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고용기업체의 임금 격차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ibuting factors of wage inequality in employment compan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207 - 216  

최윤정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격차 기여요인 분석을 통하여 장애인 노동자의 임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18년 기업체 장애인 고용실태조사』의 원자료 중 주요 변수에 결측이 발생한 케이스를 제외한 3,546건이며, SPSS 25와 STATA 14를 이용하여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불평등 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 고용기업체의 임금 격차에 기여하는 요인은 '교육수준' 12.63%, '자산' 6.37%, '직무숙련 정도' 4.87%, '여성고용비율' 3.30%, '판매이익' 2.33%, '장애인 노동자 대상 교육 및 훈련 실시' 1.19%, '노동조합가입률' 0.67%, '직장유형' 0.42%, '평균 근로시간' 0.41%, '장애인의 작업 수준에 대한 인식' 0.34%, '장애인 고용이 기업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 0.23%, '장애인 고용비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 0.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장애인 노동자에게 적절한 임금이 제공되기 위한 장애인 고용기업 차원과 사회적 차원, 장애인 노동자 차원에서의 접근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wage inequality between employ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mong the raw data provided by the Korea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3,546 cases were studied, excluding cases in which major v...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장애인 노동시장의 구조, 특히 장애인 노동자로 하여금 비교적 높은 임금을 제공하는 기업과의 격차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동일한 노동시장 구조 속에서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격차를 살펴보고 임금 격차에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 이렇듯 장애인 고용에 대한 오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장애인 빈곤 문제가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에 대하여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적자본, 장애 요인[8-11] 등 개인적 특성을 통해 저임금의 요인을 이해하고 있었다. 따라서 개선 방향 역시 장애인 노동자 개인의 변화에 주목하여 장애인 노동자의 생산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및 훈련, 경력개발 등에서 찾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노동자에게 임금을 제공하는 기업의 특성을 살펴보고 기업 간 임금 격차에 기여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장애인 노동시장의 질적 향상과 저임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장애인 노동시장의 구조, 특히 장애인 노동자로 하여금 비교적 높은 임금을 제공하는 기업과의 격차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격차 기여요인 분석을 통하여 장애인 노동자의 임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장애인 노동자에게 적절한 임금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격차에 기여 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업체는 장애인 노동자의 고용과 임금 지불의 직접적인 주체로써 기업체간 특정한 요인에 따라 임금 격차가 발생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본 연구는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격차에 기여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장애인 고용기업체를 대상으로 불평등 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격차에 기여할 것으로 예측되는 변수들을 정리해보면 ‘장애인 고용기업체의 일반적 특성’과 ‘장애인 고용과 관련한 사회적 특성’ 그리고 ‘장애인 노동자 개인의 일반적 특성’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 고용기업체들 간 임금 격차를 완화하고, 장애인 노동자로 하여금 적절한 임금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장애인 고용기업 차원의 접근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 노동자에게 임금을 제공하는 기업의 특성을 살펴보고 기업 간 임금 격차에 기여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장애인 노동시장의 질적 향상과 저임금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장애인 노동시장의 구조, 특히 장애인 노동자로 하여금 비교적 높은 임금을 제공하는 기업과의 격차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동일한 노동시장 구조 속에서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격차를 살펴보고 임금 격차에 기여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50명 이상의 공공기관 및 민간 기업을 대상으로 일정비율 이상의 장애인을 고용하도록 의무를 부과하고 미준수에 따른 부담금이 부과되는 ‘장애인 의무고용제도’에도 불구하고 다수 기관들은 과태료 부과를 감수하면서 장애인 고용을 꺼려하고 있다. 장애인 의무고용제도는 기업이 장애인을 고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윤을 통해 장애인 고용이 더욱 활성화 되는 선순환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다수의 기업들은 장애인 고용으로 인한 이윤보다, 부담금을 납부하는 것이 경제적 이윤이 높다고 판단한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2017). What is decent work? (retrived from http://www.ilo.org/.) 

  2. J. K. Park. (2014).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job mobility of low-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vocation rehabilitation, 24(4), 65-86. 

  3.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9), Social Security Factbook 2018. Sejong. 

  4. J. Y. Sim. (2015).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Poverty-Exit of the Working Poor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7(4), 31-50. 

  5. S. W. Lee. (2013). A longitudinal study on poverty status changes of disabled workers: Using a panel logit mixed mode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4(4), 177-197. 

  6. D. H. Kim. (2011).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Being the Working Poor in Women Worker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employment-.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21(2), 163-187. 

  7. J. H. Kim, M. S. Byun & W. S. Choi. (2016). The dual labor market in the disabled person labor market: The study for the state dependence of low wages.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32(4), 57-83. 

  8. J. C. Park. (2013). Empirical Study on Double Discrimination on the Elderly with Disability in Labor Market -Focusing on Employment Discrimination and Wage Discrimination of Wage Earn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5(2), 79-102. 

  9. J. Y. Heo. (2019). A Study on Gender Wage Gab of the Disabled. Master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10. D. U. Kang. (2004).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Discrimination(Employment and Wag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2), 121-144. 

  11. S. Y. Lee & H. J. Lee. (201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Wag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Sociodemographic, Human Capital, Labor Environment and Disability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3(2), 179-789. 

  12. J. Y. Jung. (2019). A Study on the Employer's Satisfaction(Satisfactoriness) to Hire People with Disabilities. Masters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13. H. B. Lee. (2018). A Study on Effects of the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on the Employment Rate of the Disabled -Mediation Effect of Employment Satisfaction and Control Effect of Achievement of Mandatory Employment-. Disability & Employment, 28(4), 5-36. 

  14. M. S. Byeon. (2012). Determinants affecting employment of the disabled of mandatory employment enterprises -Analysis of employment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using multilevel model.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5. C. H. Kim. (2013). A Study on Employment and Wag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Effect of Discrimina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Labor Market.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J. H. Kim. (2017). Analysis of Regional Categorization by Employment and Wages and the Possibility of the Virtuous Cycle, Bank Of Korea Working Paper, 23(4), 78-105. 

  17. Becker, G. S. (1993). Human capital: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for Nation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8. G. M. Chai. (2007).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Wage of New College Graduat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9(4), 35-61. 

  19. P. S. Kang, (2010). Determinants of Employmen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Enterprise. Doctoral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Gyeonggi. 

  20. H. J. Lee. (2010). Determinant of Employment Rate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Disability & Employment, 20(4), 183-206. 

  21. Y. T. Kim & J. Y. Sim. (2010). The Influence of Employment Experience on Intentions of Employing the Disabled. Disability & Employment, 19(3), 175-198. 

  22. H. Y. Lee. (2014). Effective Factors on the Employment Rate of the Disabl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and the Mandatory National Fund Allotment for Companies. Disability & Employment, 24(1), 227-262. 

  23. Y. G. Kwon. (1998).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Wage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Korea. Master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4. P. S. Kang & J. J. Lee. (2010). Determinant of Employmen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Business. Disability & Employment, 20(1), 179-206. 

  25. M. S. Byeon. (2012). Determinants affecting employment of the disabled of mandatory employment enterprises: Analysis of employment determinants of the disabled using multilevel model.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6. S. T. Kim, H. J. Kim, H. J. Kim & D. W. Han. (2010). A Study on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Intention of Employ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Incentives for Nompanies and the Perception. Disability & Employment, 20(1), 267-288. 

  27. Light, I. H. (1980). Asian enterprise in America: Chinese, Japanese, and Koreans in small business, In S. Cummings(ed.), Self in urban America: Patterns of minority business enterprise. Nation University Publications. 

  28. K. S. Yi. (2006). Potential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Enhance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Public Sector: Explaining by Survey of Public Employe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18(3), 891-913. 

  29. H. J. Kim. (2016). Union Wage Premium: An Analysis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asters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0. H. G. Kim & I. T. Kim. (2016). Wage Determinants and Gender Wage Differentials -Focusing on Employment Survey by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Economics, 35, 5-20. 

  31. Doeringer, P. B. & Piore, M. J. (1971). Internal Labor Markets and Man power Analysis. Lexington: Lexington Books. 

  32. S. H. Kim. (2015). A study on the change of labor market segmentation and its impact on distribution and growth in the Korean econom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33. Phelps, E. S. (1972). The Statistical Theory of Racism and Sexism. American Economic Review, 62(4), 659-661. 

  34. D. C. Yu. (2000). A Study on the Discrimination Effect of the person with disability in the labor market - focused on the person with physical disability.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5. Becker, G. S. (1971). The Economics of Discrimina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Wilgosh, L. & Skaret, D. (1987). Employer attitudes toward hiring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 review of the recent literature. Canad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1, 89-98. 

  37. Graffam et al. (2002). Employer benefits and costs of employing a person with a disability.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17, 251-263. 

  38. J. G. Park. (2010).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rs' Attitudes toward Disabled Persons and Employment-related Behavior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2(1), 151-175. 

  39. M. S. Byeon et al. (2011). Survey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disabled in busines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Seongnam. 

  40. B. G. Kim & Y. H. Nam. (2014). Determinants of Employment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y in Enterprise. Disability & Employment, 24(4), 190-221. 

  41. Fields, Gary S. (2003). Accounting for Income Inequality and Its Change: A New Method with Application to the Distribution of Earnings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in Labor Economics 22, 1-38. 

  42. Shorrocks, Anthony. F. (1982). Inequality Decomposition by Factor Components. Econometrica, 50(1), 193-201. 

  43. E. W. Lee. (2020). Job Selection and Inter-Job Wage Differentials of Disabled Wprkers. Disability & Employment, 20(3), 29-46. 

  44.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2018). Survey on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Disabled in Business. 

  45. H. B. Lee. (2020). Effect of the Perception on Disabilities Employment of Companies on the Employment Rate of the Dsabled: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mpanies contribution for employing the disabl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rade unions-.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ity, Daejeon 

  46.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tie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2018). Quarterly Analysis Report of Employment Service for the Disabled.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47. Diery, H., Schubert, H. J. & Zink, K. J. (1997). Die Eingliederung von Schwerbehinderten in das Arbeitsleben aus der Sicht von Unternehmen: Ergebnisse einer empirischen Untersuchung. (Company estimation of the inte-gration of the severely disabled into working life: Results of an empirical study). Mitteilungen aus der Arbeitsmarktund Berufsforschung, 30(2), 442-454. 

  48. Fietz. B., Gebauer. G. & Hammer. G. (2011). Die Beschaftigung schwerbehinderter Menschen auf dem ersten Arbeitsmarkt. Einstellungsgrunde und Einstellungshemmnisse -Akzeptanz der Instrumente zur Integration. Ergebnisse einer qualitativen Untersuchung in Unternehmen des Landes Bremen, Institut Arbeit und Wirtschaft universitat/Arbeitnehmerkammer Bremen im auftrag Versorgungsamt/integrationsamt Bremen, Bremen January 2011. 

  49.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ties Employment Development Institute. A Study on the Employment Stability Plan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50. Kirchmeyer. C. (2002). Gender Differences in Managerial Careers: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Business Ethics, 37(1), 5-24. 

  51. B. K. Choi & J. Y. Ahn. (2020). A Study on the Promotion and Wage of Female middle-level managers and Female Executives ratio in Firms. The Women's Studies, 104(1), 63-95. 

  52. S. H. Jung. (2014). Cost-Benefit Analysis of Disability Employment Support Program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employment success package and exist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 Masters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