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달장애인 커뮤니티 케어 실현방안 연구: 일본의 지역사회 실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Focusing on Japanese community practice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5, 2020년, pp.88 - 96  

신경안 (동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이은아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김도훈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시설입소율은 다른 장애유형에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삶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케어'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장애가족이 돌봄의 주체가 되어 부양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지원에 대한 기관방문과 인터뷰를 통해 실천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전환은 그룹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민간은 그룹홈에서 중증장애인까지도 지역사회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삿포르시청은 고령부모의 발달장애인 돌봄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연계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정책적 제언으로 그룹홈 확대와 장애인 거주시설의 기능전환, 고령부모의 장애인 돌봄 문제 대처, 청장년 독거인의 실태조사로 예방적 서비스의 제공을 제언한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자립을 위한 일상생활 능력향상을 위한 그림 등의 교육교재 개발과 보급,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훈련에서 충분한 인력과 시설 확충, 성인 발달장애인과 보호자를 위한 쉼터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ate of admission to faciliti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is very high for other types of disabilities. Therefore, 'community care', which supports life in the communit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very important compared to other types of disabili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폐증자립지원센터 유이는 “장애가 무거워도, 도전적 행동이 있어도 지역에서의 생활을 원한다. 그래서 우리는 그 기대에 부응하여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여 지역에서 생활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라는 비전의 실천을 목표로 자폐증 및 발달장애인도 지역사회에서 자립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관으로 주요 인터뷰는 다음과 같았다.
  • 기관방문의 목적은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을 지원하는 제도와 민간과 공공영역에서 실제 추진하고 있는 커뮤니티 케어의 확인으로 업무추진 관리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정책, 실천, 평가과정에 대한 적용과 개선 가능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 방문기관은 발달장애인과 관련된 삿포르 시청 장애인복지부서와 민간의 사회복지법인, 자립생활 지원기관 등으로 실제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발달장애인 대상 ‘커뮤니티 케어’ 실천은 물론 장애인의 탈 시설화, 정상화의 실현에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일본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커뮤니티 케어에 대한 대처를 알아보기 위해 11개 기관의 방문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현장방문은 2019년 10월이였으며, 주요 방문도시는 일본 북해도 삿포르시와 아사히카와시였다.

가설 설정

  • Q. 도전적 행동이 발생 하면 중재할 수 있는 메뉴얼이 있는지와 전담하는 전문가가 따로 있는지?
  • Q. 삿포르시의 발달장애 특화사업이 있다면?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의 주요 원인과 주요 증상은 무엇인가? 발달장애의 주요 범주는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이다. 이 장애의 주요 원인으로는 선천·후천성 뇌질환, 대사 이상, 유전적 및 염색체 이상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주요 증상으로는 학습장애, 지적장애, 자폐증, 뇌성마비 등을 야기하면서 발생하나, 정확한 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도 많다[3]. 하지만 발달장애는 주로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에 흔히 처음으로 진단되는 장애’로 이러한 시기적 특성으로 발달장애인에 대한 지원은 단순히 아동기에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전 생애에 걸쳐 요청된다[4].
발달장애란? 발달장애는 1970년에 미 공법 91-157에 의해 처음 언급되면서 장애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발달장애란 뇌성 마비,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간질, 학습장애 등 지적부분과 관련된 신경학적 조건을 가졌거나 지적장애인과 비슷한 문제를 가진 장애이다[2]. 우리나라의 국립특수 교육원(2009)에서도 발달장애를 ‘발달이 평균으로부터 유의미하게 일탈하여 정신적, 신체적 또는 두 가지 영역에서 심각하고 만성적으로 지속 가능성이 있는 장애’로 규정하고 있다.
지역사회를 의미하는 커뮤니티란? 지역사회를 의미하는 ‘커뮤니티’는 일정한 지역을 기 반으로, 지역주민과 생활 전반에 걸쳐 서로 밀접하게 사회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정서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사회적 조직 단위체를 말한다[9]. 따라서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민간ㆍ공공 등 다양한 주체들이 서로 역할을 분담하여 서비스 접근ㆍ통합성 향상, 돌봄 사각지대 해소, 사회적 유대 강화를 지향하는 것을 말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S. H. Kim. (2018). The Comprehensive Policy Pla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rogress and Challeng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58, 62-71. 

  2. J. S. Kwon. (2016). A Survey and Analyze on the Acceptance Attitudes and Percep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on "The Act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0(3), 23-42. 

  3. H. Y. Jeong. (2013). Functional evaluation of children's disabilities. Seoul: Gunja Publishing House. 

  4. M. J. Seong. (2014). A Study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on the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5(1), 15-27. 

  5. J. S. Kim & K. A. Shin. (2020).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of Down's Syndrome Family on Children's Independent Living: Focused on Mediating Effect : Mediating effect of strengthening family capacit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8), 213-222. DOI : 10.22156/CS4SMB.2020.10.08.213 

  6. S. K. Park. (2016). The present condition and tasks of deinstitutionaliz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18(1), 205-234. 

  7.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14) International Symposium on CRPD and Inclusion of the Presons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Materials publish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15, 1-333. 

  8. J. H. Kim. (2019). A Research of Recognition for Deinstitutionalization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People of Family In accordance with the Enactment Deinstitutionalization of Disabled. The Korea Contents Society, 19(10), 660-666. 

  9. B. C. Park. (2012). Regional Development and Community. Community Research, 20(2), 1-26. 

  10. Y. Y. Kim & H, Y. Yoon. (2018). Case study of Community care : Poilcy Implications from Japan and UK. Journal of Critical Social Welfare, 60, 135-168. 

  11. Seoul Welfare Foundation.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the Seoul City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Changes in the Welfare Environment. Seoul Welfare Foundation, 1-254. 

  12. S. Y. Kim. (2018). Establishment and promotion of Korean-style community care concept through comparison with overseas cases Direction Study. Seoul Institute initiation report internal data. 

  13. S. H. Hwang. (2018). Community Care Promotion Roadmap. Korean Society of Community Welfare Conference, 10, 25-38. 

  14. K. H. Byeon. (2014). A Look at Programs Available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17, 29-37. 

  15. H. R. Jang & T. W. Um. (2019).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3(3), 25-69. DOI : 10.34262/kadd.2019.23.3.49 

  16. K. A. Shin. (2019). Improvement Directions and Tasks for Local Welfare for Local Governments and Social Welfare Community Welfare Program in Decentralization: Focusing on Gyeonggi-do. Journal of Arts, Humanities and Social Convergence Multimedia, 9(12), 1145-1154. DOI : 10.35873/ajmahs.2019.9.12.100 

  17. M. Y. Cho. (2010).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Change of Korean Community Welfare: Focusing on Community Servic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6, 157-183. 

  18. Y. H. Kim & Y. K. Ju. (2014).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nd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Belief, Depression and Anxiety Consciousnes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8(4), 201-222. 

  19. Y. R. Shin, K. M. Kim, D. C. Yu & D. K. Kim. (2013). A Theoretical Research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Social Inclusion about the Disabled -From Social Exclusion to Inclus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65(3), 5-28. DOI : 10.20970/kasw.2013.65.3.001 

  20. M. K. Choi, J. H. Lim & W. S. Shin. (2017).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7, 5-32. 

  21. C. U. Je & Y. Y. Choi. (2014). Feasibility of the Special Needs Trust Scheme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Jounal of Comparative Private Law, 21(3), 1139-1184. DOI : 10.22779/kadw.2017.37.37.5 

  22. S. K. Park, S. M. Kim & S. W. Lee. (2018). The Effects of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n maintain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aily-life satisfaction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40, 123-149. DOI : 10.22779/kadw.2018.40.40.123 

  23. Kittay, E. F. (2011). The ethics of care, dependence, and disability. Ratio Juris, 24(1), 49-58. 

  24. Oliver, M. (1989).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Current reflections. In T. Jeffs & M. Smith (Eds.), Social Work and Welfare Yearbook 1 (pp. 190-203). Milton Keynes, UK: Open University Press. 

  25. Y. D. Kim. (2018). Community care, what should we do?. Monthly welfare trend, 238, 5-10. 

  26. S. H. Hwang. (2018). Community Care (Regional-Based Care) Promotion Roadmap. Korean Society of Community Welfare Conference, 2018(10), 25-38. 

  27. D. K. Kim. (2009).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Effect of Independent Living Center on Social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using Independent Living Service. Korean Social Welfare Survey Research, 21, 59-92. 

  28. R. K. Kim & J. M. Yeon. (2015). An Analysis of the Study Trend of Residential Servi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1), 1-27. 

  29. M. O. Kim & M. A. Jung. (2018). Seeking a support system for the local community for the independ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disability. he Jounal of Korean Social Welfare, 70(3), 51-79. DOI : 10.20970/kasw.2018.70.3.003 

  30. B. C. Choi et al. (2016). A Study on Policy Directions for Support Systems for the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Research Report, 2016, 1-347. 

  31. K. O. Park & D. S. Lee. (2018). The Social Organization of the Employment Service Experience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fficulties : Applying the Institutional Ethnography.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42, 107-137. 

  32. Y. G. Chu. (2011). A Study on Research Trend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ase of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5(4), 21-43.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