Y. N., & Kim, E. Y. (2018). The Effects of group cooking program on executive function of the non-disabled children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8(3), 59-67. https://doi.org/10.18598/kcbot.2018.8.3.06 

  23. Maddux, J. E., & Kleiman, E. M. (2016). Self-efficacy: A foundational concept for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In A. M. Wood & J. Johnson (Eds.), The Wiley handbook of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p. 89-101). Wiley-Blackwell. https://doi.org/10.1002/9781118468197.ch7 

  24. Missiuna, C. (1998). Development of "All about Me," a scale that measures children's perceived motor competence. OJTR: Occupation, Participation and Health, 18(2), 85-108. http://dx.doi.org/10.1177/153944929801800202 

  25. O'Brien, J. C., (2014). Application of motor control/motor learning to practice. In J. Case-Smith & J. C. O'Brien (Eds.),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7th ed., pp. 193-219). St. Louis, Missouri: Elsevier. 

  26. Oosterwegel, A., & Oppenheimer, L. (1993). Development of the self-system: How children perceive their own and others' ideas about themselve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4(4), 443-460. http://dx.doi.org/10.1016/0193-3973(93)90001-C 

  27. Peterson, C. Q., & Nelson, D. L. (2003). Effect of an occupational intervention on printing in children with economic disadvantag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7(2), 152-160. http://dx.doi.org/10.5014/ajot.57.2.152 

  28. Pollock, N., & Missiuna, C. (2015). The Perceived Efficacy and Goal Setting System (2nd ed.). Hamilton, ON: CanChihld. 

  29. Toledano-Gonzalez, A., Labajos-Manzanares, T., & Romero-Ayuso, D. (2019). Well-being, self-efficacy and independence in older adults: A randomized trial of occupational therapy.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83, 277-284. http://dx.doi.org/10.1016/j.archger.2019.05.002 

  30. Walter, J. R., & Winston, K. (2017). Therapeutic occupations and modalities. In H. M. Pendleton & W. Schultz-Krohn (Eds.), Pedretti's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8th ed., pp. 710-727). St. Louis, Missouri: Elsevier. 

  31. Wiederkehr, V., Darnon, C., Chazal, S., Guimond, S., & Martinot, D. (2015). From social class to self-efficacy: Internalization of low social status pupils' school performance.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18, 769-784. http://dx.doi.org/10.1007/s11218-015-930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