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달서천에 서식하는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 개체군 특성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Dalseo Stream, South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1, 2020년, pp.127 - 136  

왕주현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  최준길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황구 (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배수가 유입되는 대구시 달서천을 대상으로 나일틸라피아의 개체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1월부터 11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리적 서식환경분석 결과 낮은 수심과 자갈, 모래/진흙의 비율이 높은 하상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서식환경 분석 결과 달서천의 전기전도도(EC)는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온 및 수온 분석 결과 달서천은 연중 10℃ 이상의 수온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호강은 3월부터 10℃ 이상의 수온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류상 조사결과 총 8과 20종 4,247개체가 출현하였다. 상대풍부도 분석 결과 나일틸라피아가 1,306개체(30.75%)로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시기별 나일틸라피아 개체수 분석 결과 6월 30일 조사 시 급격한 개체수 증가를 보였다. 나일틸라피아 개체군의 길이-무게 분석 결과 회귀계수 b값은 3.1496으로 나타났으며, 비만도지수(k) 기울기는 0.0025로 양의 기울기로 분석되었다. 조사시기별 달서천의 수온과 나일틸라피아 전장을 비교·분석한 결과 22℃ 이상의 수온을 유지하는 5월 29일 조사시 당년생 개체가 출현하였다. 전장빈도 분포 분석 결과 당년생은 0~110 mm, 1년생~2년생은 120~210 mm, 2년생 이상의 개체는 >210 mm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나일틸라피아 개체군 생식소중량지수(GSI) 분석 결과 수컷과 암컷 모두 3월 11일 조사시 중앙값이 가장 높았으며, 3월 이후 중앙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일틸라피아의 개체 무게(BW), 생식소중량(GS), 생식소중량지수(GSI) 간의 상관 분석 결과 개체 무게가 유사더라도 암컷 개체의 생식소중량과 생식소중량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달서천에 서식하고 있는 나일틸라피아 개체군은 온배수로 인해 겨울철에도 생존이 가능하며, 안정적인 생활사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수온이 10℃ 이상으로 상승하는 3월 이후부터는 달서천에서 금호강으로 서식처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금호강을 중심으로 나일틸라피아 개체군의 서식 분포 파악을 통해 나일틸라피아 개체군 관리 및 담수어류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하천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the Daegu Metropolitan City thermal effluent stream (Dalseo Stream) from January to November 2019. The collected fish were identified as 4,247 individuals of 20 species from a total of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6)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국내 일부 하천에 서식하고 있는 나일틸라피아 개체군의 생태특성에 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달서천을 대상으로 온배수 유입에 따른 나일틸라피아 개체군의 생태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틸라피아 (Tilapia)는 무엇인가? 틸라피아 (Tilapia)는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시클리드과 (Cichlidae)의 열대어로 전 세계적으로 약 100여 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Trewavas 1983),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양식화된 어류 중 하나이다 (FishBase 2007; Molnar et al. 2008).
나일틸라피아가 겨울철 국내에서 생존할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인가? 그러나 Kong et al. (2011)에 의하면, 공업단지에서 유입되는 온배수로 인해 황구지천에 나일틸라피아 개체군이 서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달서천 또한 높은 수온의 온배수가 연중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어 겨울철에도 나일틸라피아가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달서천 이외에도 온배수가 유입되는 일부 하천(금호강, 곡교천, 남강, 진천천 등)에서도 나일틸라피 아의 서식이 보고된 바 있다(NIER 2015, 2016; Yoon et al.
ISSG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에서 나일틸라피아를 세계 100대 침습종으로 지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2005), 국내에 도입된 나일틸라피아(Oreochromis niloticus)는 하천 서식환경의 악화 및 부영양화의 발생을 유발하기도 한다 (Figueredo and Giani 2005). 특히, 양식에 특화된 나일틸라 피아의 경우에는 성장과 번식이 매우 빠르고, 높은 생존율로 인해 새로운 환경에 대한 침습성이 강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Canonico et al. 2005; FAO 2006), 식물플랑크톤, 부착생물, 수생식물, 작은 무척추동물, 저서동물 및 유기물 등을 섭식하는 잡식성으로 토착종과의 먹이경쟁에서 우위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AO 2006; Zambrano et al. 2006). 따라서 침습종 관리 기관인 ISSG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에서는 높은 침습성을 갖는 나일틸라피 아를 세계 100대 침습종으로 지정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ISSG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dmassu D. 1996. The breeding season of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in Lake Awassa (Ethiopian rift valley). Hydrobiologia 337:77-83. 

  2. Anderson R and S Gutreuter. 1983.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pp. 283-300. In: Fisheries Techniques (Nielsen L and D Johnson, eds.). Bethesda, MD. 

  3. Anderson RO and RM Neumann. 1996.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pp. 447-482. In: Fisheries Techniques (Murphy BR and DW Willis, eds.). Bethesda, MD. 

  4. Bwanika GN, DJ Murie and LJ Chapman. 2007. Comparative age and growth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in lakes Nabugabo and Wamala, Uganda. Hydrobiologia 589:287-301. 

  5. Canonico GC, A Arthington, JK McCrary and ML Thieme. 2005. The effects of introduced tilapias on native biodiversity. Aquat. Conserv.-Mar. Freshw. Ecosyst. 15:463-483. 

  6. Carl BS and MM Peter. 1990. Methods for Fish Biology. American Fisheries Society, MD. p. 684. 

  7. Charo-Karisa H, MA Rezk, H Bovenhuis and H Komen. 2005. Heritability of cold tolerance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juveniles. Aquaculture 249:115-123. 

  8. Chervinski J and M Lahav. 1976. The effect of exposure to low temperature on fingerlings of local tilapia (Tilapia aurea) (Steindacher) and imported tilapia (Tilapia vulcani) (Trewavas) and Tilapia nilotica (Linne) in Israel. Bamidgeh 28:25-29. 

  9. Chervinski J. 1982. Environmental physiology of tilapias. pp. 119-128. In: The Biology and Culture of Tilapia. Proceedings of the 7th ICLARM Conference. Manila, Philippines. 

  10. Cnaani A, GAE Gall and G Hulata. 2000. Cold tolerance of tilapia species and hybrids. Aquac. Int. 8:289-298. 

  11. Cummins K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 Am. Midl. Nat. 67:477-504. 

  12. Dan NC and DC Little. 2000. Overwintering performanc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broodfish and seed at ambient temperatures in northern Vietnam. Aquac. Res. 31:485-493. 

  13. FAO. 2006. Cultured Aquatic Species Information Programme - Oreochromis niloticus. Fis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14. FAO. 2007. Species Fact Sheets Oreochromis niloticus (Linnaeus, 1758). Fis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15. Figueredo CC and A Giani. 2005. Ec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L.) and the phytoplanktonic community of the Furnas Reservoir (Brazil). Freshw. Biol. 50:1391-1403. 

  16. FishBase. 2007. Oreochromis niloticus niloticus Nile tilapia: Summary. www.fishbase.org, version (12/2019). 

  17. Fryer G and TD Iles. 1972. Cichlid Fishes of the Great Lakes of Africa.: Their Biology and Evolution. Oliver and Boyd, Edinburgh, Scotland. p. 641. 

  18. Gozlan RE, S St-Hilaire, SW Feist, P Martin and ML Kent. 2005. Disease threat to European fish. Nature 435:1046. 

  19. Han SC, HY Lee, EW Seo, JH Shim and JE Lee. 2007. Fish fauna and weight-length relationships for 9 fish species in Andong reservoir. J. Life Sci. 17:937-943. 

  20. Hofer SC and SA Watts. 2002. Cold tolerance in genetically male tilapia (GMTR), Oreochromis niloticus. World Aquac. Baton Rouge 33:19-22. 

  21. Hur JW, BH Min, IS Park, JH Im, JY Lee and YJ Chang. 2004. Stress response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by salinity challenges in a recirculating system. J. Ichthyol. 16:94-99. 

  22. ISSG. 2015. Global Invasive Species Database (GISD) species profile Oreochromis niloticus. Invasive Species Specialist Group. Available from: http://www.iucngisd.org/gisd/species. p. 8. 

  23. Kim DS and IS Park. 1990. Genetic identification of hatchery reared tilapia strains. J. Aquacult. 3:31-37. 

  24.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Seoul. p. 465. 

  25.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Seoul. p. 515. 

  26. Kim YC, MH Hwang and IS Park. 1999. Effect of dietary herb medical stuff on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J. Fish Pathol. 12:7-15. 

  27. Kim YH and JY Jo. 1999. Oxygen consumption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relation to body weight and water temperature. Korean Soc. Fish. Aquat. Sci. 12:247-254. 

  28. Kong DS, OM Lee, HB Song and MY Song. 2011. Survey and Recovery Measures on the Aquatic Ecosystem of Jinwi Stream. KYDI Research No. 2010-10. Gyeonggi Research Institute, Suwon, Korea. p. 145. 

  29. Kwon JY, DJ Penman and HC Kwon. 2006. The Timing of Aromatase Action for Sex Differentiation in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Dev. Reprod. 10:197-202. 

  30. Molnar JL, RL Gamboa, C Revenga and MD Spalding. 2008. Assessing the global threat of invasive species to marine biodiversity. Front. Ecol. Environ. 6:485-492. 

  31. Ney JJ. 1993. Practical use of biological statistics. pp. 137-158. In: Inland Fisheries Management in North America. American Fisheries Society, Bethesda, MD. 

  32. NIER. 2015-2016. The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33. Oh SY and JY JO. 2005. Effects of body weight and dietary protein level on ammonia excretion by the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Korean Soc. Fish. Aquat. Sci. 18:122-129. 

  34. Park IS, GC Choi, JK Nok and DS Kim. 2002. Acute toxicity of sodium chloride, formalin and potassium permanganate to Nile tilapia fry. Korean Soc. Fish. Aquat. Sci. 15:119-121. 

  35. Park JW, JY Kwon, YH Jin and SY Oh. 2016. Effects of fasting on brain expression of Kiss2 and GnRH I and plasma levels of sex steroid hormones, in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Ocean Polar Res. 38:81-88. 

  36. Scott AG, DJ Penman, JA Beardmore and DOF Skibinski. 1989. The 'YY' supermale in Oreochromis niloticus (L.) and its potential in aquaculture. Aquaculture 78:237-251. 

  37. Suh KH, BJ Kim and JY Jo. 2002. Cultur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Korean J. Fish. Aquat. Sci. 35:27-34. 

  38. Tave D, V Jayaprakas and RO Smitherman. 1990. Effects on intraspecific hybridization in Tilapia nilotica on survival under ambient winter temperature in Alabama. J. World Aquacult. Soc. 21:201-204. 

  39. Trewavas E. 1983. Tilapiine fishes of the genera Sarotherodon, Oreochromis and Danakilia.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London. 

  40. Yoon JD, JH Kim, SH Park and MH Jang. 2018. The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freshwater fishes in Korean Peninsula. J. Ecol. Environ. 51:71-85. 

  41. Zambrano L, E Martinez-Meyer, N Menezes and AT Peterson. 2006. Invasive potential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and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in American freshwater systems. Can. J. Fish. Aquat. Sci. 63:1903-1910. 

  42. Zhu H, Z Liu, M Lu, F Gao, X Ke, D Ma, Z Huang, J Cao and M Wang. 2016.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a microsatellite marker associated with sex in Wami tilapia, Oreochromis urolepis hornorum. J. Genet. 95:283-2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