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여대생의 치아우식병과 치주병 예측을 위한 타액의 융합적 평가 - 타액측정시스템(Sill-Ha ST-4910)이용 -
Convergence Assessment of the Salivary Relationship between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 Sill-Ha ST-4910 Salivary Testing Instrument -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273 - 280  

최은미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영희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대 초반 여대생을 대상으로 치아건강도와 치은건강도 그리고 구강청결도를 분석해보고자 한 결과 치아건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우식성박테리아와 타액의 산성도, 암모니아와 관련이 높게 나타났으며, 치은건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혈액과 백혈구, 단백질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특히 구강내 미생물의 대사산물인 암모니아는 혈액과 백혈구와 관련이 높게 조사되어, 구강청결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따라서 타액측정시스템(Sill-Ha ST-4910)의 구강병 발생 7가지 예측 위험도와 본 실험 결과가 일치되어 향후 타액측정시스템은 진료실에서 활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본 연구의 제한점은 노령자나 전신질환이나 만성질환이 없는 건강한 청년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하며 후속 연구를 필요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pon investigating the dental health of teeth and gum, and the cleanliness of the oral cav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early 20's, it was reported to be that the number of cariogenic bacteria was heavily related to the acidity of saliva or ammonia. Also, cariogenic bacteria and ammonia was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액시스템으로 우식성박테리아, 산성도, 타액 완층능을 측정하여 치아우식병 위험도를 예측하고, 백혈구와 단백질, 암모니아로 치주상태를 측정하여 치주건강도를 측정하고, 구강청결정도와 구취 측정 결과로 구강병을 예측하고 진단할 수 있는 측정기 구인 새로운 Sill-Ha ST-4910 타액측정시스템이 임상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를 평가해보고자 함이 연구 의 목적이다.
  • 본 연구는 95명의 만 20∼22세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로, 아크레이(arkray) 회사에서 개발한 Sill-Ha ST-4910 타액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치아우식과 치주질환 위험성 및 구취에 대한 타액관련 요인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95명의 만 20∼22세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로, 아크레이(arkray) 회사에서 개발한 Sill-Ha ST-4910 타액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치아우식과 치주질환 위험성 및 구취에 대한 타액관련 요인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타액요인의 우식성박테리아, 산성도, 완층능으로 치아우식병 위험도를 측정하고, 백혈구와 단백질로 치주상태를 그리고 암모니아로 구취를 측정하여 구강병을 예측하고 진단할 수 있는 기기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한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rkray. (2019). Salivary Testing System Sill-Ha ST-4910 Salivary Testing Instrument. Arkray global business, INC. 

  2. B. W. Kang & K. S. Kim. (2019). Preventive Dentistry. Seoul : KMS. 

  3. H. K. Kang & S. E. Heo. (2015). Convergence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Practice and Dental Caries Risk among Manufacturing Workers -With the CRT(R) bacter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65-74. DOI : 10.15207/JKCS.2015.6.6.065 

  4. M. H. Kim, S. Y. Lee & H. H. Min. (2018). Convergence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oral care products using the anti-plaque activity of natural essential oil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149-154. DOI : 10.15207/JKCS.2018.9.7.149 

  5. E. Y. Son & M. S. Choi. (2012). The Result of Oral Health Care on Primary School Children Using Dental Caries Activity Test.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12.(2), 93-102. 

  6. J. B. Kim. Y. J. Choi D. I Paik S. C. Shin. K. W. Chang K. B. Song & D. S. Ma. (1999). Preventive Dentistry 3 Edition, Seoul : KMS. 

  7. Monthly Dental Hygiene separate volume "saliva and xerostomia" p. 1115. DOI : 10.11259/jsg.26.402 

  8. Harald Loe. (1987). The Functions of Saliva. Journal of Dental Research, 66, 622-622. DOI : 10.1177/00220345870660S203 

  9. Uchida Yoshinori. (2016).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Salivary Test System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Newly-developed Salivary Multi-test. The Japanese Journal of Conservative Dentistry, 58(4), 321-330. DOI: 10.11471/shikahozon.58.321 

  10. Y. M. Park. (2018). Interleukin-8 and Matrix metalloprotease-9 : Potential as a Salivary Pain Marker in Patients with Temporo mandibular Disorder Myalgia. Department of Dentistry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11. J. H. Kim. M. Kim. D. W. Lee. B. J. Baik. Y. M. Yang & J. G. Kim. (2014). Rapid Detection of Pathogens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by PCR Using a Modified DNA Extraction Method. J Korean Acad Pediatr Dent 41(4), 292-297. DOI : 10.5933/JKAPD.2014.41.4.292 

  12. E. H. Jun. E. S. Lee. S. M. Kang. H. K. Kwon & B. I. Kim. (2014). Assessing the clinical validity of a new caries activity test using dental plaque acidogenic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38(2), 77-81. DOI : 10.11149/jkaoh.2014.38.2.77 

  13. H. K. Hong. E. M. Choi. S. R. Lee & Y. S. Kim. (2018). A statistical analysis study on the convergent common factors influencing saliva of physiologic malodor pati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99-110. DOI : 10.15207/JKCS.2018.9.4.099 

  14. Bhayat A. et al. (2013). Correlating dental caries with oral bacteria and the buffering capacity of saliva in children in Madinah, Saudi Arabia. J Int Soc Prev Community Dent, 3(1), 38-43. 

  15. Abbate G. M., Borghi D., Passi A. & Levrini L. (2014). Correlation between unstimulated salivary flow, pH and Streptococcus mutans, analysed with real time PCR, in caries free and caries-active children. Eur J Paediatr Dent, 15, 1. 

  16. Joana Cunha-Cruz et al. (2013). Salivary characteristics and dental caries. JADA, 144(5). http://jada.ada.org May. 

  17. S. Y. Lee & S. J Sim. (2019). A Convergence Study of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Obesity by The Number of Pregnancy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8), 67-73. 

  18. H. K. Kang & S. E. Heo. (2015). Convergence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Practice and Dental Caries Risk among Manufacturing Workers With the CRT(R) bacteri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6), 65-74. DOI : 10.15207/JKCS.2015.6.6.065 

  19. K. A. Han & J. H. Lee. (2018). Evaluation of the Reliability of Salivary Testing Instrument. J Korean Acad Pediatr Dent, 45(3), 363-369. DOI :10.5933/JKAPD.2018.45.3.3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