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용학 전공 여대생 관점에서의 일제 강점기 신여성 패션스타일에서 발산되는 여성성에 대한 요인 분석
From the perspective of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Factor analysis on feminin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7, 2020년, pp.405 - 410  

박장순 (송원대학교 뷰티예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패션은 미용과 함께 신분, 지위, 혼인 여부, 개인 성향 등을 표현하는 시각적 수단이며 과거의 생활습관까지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실용문화 유산이다. 현대사회에서는 헤어, 메이크업, 네일아트 등의 미용뿐만 아니라 여성 정장, 하이힐, 모자, 장갑, 핸드백, 목걸이 등과 같은 패션도 여성의 사회적 존재를 부각하면서 경쟁력을 배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봉건적 가치관과 고정관념에 저항하면서 시대적 선도성을 발휘한 일제 강점기 신여성은 혁신적 여성상의 모범이며 21세기 과학기술의 급진적 발전에 부응하는 여성성의 표본을 제시하기 때문에 진정한 양성평등(兩性平等) 사회를 향한 원동력이자 발전적 미래설계를 위한 발판으로 작용한다. 신여성들의 패션스타일에서 발산되는 여성성에 대하여 뷰티 전공 여대생 관점으로 요인을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하여 건설적 자조론(自助論)을 정립한 여성성의 표본 제시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현대 여성들의 자존감 정립과 성공하는 혁신적 여성성의 확고한 기틀도 마련되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ashion is a visual means of expressing identity, position, marital status, personal inclination, etc. along with beauty, and it is an important practical cultural heritage that can infer past lifestyle habits. In modern society, fashion such as women's suits, high heels, hats, gloves, handbags, nec...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신여성의 패션스타일에서 발산되는 여성성을 뷰티 전공 여대생의 관점에서 요인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과학기술사회 내에서 현대 여성의 발전적 가치관 및 혁신적인 여성성에 관한 정립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신여성의 패션스타일에서 발산되는 여성성을 뷰티 전공 여대생의 관점에서 요인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급변하는 과학기술사회 내에서 현대 여성의 발전적 가치관 및 혁신적인 여성성에 관한 정립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현대 여성의 자존감 정립과 성공하는 모범적인 여성성 정립의 시발점(始發點)으로 작용하리라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 S. Kim. (2013). The Research of Hair accessaries development to modernize classical hair style of Joseon dynasty period. Doctoral of thesis, Young-san University. 

  2. H. J. Kwon & J. S. Park. (2016). The influences of Nutritional Convergent supplement on damaged nails treated by cosmetic procedur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4(3), 437-443. 

  3. S. H. Jin & Y. B. Kim & J. S. Park. (2017). A Study on Improv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Inconvenience Due to Female Cancer Wearing Alopecia Wigs.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5(8), 417-422. DOI : 10.14400/JDC.2017.15.8.417 

  4. J. S. Park. (2018). Analysis of hair design formative factors in the women's one length hair style in the Imperial Japanese colonial perio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479-484. KDC 326.41/ DDC 384.5 

  5. K. H. Choi. (2007). Sexuality Expressed in the 19C Fashion in Foucauldian Post-Structural Perspective-Focusing on femininity and masculinity represented in the mainstream &anti-fashion in the middle&latter of the 19C.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5(2). DOI : 10.29049/rjcc.2007.15.2.232 

  6. K. H. Choi. (2008). A Study of Femininity and Masculinity Represented in Men's and Women's Fashion Magazine in Korea since 2000.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6(1). 1-21. DOI : 10.29049/rjcc.2008.16.1.1 

  7. H, S. Modernity. (1995). An Introduction to Modern Society. Cambridge. London : Polity Press. 

  8. E. J. Kim. (2013). The changes of Korean Woman's fashion and consumption culture in Korea in the 1920s to 1930s. Doctoral of thesis, Yon-sei University. 

  9. E. Wilson. (1985). Adorned in dreams. Berkeley and Los Angeles. Berkeley :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M. J. Pai. (2008). A Study on the Modern Fashion Design Applied by Flapper Look in 1920s. Master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KDC 592.02 

  11. F. L. D. C. Committee. (1999). Fashion big dictionary. Seoul : Fashion Large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DDC 746.9203 20 

  12. S. K. Yu. (1989). A study on the changes in Korean women's Western-style clothing. Doctoral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DDC 390.00951 17 

  13. M. J. Kim & H. S. Choi & Y. H. Kim & J. S. Ha & S. H. Choi & H. J. Go. (2010). Western fashion multi-contents. Seoul : Gyomunsa. DDC 391.0094 22 

  14. N. C. Kim. (1939). Love Aquarium. Seoul : Inmusa 

  15. H. J. Kim. (2004). Study on the Attire of New Women Described Beol Geon Gon.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2). 211-223. KDC 3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