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남부권역 주요 수계 농수로의 어류 군집 특성
Fish distribution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waterway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n watershed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8 no.1, 2020년, pp.146 - 159  

지성민 (고려대학교 생명공학부) ,  성무성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  김정훈 (영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박준휘 (한림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현구 (한림대학교 생명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수계 중 만경강, 섬진강, 남해권 수계, 탐진강, 영산강, 동진강과 연결된 농수로 어류의 종 조성과 어류 길드 특성,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 9월부터 2018년 8월까지 4회에 걸쳐 현지 조사를 시행한 결과, 어류는 농수로에서 6목 11과 53종 3,633개체가 출현하였고 본류에서 9목 15과 57종 7,108개체가 출현했다. 농수로의 우점종과 아우점종은 칼납자루(Tanakia koreensis)와 납자루(T. lanceolata)로 나타났으며, 납자루아과의 어종이 우점하는 지점이 10지점 중 6지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담수성 이매패류의 서식에 기인한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임실납자루(T. somjinensis)가 섬진강 수계의 농수로에서 출현했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큰줄납자루(Acheilognathus majusculus)와 꺽저기(Coreoperca kawamebari)가 각각 섬진강 수계, 섬진강과 탐진강 수계의 농수로에서 출현했다. 지점별로 어류 길드 분석 결과, 대체로 농수로가 본류보다 낮은 민감종의 비율을 나타냈다. 군집 분석 결과 하상 구조가 복잡하게 나타난 지점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군집을 보였으며, 환경적 변수에 따른 분석 결과 하상 구조가 복잡한 농수로 그룹이 높은 다양도 지수와 낮은 우점도 지수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농수로의 어류 서식 특성을 나타내고, 향후 연구와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of fish species and their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agricultural waterways in the six water systems-Mankyung River, Seomjin River, Namhae Region, Tamjin River, Yeongsan River, and Dongjin River-during 2017-2018. Little 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9), 농수로는 국가 차원 및 개인 연구 단위에서 조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개척 생태연구에 이바지를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주요 수계 중 만경강, 섬진강, 남해권 수계, 탐진강, 영산강, 동진강과 연결된 농수로 어류의 종 조성과 어류 길드 특성, 군집 특성을 분석하였다. 2017년 9월부터 2018년 8월까지 4회에 걸쳐 현지 조사를 시행한 결과, 어류는 농수로에서 6목 11과 53종 3,633개체가 출현하였고 본류에서 9목 15과 57종 7,108개체가 출현했다.
  • 본 연구는 지도 조사를 통해 남부권역을 중심으로 본류와 연결된 용수로인 농수로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사전 현장 조사를 통해 수심 0.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권역 주요 수계의 농수로 수체 (Water body)를 연구 대상으로 하며, 만경강 수계(전북 완주군, 전주시), 섬진강 수계(전북 임실군, 남원시, 전남 보 성군), 남해권 수계(전남 광양시), 탐진강 수계(전남 장흥군), 영산강 수계(광주광역시), 동진강 수계(전북 정읍시)에 있는 농수로 지점을 선정한 후 어류 서식지의 물리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농수로 내 어종 조성, 어류 길드, 군집 특성을 분석하여 농수로 수체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 지역은 환경부 주관 조사사업(전국자연환경조사, 육수 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국토부 조사사업(소하천 정비사업) 등에서 인접 하천의 어류 조사가 시행되었으나(Na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ae BS, HB Song, JY Park, GH Cho, IS Kim and SJ Cho. 2019. A Field Guide to the Freshwater Fishe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Seoul. 

  2. Hata K. 2002. Perspectives for fish protection in japanese paddy field irrigation systems. JARQ-Jpn. Agric. Res. Q. 36:211-218. 

  3. Herzon I and J Helenius. 2008. Agricultural drainage ditches, their biological importance and functioning. Biol. Conserv. 141:1171-1183. 

  4. Hyun JO, HR Na, G Park, JW Kim, HT Im, JM Hwang, YB Jo, HB Song, SC Lee, OS Jeong and HS Oh. 2012. Guidelines for the Fourth Nationwide-Survey of the Nature and Environment of Korea (translated by author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5. Jang CS. 2019.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inland waters in Gwangyang, Korea.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6. Jang KS, JO Kim, HJ Kim, SH Lee, KJ Ji, JH Jeong, JB Seo and JH Choi.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Infrastructure to Improve Bio-Diversity in Paddy Wetlands.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Suwon, Korea. 

  7. Kadowaki Y, Y Kubota, S Sanuki and K Nakata. 2017. Habitat preference of freshwater fishes inhabiting an agricultural channel with restoration methods during the active and wintering seasons. Transact. Jpn. Soc. Irrig. Drain. Rural Eng. 85:61-70. 

  8. Kang YJ, SJ Lee and KG An. 2019. Physical habitat and chemic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ecologically disturbing fish (largemouth bass and bluegill) in Dongjin-river watershed. Korean J. Environ. Biol. 37:177-188. 

  9. Katano O, K Hosoya, K Iguchi, M Yamaguchi, Y Aonuma and S Kitano. 2003.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freshwater fishes in irrigation ditches around rice fields. Environ. Biol. Fishes 66:107-121. 

  10. Kim CH, WO Lee, JH Lee and JM Beak. 2011a. Reproduction study of Korean endemic species Acheilognathus koreensis. Korean J. Ichthyol. 23:150-157. 

  11. Kim IS and JY Park. 2005.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12. Kim JO, HS Shin, JH Yoo, SH Lee, KS Jang and BC Kim. 2011b. Distribution of fish in paddy fields and the effectiveness of fishways as an ecological corridor between paddy fields and streams. Korean J. Limnol. 44:203-213. 

  13. Kondo T, H Yang and SH Choi. 2007. Two new species of unionid mussels (Bivalvia: Unionidae) from Korea. VENUS 66:69-73. 

  14. Kwon SJ, YC Jun and JH Park. 2013. Benthic Macroinvertebrates. Nature & Ecology. Seoul. 

  15. Lee JG, JA Lee, SH Kim, JS Mun, DR Kwon, BG Kang, NR Song and SH Kim. 2016. Biomonitoring Survey and Assessment Manual.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16. Lee JH, JH Han, Lim BJ, JH Park, JK Shin and KG An. 2013. Comparative analysi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s before and after the artificial weir construction in the mainstreams and tributaries of Yeongsan river watershed. Korean J. Ecol. Environ. 46:103-115. 

  17. Manly BFJ. 2006. Randomization, Bootstrap and Monte Carlo Methods in Biology. CRC Press. Boca Raton, FL. 

  18.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biology. Gen. Syst. 3:36-71. 

  19. Moon WK and KG An. 2007.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fish community of small first-order stream. Korean J. Limnol. 40:163-170. 

  20. Moon WK, DY Bae, DH Kim, HB Shin, JB Suh, KH Lim, EH Lee, JS Yoo, KG An and JK Kim. 2019. Assessment of fish fineness ratios passing through a fishway. Korean J. Environ. Biol. 37:726-734. 

  21. Na HH, SJ Lee and KG An. 2019. The influence of chemical water quality on fish trophic guilds, pollution tolerance, and multimetric ecological health in the main streams of Mangyeong river. Korean J. Environ. Biol. 37:8-18. 

  22. Nakata K, Y Miyatake, K Kawai, S Kobayashi, SN Ham, M Saito and AOE Hiroshi. 2017. Habitat preference by the endangered bitterling fish Rhodeus atremius suigensis in an agricultural channel in southern Okayama, western Japan. Ecol. Civ. Eng. 19:117. 

  23. Nam DW, SS Cha, CG Choi, JB Lee and HY Lee. 2009. Ichthyofauna and habitat type of the fish in Tamjin river system, Korea. J. Environ. Sci. 18:1001-1010. 

  24. Nam GS, EH Lee, M Kim, YS Pae and HY Eum. 2013. Characteristics of aquatic environment and algal bloom in a smallscaled agricultural reservoir (Jundae reservoir). Korean J. Environ. Biol. 31:429-439. 

  25. Nelson JS, TC Grande and MVH Wilson. 2016. Fishes of the World (5th ed.). John Wiley & Sons. Hoboken, NJ. 

  26. Ohira M, H Tsunoda, K Nishida, Y Mitsuo and Y Senga. 2015. Niche processes and conservation implications of fish community assembly in a rice irrigation system. Aquat. Conserv.-Mar. Freshw. Ecosyst. 25:322-335. 

  27. Park JY and SH Kim. 2010. Liobagrus somjinensis, a new species of torrent catfish (Siluriformes: Amblycipitidae) from Korea. Ichthyol. Explor. Freshw. 21:345. 

  28. Park SK and HS Joo. 2015. Fish fauna in the Seomjin river,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3:314-329. 

  29.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30. Shannon CE. 1948. A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Bell Syst. Tech. J. 27:379-423. 

  31.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688. 

  32. Statistics Korea. 2019. Agricultural land area. Daejeon, Korea. Available at: kostat.go.kr 

  33. Vasil’eva ED, D Kim, VP Vasil’ev, MH Ko and YJ Won. 2016. Cobitis nalbanti, a new species of spined loach from South Korea, and redescription of Cobitis lutheri (Teleostei: Cobitidae). Zootaxa 4208:577-591. 

  34. Wentworth CK. 1922. A scale of grade and class terms for clastic sediments. J. Geol. 30:377-392. 

  35. Yoon SJ, JK Choi and HG Lee. 2014. Comparison of fish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by substrate structure in the 4 streams1a. Korean J. Environ. Ecol. 28:302-3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