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철 광고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DIY의생활소품 키트 개발
Developing Upcycled DIY Kit Made from Subway Billboard Material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2 no.1, 2020년, pp.1 - 14  

강보경 (고려대학교대학원) ,  이예영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DIY 의생활소품 키트의 개발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디자인프로세스 관련 연구를 참고하여 사전조사 및 분석, DIY 의생활소품 키트의 제작 방향 설정, DIY 의생활소품 키트의 완성, DIY 의생활소품제작 실행 및 평가의 네 단계를 설계하였다. DIY 의생활소품 제작 실행 및 평가 단계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완성품인 파우치, 갑티슈 케이스, 필통 DIY 키트 중 지퍼를 다는 과정이 포함된 파우치 만들기를 선정하여, 실제 제작참여자인 서울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명과 성인 여성 4명을 대상으로 실행하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파우치 만들기는 1시간 이내로 완수할 수 있었고, 중상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며, 제작방법 동영상의 배속 조정이나 광고판의 소재의 개선이 된다면 기존의 업사이클링 교육에서 활용되던 소재보다 생소한 지하철 광고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을 통해 환경의식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된 지하철 광고판을 활용해 만든 DIY 키트는 중·고등학생의 친환경적 의생활 노작교육은 물론 힐링을 위한 환경친화적 성인 취미생활의 자료를 마련할 수 있으며, DIY 키트의 대량생산을 통해 상품으로도 개발이 가능하고 이러한 상품은 환경의식 개선과 함께 경제적 이익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upcycled DIY kits made from subway billboard material to make living product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ollowing four stages of design process: research and analyses, DIY kits' design direction establishment, completion of DIY kits,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절에서는 DIY 키트의 수정 보완을 위해 제작참여자를  모집하여 세 가지의 소품 중 비교적 제작이 수월하며 지퍼를다는 과정이 포함된 파우치를 제작하도록 하였다. DIY 키트 제작 실행은 교육적 활용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실제 적용해보고 의견을 물어 키트의 완성에 참고하기 위함이며, 성인용 취미활동 키트로 제안하기 위해 실제 다양한 연령층의 여성들에게 적용해보고 개선점을 발견해 수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제작과 관련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완성된  DIY 키트의 보완점을 알아보았다.
  • 직접 만지고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교육 활동 속에서 청소년들은 무한한 잠재력과 상상력을 발휘하고, 학습에 대한 관심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Jang, 2010; Jeon, 2019).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평생교육과 개인의 성취감을 목적 으로 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성인 노작 활동을 통한 평생교육뿐 만 아니라 가정 교과에서의 실습 또는 방과 후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DIY 키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또한, 잉크 흡수에 유리하도록 잉크젯 코팅을 적용한 백릿 필름은 이염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른 소재보다 유연성이 좋아 간단한 패션 소품을 제작하 기에 적합한 플렉스를 DIY 소재로 채택하였다. 플렉스는 이염의 우려가 적은 대신 두꺼운 소재이기 때문에 바느질이 어렵기도 하고 바느질을 할 줄 모르는 사람들의 제작이 용이하도록 스테이플러로 대체하였다.
  • 모든 소품의 제작시간은 청소년들이 자유학기제나 방과후 학교 등의 실습에서 1시간 이내에 만들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제작방법을 동영상으로 제작할 때에도  총 제작시간을 고려하여 5분 이내에 볼 수 있도록 영상을 계획하였다.
  •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DIY 의생활소품 키트의 개발을 통해 막대하게 버려지는 광고판의 재활용 가치를 제고함과 동시에 직접 제작해볼 수 있는 노작 경험의 제공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 환경보호 노력의 일환으로 개발된 업사이클링 DIY 의생활소품 키트는 청소년들의 노작교육이나 가정 교과 수업에서의 실습 또는 방과 후 수업 교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활쓰레기와 폐기물 등으로 위협받고 있는 환경 속에서 현대 인들의 힐링 욕구를 충족할 수 있도록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원데이클래스, 취미 공방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환경오염을 줄이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버려진 지하철 광고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DIY 의생활소품 키트를 개발하여 중·고등학생의 친환경적 의생활 노작교육은 물론힐링을 위한 환경친화적 성인 취미생활의 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 그중에서도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의 열풍과 함께 주 52시간 근무제가 대기업을 위주로 시행됨에 따라 온라인 쇼핑몰에서 취미용품을 구매하는 20, 30대 여성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Pyeon, 2018). 본 연구에서는 DIY 키트를 제작하기 위해 취미활동으로 이루어지는 DIY 중 패션 소품 제작에 어떤 DIY 키트가 사용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 2009).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으로 DIY 키트를 개발하기 위해 패션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단계를 설정하였다. 패션에서의 디자인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 40대와 50대 여성 참여자는 같은 장소와 같은 시간에 제작을 진행하였으나, 서로 간 상의를 하거나 도움을 주고받는 것 없이 연구자의 관찰 아래 연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인 업사이클링 DIY 의생활소품 키트의 개발을 통해 막대하게 버려지는 광고판의 재활용 가치를 제고함과 동시에 직접 제작해볼 수 있는 노작 경험을 제공 하기 위함에 따라 연령에 따라 난이도가 상이한지, 환경의식개선에 도움이 되는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DIY 키트의 구성과 소품 제작 방법이 담긴 동영상, 안내서의 보완점, 제작 시 어려웠던 점, 환경의식 개선 여부, 전체적인 난이도를 개방형으로 서술하게 하였다.
  • 이에 따라 안내서에 내용을 추가하였다. 여섯째, 20대 참여자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DIY 키트의 평이한 디자인과 차별화되는 개성 있는 파우치를 만들 수 있는 패턴을 제시해줄 것을 제안했으나 본 연구에 서는 소재의 두께, 스테이플러 작업 후 뒤집기의 용이성 등을고려해 확정한 파우치 디자인을 유지하고자 했다. 일곱째, 20, 50대 참여자가 동영상 재생 속도가 빠르다는 의견을 주어 동영상의 속도를 조절하였다.
  • 다른 소품보다는 크기가 작은 필통은 광고판 소재가 두꺼워 뒤집을 때 어려움이 따랐다. 이에 따라 덕테이프의 크기를 줄여 소재가 더 두꺼워지는 것을 막아 뒤집는 과정을 돕고자 계획하였다.
  •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과 가정과학 교과서의 업사이클링 관련 내용을 살펴본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청바지나 셔츠와 같은 헌 옷 또는 폐현수막을 이용하여 가방, 방석, 쿠션, 필통 등의 의생활소품을 바느질하여 제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업사이클링 소품의 제작 수준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 제작할 의생활소품을 선정하고, 업사이클링 소재로 주로 사용되는헌 옷 또는 폐현수막 이외에 버려진 광고판의 재활용 가치를 제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사례가 없는 지하철 광고판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DIY 의생활소품 키트 개발을 진행하였다.또, 테이프공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바느질이 아닌 스테이플러를 활용해 소품을 제작하도록 구성하여 키트에 대한 독자성을 확보하였다.
  • 이렇게 지하철광고판을 업사이클링 한 제품으로는 가방, 파우치, 필통이 가장 많았고 이외에도 카드지갑, 부채 등이 있었다. 이와 테이프공예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파우치와 갑티슈케이스, 필통을 제작할 수 있는 DIY 키트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자인프로세스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패션에서의 디자인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 Davis(1980)는목표 설정, 외부 영향 분석, 기준 확립, 계획, 완성, 평가라는여섯 단계를 제시하였고, Watkins(1988)는 문제를 해결함에있어 예술적 감성에 기반한 형태적 특성과 과학에 기초를 두는 기능적 특성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인 프로세스로 수용, 분석, 정의, 발상, 선택, 수행, 평가의 일곱 단계를 제안하였다.Lamb와 Kallal(1992)은 디자인프로세스로 소비자의 요구가 중시되는 FEA 모델로, 초기 아이디어 구성 단계, 전 단계의 결과를 구체화하는 디자인 개선 단계, 견본 개발 단계, 평가단계, 실행단계의 여섯 단계를 제안하였다.
DIY가 성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Do It Yourself”의 약자인 DIY는 “스스로 할 수 있다”라는 뜻으로, 실생활과 관련된 여러 분야에서 정형화된 완제품을 구매하기보다 반제품 상태로 구매하여 본인만의 개성을 담은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DIY는 여가시 간의 증가와 인건비의 상승, 소비자의 절약정신, 생활양식의 변화 등의 이유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DIY와 관련해서는 DIY 상품, DIY 패키지 등의 용어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Jang, 2009; Kim, 2013; Ko, 2018; Lee, 2017), ‘조립을 해서 무엇을 바로 만들 수 있도록 부품들을 모아 놓은 것’을 의미하는 키트(Kit)라는 용어가 본 연구에 더욱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업사이클링은 무엇인가? 오늘날 우리는 미세먼지, 방사능 물질, 생활쓰레기와 폐기물 등 환경을 위협하는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을 줄이고자 폐자원에 미적 가치를 더하여 원래의 용도와는 전혀 다른 제품으로 생산하는 업사이클링 디자인(Up-cycling Design)에 대한 연구가 관심을 끌고 있다(PMG Knowledge Engine Research Institute, 2017). 친환경 제품의 생산과 소비를 활성화 하며 인간의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디자인 방법인 업사이클링과 관련된 연구는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업사이클 소재로는 헌 옷, 폐가죽, 폐현수막 등이 주를 이루고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I. S., & Kim, H. K. (2015). Up-cycling product development for daily household supplies utilizing used je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1), 76-88. doi:10.7233/jksc.2015.65.1.076 

  2. Ahn, M.-Y., Lee, Y.-H., Park, J.-O., Suh, M.-A., & Jin, S.-M. (2006).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niform design according to business types: Focused on the case of Korean tobacco and ginseng corporation's uniform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2), 306-315. 

  3. 광고판의 부활, Banners [Revival of billboard, Banners]. (2018, May 17). Samsungcard. Retrieved from https://www.samsungcard.com/csr/open-suggestion/suggestion/USCCOS0105M0.jsp?seqn2335&opppsSsonSeqn1248329&seaPsbYn012&seaPsbYn02&opppsRgrNm&opppsTitNm&opppsCn&hidSeak&no1NextKeyCn&no2NextKeyCn&pgeNo1&pgSize&flag&aryCriCn2&linkUrl%2Fcsr%2Fopen-suggestion%2Ftheme%2FUSCCOS0101M0.jsp%3Ftab%3D02 

  4. Kim, K. T., Choi, C. K., Yum, M. K., Eun, J. Y., Lee, J. K., Kim, J. W.,...Cho, Y. Y. (n.d.). Encyclopedia of academics: Social science. [학문명백과: 사회과학]. Gyeonggi: Hyungseul. 

  5. Choi, K. W. (2012, July). 영역 넓혀가는 DIY 파워 [Expanding DIY market power, special section]. Kitchen & Living, http://www.kitchennliving.co.kr/thema/thema_view.aspx?idx283&findWordDIY 

  6. Choi, M. S. (2012). A proposal for the upcycling design using waste glass bottles.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3(6), 467-477. 

  7. Davis, M. L. (1980). Visual design in dress. NJ: Prentice-Hall. 

  8. Dieffenbacher, F. (2013). Fashion thinking: Creative approaches to the design process. New York: AVA. 

  9. Hwang, H. K. (2019, January 26). 옥외광고시장 줄어들지만 디지털 옥외광고는 확대 [The outdoor advertising market is decreasing, but digital outdoor advertising is expanding]. Yunhapnews. Retrieved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190128060200004 

  10. Jang, E. A. (2009). A study on pattern making & sewing of DIY 'baenaet jeogori' goods for a newborn baby. Unpublished master's thesis, Mokpo University, Jeon Nam, Korea. 

  11. Jang, S. K. (2010). The Effect of work-oriented education on learning effectiveness in technical education in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National University, Gyeonggi, Korea. 

  12. Jeon, J. Y. (2019). A study on the modeling of work-oriented art education to improve self-oriented learning capabil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3. Jung, H. (2009). A study on the exploration of the inherent justification of the work-oriented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3, 55-76. 

  14. Yim, E. H., Kim, H. J., & Beom, S. H. (2018). Developing upcycled fashion design for regional sustainability: Focusing on Changshin-dong area.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6(2), 140-156. doi:10.29049/rjcc.2018.26.2.140 

  15. Kim, M. S.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Y package for teddy bear wearing a hanb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6. Ko, S.-H. (2018). DIY package manufacturing and development of fashion product, applying traditional fur in Jeju.clothes form of leather.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1), 43-56. doi:10.16885/jktc.2018.3.21.1.43 

  17. LaBat, K. L., & Sokolowski, S. L. (1999). A three-stage design process applied to an industry-university textile product design project.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7(1), 11-20. doi:10.1177/0887302X9901700102 

  18. Lamb, J. M., & Kallal, M. J. (1992). A conceptual framework for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2), 42-47. doi:10.1177/0887302X9201000207 

  19. Lee, B.-H. (2017). The development of DIY product for spreading traditional birth-clothes product.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0(1), 17-29. doi:10.16885/jktc.2017.03.20.1.17 

  20. Lee, D. H. (2018). Design development of up-cycling fashion accessories: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coffee bean sacks and discarded deni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1. Lee, H. S., & Park, B. R. (2018). A study on the upcycling accessory design using offcut acrylic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4(2), 609-619. 

  22. Lee, J. B. (2018). Graphic essay as a solution for stress release: Focused on millenni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23. Lee, J. E., & Do, W. H. (2012). A study on up-cycle redesign using secondhand clothes. Journal of Human Ecology, 22, 111-121. 

  24. Lee, J. E., & Jang, M. J. (2016, May). Upcycling Korean costume design using waste resources. Proceedings of the 2016 Spring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Conference (pp. 131-133). Seoul: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25. Lee, J. H., & Lee, Y. Y. (2014). A study on improving greenness and commercial value of fashion products made from recycled banne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4), 557-572. 

  26. Lee, S. Y. (2015). The development of laborious works-centere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program for the 3rd and 4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 Buk, Korea. 

  27. Lee, Y., Lee, Y.-J., & Seong, H.-K. (2006).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ient clothes designs: Focused on general patient pajamas and obstetrics and gynecology gowns of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4(12), 9-18. 

  28. Lee, Y., Lee, Y.-J., & Seong, H.-K. (2009).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signs for nurses' uniforms: Focusing on the uniforms for staff nurses and head nurses at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9(10), 22-37. 

  29. Oh, J.-M. (2017). A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art class adopting upcyc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University, Busan, Korea. 

  30. Park, H.-J., & Kim, K.-H. (2018). A study on fashion design for up-cycling design case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16(1), 44-55. 

  31. Park, J. H. (2016). Development of high value upcycled fashion design using leather wast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32. Park, J. H., & Kim, Y. H. (2014). A study on fashion design for up-cycled waste resour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8), 138-154. doi:10.7233/jksc.2014.64.8.138 

  33. PMG Knowledge Engine Research Institute. (2017). Dictionary of current events & common knowledge. Seoul: Parkmungak. 

  34. Pyeon, D. W. (2018, June 18). 2030여성 취미용품 구매 최대 8배 급증 [2030 Women's hobby goods spike up to 8 times]. Lawissue. Retrieved from http://m.lawissue.co.kr/view.php?udCF180840295741204ead0791_12#_enliple 

  35. Regan, C. L., Kincade, D. H., & Sheldon, G. (1998). Applicability of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ory in the apparel design proces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6(1), 36-46. doi:10.1177/0887302X9801600105 

  36. Roh, H.-W. (2017, June 26). SK E&C, family volunteering for 'waste recycling'. Infomax. Retrieved from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2874 

  37. Shin, C. H., & Kim, J.-S. (2017). Development of upcycling bag design by applying used firehos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56, 123-132. 

  38. Shin, Y. J., & Ahn, S. H. (2018). A study on upcycling design citizen education program as social innovation: In the cases of non-profit organization's programs of oversea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the Spatial Design, 49(0), 43-56. 

  39. Song, J. H. (2011). Development of eco-friendly fashion items out of reused cloth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Gyeong Buk, Korea. 

  40. Song, J. H. (2018). Development of naturally dyed bedding design applying a healing concep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41. Thornton, K. (1994, October 11). Reiner Pilz: Thinking about a green future. Salvo News (pp. 11-14). 

  42. Watkins, S. M. (1988). Using the design process to teach functional apparel design.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7(1), 10-14. doi:10.1177/0887302X8800700103 

  43. Yang, H.-S. (2016).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clothing section of home economics focused on up-cycl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44. Yoon, D. H., Chae, S. A., Song, E. T., & Kim, Y. M. (2017). 2017 Research on hobby and one day classes. Research Report, 2017(6), 1-3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