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기 간접흡연예방 가정연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Home-Linked Indirect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7, 2020년, pp.411 - 419  

김정미 (삼육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현영 (삼육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의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 간접흡연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술, 금연에 대한 태도 및 의지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가정연계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소재 유아교육기관 3곳의 만 5세 유아 208명을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집단은 간접흡연예방 가정연계교육을, 비교집단은 간접흡연예방 기관교육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은 기존의 방식대로 건강교육의 일환으로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세 집단의 사전, 사후 변화값을 측정한 결과, 금연구역 및 표시에 대한 인식,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 금연에 대한 태도 및 의지에 있어 세 집단 모두 집단 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간접흡연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술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 간 변화값은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 순으로 증가폭이 높게 나타나 가정연계교육이 유아기 간접 흡연예방에 가장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연령을 대상으로 가정연계방식의 간접흡연예방교육이 확대되어야 하며, 부모의 참여와 실제적 효과성 증진을 위해 온라인교육 및 지역사회연계 방안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home-linked indirect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 improving the awareness, skills, attitudes and willingness to protect themselves from smoking. 208 5-year-old children were recruited from thre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접흡연 예방 프로그램과 이를 바탕으로 한 가정연계활동의 효과성을 밝히기 위해, 유아교육 기관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간접흡연 예방교육만을 실시하는 비교집단과 이와 더불어 가정연계교육을 실시한 실험집단,기존의 건강교육 일환의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는 통제집단을 두고 실험처치 후 유아의 인식, 기술, 태도에서의 변화차이를 살펴보았다. 간접흡연예방 가정연계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아 선행연구보다는 가정연계교육의 실제과정과 연관지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논의하며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유아 흡연예방교육을 간접흡연예방에 초점을 두어 교육의 목적과 내용을 선정하였으며, 학습주기를활용하여 단순한 지식이 아닌 기술과 실천, 태도에 까지변화가 이를 수 있는 구조화되고 체계화된 프로그램을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또한 초등학교에서 보건교사가 흡연예방교육을 담당하는 것과는 달리 담임교사가모든 교육을 담당해야 하는 유아교육의 현실상 간접흡연예방을 위한 교재 제작 및 계획안 작성이 어려운 여건을고려하여, 모든 수업자료와 교사가이드북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도 큰 의의를 가진다.
  • 본 연구는 유아기 간접흡연예방 가정연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설계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가정연계를 통해 간접흡연예방교육을제공하는 실험집단, 기관에서의 간접흡연예방교육을 제공하는 비교집단, 기존의 건강교육내용에서의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는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제공한 후,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첫째, 집단 간 금연구역 및 금연표시에 대한 인식 변화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초 흡연경험 시기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최초 흡연경험 시기는 성인기의 흡연여부와 흡연율의중요 결정인자와 질병유발인자로 작용하며, 최초 흡연 시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흡연기간이 길고 양도 많아진다[3]. 끊임없이 성장, 성숙을 해 나가는 시기에 흡연을 하게 되면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뿐 아니라 각종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게 되는데[4], 흡연을 시작하는 시기가 빠를수록 자연히 흡연기간이 더 길어지고 흡연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고도 흡연자가 될 가능성이 크며, 성인이 된후 금연 성공률도 낮아진다[5].
최초 흡연경험 시기가 빠를수록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최초 흡연경험 시기는 성인기의 흡연여부와 흡연율의중요 결정인자와 질병유발인자로 작용하며, 최초 흡연 시기가 빠르면 빠를수록 흡연기간이 길고 양도 많아진다[3]. 끊임없이 성장, 성숙을 해 나가는 시기에 흡연을 하게 되면 세포의 성장을 저해할 뿐 아니라 각종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게 되는데[4], 흡연을 시작하는 시기가 빠를수록 자연히 흡연기간이 더 길어지고 흡연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고도 흡연자가 될 가능성이 크며, 성인이 된후 금연 성공률도 낮아진다[5].
학습주기이론에서 학습주기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간접흡연예방교육 프로그램은 학습주기이론에 착안하여 개발되었다.학습주기란 학습자가 배워야할 사실, 정보에 대하여 보다명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이 이해한 것을 순환적 구조의학습방법을 통하여 실천적 적용의 단계까지 지속적으로이어가도록 돕는 교수-학습방법이다[19]. Odom과Kelly[20]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에 대하여 인식-탐색-탐구-적용의 4단계를 거치면서 학습자는 새로 습득한 개념에 대한 통합적인 구성을 하고, 이를 통해 지식과 기술을능동적으로 구성한다고 하였는데, 학습주기에 따라 간접흡연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술을 역할극을 통해 내면화하고,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통합하여 포스터와 팜플렛 등을 만들어 캠페인 활동 등을 해 본 것이 유아의 간접흡연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술을 향상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 H. Choi, Y. J. Kim & K. Y. Oh. (2017). Tobacco control policy and smoking trends in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10(21), 530-533. 

  2. K. S. Kim. (2009). How to change law for protecting people from secondhand tobacco smoking in Korea? Sogang Law Review, 11(2), 1-21. 

  3. J. M. Borras, E. Fernandez, A. Schiaffino, C. Borrell & C. L. Vecchia. (2000). Pattern of smoking initiation in Catalonia.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0(9), 1459-1462 DOI : 10.2105/ajph.90.9.1459 

  4. J. S. Lee & H. K. Kim. (2017). Meta-analysis of effectiveness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4(4), 99-110 DOI : 10.14367/kjhep.2017.34.4.99 

  5. S. J. Oh. (2016.10.30.). Low age smoking habits are more likely to be heavy smokers. YonHap News. https://www.yna.co.kr/view/AKR20161028152800017?input1195m 

  6. S. Sussman. (2013) A lifespan developmental-stage approach to tobacco and other drug abuse prevention. ISRN Addiction, 2013, 1-19. DOI : 10.1155/2013/745783 

  7. S. H. Kim, H. W. Chung, H. Y. Kim & T. Y. Kim. (2018).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Study on Welfar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ducare, 22(1), 1-28. 

  8. Y. K. Lee.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smoking prevention program that supports national health promotion policies. Tobacco Free, 7, 10-24. 

  9. J. M. Kim.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hird-hand smoke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7(5), 309-324. 

  10. W. S. Beak & M. J. Kim. (2016). Young children's second-hand smok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smoking.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1(5), 489-511. DOI: http://dx.doi.org/10.20437/KOAECE21-5-20 

  11. H. W. Chung, S. H. Kim, J. Y. Lee & H. J. Lee. (2017). The pilot application and the effects of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Korean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11(1), 185-208. 

  12. H. W. Chung, S. H. Kim & H. S. Yoon. (2018). Parents perceptions on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its home-school collaboration.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13(2), 5-27. DOI : 10.16978/ecec.2018.13.02.001 

  13. Korea Health Promotion Institute. (2015). Early childhoo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linked with Nuri course.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14. Korean Cancer Society. (2009). Early childhood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eoul: Korean Cancer Society; 2009 

  15. J. L. Epstein & S. L. Dauber. (1991). School programs & teacher practices of parents involvement in inner-cit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Elementary School Journal, 91(3), 289-305. DOI : 10.1086/461656 

  16. O. H. Lee, Y. S. Kim & J. Y. Choi.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home-connected art activity program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2(3), 1-32 DOI : http://dx.doi.org/10.22155/JFECE.25.3.1.32 

  17. H. Y. Jeoung. (2015). The effect of picture book lending activity through home collaboration on 4-year-old children's character development: focus on order, sharing, and respect.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2(3), 1-20. 

  18. O. Josendal, L. E. Aaro & I. H. Bergh. (1998). Effects of a school-bas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among subgroups of adolescents. Health Education Research, 13(2), 215-224. DOI : 10.1093/her/13.2.215 

  19. R. Granschow & L. Granschow. (1998). Playfulness in the biological sciences. In D. P. Fromberg, & D. L. Bergen(Eds.), Play from birth to twelve and beyond: Context, Perspectives, and Meanings (pp.255-260). New York: Garland. 

  20. A. L. Odom & P. V. Kelly. (2001). Integrating concept mapping and the learning cycle to teach diffusion and osmosis concepts to high school biology students. Science Education 85(6), 615-635. DOI : 10.1002/sce.1029 

  21. K. S. Peak, S. Y. Min & Y. S. Kwon. (2008). The effects of a smoking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smoking and smoking coping behavior among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3), 358-367. 

  22. S. R. Shin, G. C. Jeong & H. S. Kim. (2011). The effect of a child-parent secondhand smoke prevention program.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3), 1-15. 

  23. G. N. Gwon, H. Y. Min & C. S. Yoon. (2006). A study on early childhood secondhand smoke preven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s health right promo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2), 187-196. 

  24. J. M. Kim & J. Y. Ahn. (2015). Effect of health education program using learning cycle on children's health perception, knowledge, and practice. The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6), 379-40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