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의료기사법에 대한 인식 및 업무 요구도
The Awareness about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etc. Act and Job Demands of Dental Hygien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25 - 33  

서혜연 (한양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최유리 (한림성심대학교 치위생과) ,  강민경 (한서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의 교육과정과 외부 병.의원 임상실습, 그리고 의료기사법(이하 의기법)의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임상현실에 맞는 치위생 교육과정을 모색하고, 치과위생사의 실제 임상 업무와 현행 의기법의 차이를 좁힐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자기기입식 설문도구를 이용하였으며, 표본은 536명이었다. 자료분석SPSS 19.0K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현행 의기법 객관적 인지정도는 여자(9.14±1.11)가 남자(8.56±1.79)보다 높았으며(p=0.043), 학제에 따라 인지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p=0.639), 임상실습의 횟수가 많을수록 의기법에 대한 인지정도가 낮았다(p=0.045).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업무 현실을 반영한 융합된 법 개정이 필요하며, 치과계에서도 치과위생사를 보조 인력수준으로만 인식할 것이 아니라 업무동반자라는 인식변환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curriculum based on dental hygiene programs, the awareness about medical service technologists, etc. act and job demand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The data was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536 dental hygiene stu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부 병.의원 임상실습 및 각 임상진료 수행항목 수강여부에 따라 법적업무요구도를 파악하여, 학교 교육과 직결되어야 할 치과위생사의 법적업무에 대하여 재고하고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령의 시행령 재정시 법적업무에 포함되어야 할 현실성 있는 업무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의료기사법에 대한 객관적, 주관적 인지 및 법적업무요구도를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외부 병.의원 임상실습 및 각 임상진료 수행항목 수강여부에 따라 법적업무요구도를 파악하여, 학교 교육과 직결되어야 할 치과위생사의 법적업무에 대하여 재고하고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령의 시행령 재정시 법적업무에 포함되어야 할 현실성 있는 업무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나라 치과위생사의 법적업무는 무엇인가? 대한치과위생사협회는 “치과 위생사는 지역주민과 치과질환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예방치과처치, 치과진료협조 및 경영관리를 지원하여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의 일익을 담당하는 전문 직업”으로 정의하였다[2]. 현재 우리나라 치과위생사의 법적업무는 교정용 호선의 장착 및 제거, 불소 바르기, 구 내 진단용 방사선 촬영, 임시충전, 임시 부착물의 장착, 부착물의 제거, 치석 등 침착물의 제거, 치아본뜨기, 그 밖에 치아 및 구강질환의 예방과 위생 관리 등에 관한 업무로 명시되어있다(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2 조 1항, 2019. 07.
대한치과위생사협회에서 정의하는 치과 위생사는 무엇인가? 인구의 고령화와 국민의 구강 건강에 대한 관심 확대로 인하여 치과위생사의 전문성에 대한 업무 요구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다양한 분야로 치과위생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1]. 대한치과위생사협회는 “치과 위생사는 지역주민과 치과질환을 가진 사람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예방치과처치, 치과진료협조 및 경영관리를 지원하여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의 일익을 담당하는 전문 직업”으로 정의하였다[2]. 현재 우리나라 치과위생사의 법적업무는 교정용 호선의 장착 및 제거, 불소 바르기, 구 내 진단용 방사선 촬영, 임시충전, 임시 부착물의 장착, 부착물의 제거, 치석 등 침착물의 제거, 치아본뜨기, 그 밖에 치아 및 구강질환의 예방과 위생 관리 등에 관한 업무로 명시되어있다(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2 조 1항, 2019.
현재 우리나라 치과위생사의 실제 수행업무와 법적 업무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는 무엇인가?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치과위생사의 실제 수행업무와 법적 업무에는 차이가 있다.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이하의 기법)로 명시한 치과위생사의 법적업무영역은 선진 국들의 치과위생사 업무와 비교하였을 때 극히 제한적이 고 협소하며, 실제 임상현장에서는 본연의 업무인 예방 진료와 구강보건교육에 집중하기보다 치과진료보조업무 가 가장 많아 위법의 현장으로 몰릴 수 있는 상황이다 [4-6]. 즉, 치과위생사는 치과 진료 전반에 걸친 의료적 행위를 함에도 불구하고 업무수행의 측면에서 법과 현실 이 맞지 않는 간극 상황으로 치과위생사의 법적업무의 현실성 있는 반영이 필요한 시점이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H. Hyeong, Y. J. Jang & O. J. Ju. (2018). Dental Hygienists' Work Cognition and Demand for Related Legislatio.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8(5), 693-705. DOI : 10.13065/jksdh.20180060 

  2. Korean dental hygienist association. (2020). Dental hygiene education curriculum.[Online]. http://www.kdha.or.kr/introduce/dentalhygienist.aspx#introduce 

  3.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is the korean representative legal information web site. (2020). Medical technicians. [Online].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5294#0000 

  4. J. H. Park, M. S. Kim & J. W. Cho. (2010). Dentists' opinions for dental hygienists' rol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ral Health, 34(1), 88-97. 

  5. N. H. Kim, S. O. Jang, H. S. Jun, Y. N. Kim & W. G. Chung. (2006). Comparison of idea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between Korea and America.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6(3), 193-199. 

  6. Y. R. Choi, H. Y. Seo, E. J. Ryu & E. M. Choi. (2016).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f Medical Technician Jurisprudence.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16(6), 495-501. DOI : 10.17135/jdhs.2016.16.6.495 

  7. J. O. Jung & K. S. Song. (2008). A study on job stress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clinics.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8(4), 305-312. 

  8. J. Y. Kwon & S. Y. Lee. (2016). Relationship of between task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ntribution of dental hygienists.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16(4), 302-309. DOI : 10.17135/jdhs.2016.16.4.302 

  9. S. I. Kim, M. K. Jun & S. M. Lee. (2016). Needs of revision of dental hygienist-related medical law.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6(5), 677-85. DOI : 10.13065/jksdh.2016.16.05.677 

  10. M. H. Kim, Y. H. Lim, K. A. Lee, S. J. Kim & Y. J. Kim. (2018). Dental hygiene students awareness of their legal scope and petition for medical personnel. Korean Academy of Dental Administration, 6(1), 36-42. 

  11. S. H. Kim, J. H. Jang & S. H. Oh. (2009). A study for the improvement subjects of the Korean dental hygienists'licensing examination.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9(3), 353-360. 

  12. B. Y. Won, U. J. Jung & J. H. Jang. (2015). The demand for the change in Korean dental hygiene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1), 161-169. DOI : 10.13065/jksdh.2015.15.01.161 

  13. S. Y. Han, N. H. Kim, J. H. Yoo, C. S. Kim & W. G. Chung. (2009). Current status of clinical dental hygiene education based on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The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science, 9(3), 271-288. 

  14. Y. S. Kim & M. W. Shin. (2008).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d weight of dental hygienists'work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8(3), 161-175. 

  15. A. O. Kim & M. J. Cho.(2019). Comparison of dental hygienists' legal duties among nations: Korea, USA and Canad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7(1), 18-28. DOI : 10.33615/jkohs.2019.7.1.18 

  16. K. J Kim, G. Lee & B. H. Jin. (2019). A survey of the understanding of the scope of work undertaken by dental hygienists and chair-side dental assistants among denta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3(4), 224-231. DOI : 10.11149/jkaoh.2019.43.4.224 

  17. G. E. Park, Y. M. Lee, J. G. Lee & H. S. Jeon. (2015). Survey on dental college students'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5(3), 531-538. DOI : 10.13065/jksdh.2015.15.03.531 

  18. S. E. Moon, S. H. Hong & N. Y. Kim. (2019). A qualitative research on work scope in dental healthcare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19(6), 907-918. DOI : 10.13065/jksdh.20190077 

  19. Y. K. Han, S. H. Kim, J. Y. Yang, J. S. Yu & S. M. Bae. (2019). A survey of dentists' opinions on the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Administration, 7(1), 1-9. DOI : 10.22671/JKADA.2019.7.1.1 

  20. M. Y. Kim & H. J. Lee. (2019).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cooper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dentists and dental hygienists in Bus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7(1), 1-7. DOI : 10.33615/jkohs.2019.7.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