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행위, 직업환경 및 환경호르몬 관련 생활습관이 자연 유산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xposure-Risk Behavior toward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Occupational Environments and Daily Habits Related to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on Development of Spontaneous Abor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7, 2020년, pp.377 - 387  

최명희 (위덕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의 자연 유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출산 또는 자연 유산의 임신 결과를 1회 이상 경험한 적이 있는 만 20~45세의 여성 198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7월부터 한 달 동안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자연 유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신 중 팬티라이너(매일: 기준, 주 1~2회: B=-1.74, 사용하지 않음: B=-0.77)와 항균제 사용 양상(자주 또는 많이: 기준, 소량 또는 보통: B=-0.71, 사용하지 않음: B=0.79), 직업군(무직: 기준, 서비스 종사자: B=0.73, 사무직: B=1.22, 전문직: B=0.63, 관리자: B=1.54) 및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행위(B=0.81)였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24.4%(R2=.24)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자연 유산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임신 중 환경호르몬 노출을 예방하고 직업환경에 유의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and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development of spontaneous abortion in women of childbearing age. The subjects totaled 198 females aged 20~45 who had experienced childbirth or spontaneous abortion at least once, and data was collected for one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의 자연 유산 발생에 임신 중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행위, 직업환경 및 환경호르몬 관련 생활 습관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연 유산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 및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따라서 간호와 환경보건 관련 분야의 융합적 내용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임신 중 전반적인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행위와 직업환경이 자연 유산 발생 정도에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직과 사무직 종사자의 경우에 자연 유산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는 진행과정에서 자연 유산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국내 및 국외에서 거의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자연 유산 또는 출산의 임신결과를 경험한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 당시의 환경호르몬 관련 노출 위험행위, 직업환경 및 생활습관을 조사하여 자연 유산 발생에 영향을 주는 환경호르몬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가임기 여성의 생식과 관련한 건강, 특히 자연 유산 발생과 관련한 환경호르몬의 영향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후속연구가 꾸준히 이어져야 하겠다. 또한 간호사는 여러 현장의 최일선에서 여성의 생식과 관련한 건강증진과 가임기 여성의 자연 유산 예방을 위한 간호 활동을 펼치는 의료인이다. 그러므로 적극적으로 환경호르몬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고, 관련 간호행위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연구 활동을 활발히 진행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의 자연 유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임신 중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행위, 직업군, 팬티라이너 사용 양상 및 항균제 사용 양상은 자연 유산 발생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었다.
  •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의 자연 유산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호르몬 관련 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후향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가임기 여성의 자연 유산 발생에 임신 중 환경호르몬 노출 위험행위, 직업환경 및 환경호르몬 관련 생활 습관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자연 유산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 및 정책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따라서 간호와 환경보건 관련 분야의 융합적 내용을 토대로 진행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호르몬 관련 요인들이 가임기 여성의 자연 유산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33의 분포를 나타냈다. 왜도는 3 미만의절대값, 첨도는 7 미만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경우에 각 일변량의 정규분포성을 확보한다고 볼 수 있으므로[22],본 연구에서는 변수들의 정규분포를 가정할 수 있다. 한편,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근로시간, 근무형태,직업군의 세 가지 변수 사이의 상관계수가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8). 100 kinds of statistics. Wonju :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 Y. M. Song & J. S. Lee. (2011). Investigation of the causes of low birth-rate: Focused on the change in industrial society and the expansion of the opportunity of women for social activit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1(1), 27-61. 

  3. M. H. Kim. (2017). The paradigm shift in Korea's low birthrate policy? Exploring the third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10), 589-597. DOI : 10.14257/ajmahs.2017.10.67 

  4. S. S. Lee. (2015).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Sejong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5. N. M. Hwang. (2006). Policy suggestions for reducing the pregnancy wastag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11, 50-62. 

  6. J. E. Hong & J. M. Park. (2017).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pontaneous abortion experiences of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3(2), 63-77. DOI : 10.4069/kjwhn.2017.23.2.63 

  7. S. A. Krieg, L. K. Shahine & R. B. Lathi. (2016). Environmental exposure to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and miscarriage. Fertility & Sterility, 106(4), 941-947. DOI : 10.1016/j.fertnstert.2016.06.043 

  8. J. W. Yoon. (2016. Jul). Endocrine disruptors and women's health. Medical and Society, 5, 34-48. 

  9. G. Petrelli, I. Figa-Talamanca, L. Lauria & A. Mantovani. (2003). Spontaneous abortion in spouses of greenhouse workers exposed to pesticides. Environmental Health and Preventive Medicine, 8(3), 77-81. DOI : 10.1265/ehpm.8.77 

  10. H. K. Kim & K. H. Cho. (2019. 4. 23.). Disposal of agricultural products if a pesticide ingredient is found to be out of standard? The farmers reaction is.... Dong-A Ilbo [Online]. 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423/95186667/1 

  11. G. Toft et al. (2010). Fetal loss and maternal serum levels of 2,2',4,4',5,5'-hexachlorbiphenyl (CB-153) and 1,1-dichloro-2,2-bis(p-chlorophenyl)ethylene (p, p'-DDE) exposure: a cohort study in Greenland and two European populations. Environmental Health, 9, 22. DOI : 10.1186/1476-069X-9-22 

  12. S. Rattan, C. Zhou, C. Chiang, S. Mahalingam, E. Brehm & J. A. Flaws. (2017).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ors during adulthood: consequences for female fertility. The Journal Of Endocrinology, 233(3), R109-R129. DOI : 10.1530/JOE-17-0023 

  13. S. Murphy et al. (2015). Reproductive failure in UK harbour porpoises phocoena phocoena: legacy of pollutant exposure? Plos One, 10(7), e0131085. DOI : 10.1371/journal.pone.0131085 

  14. X. Wang et al. (2015). Triclosan causes spontaneous abortion accompanied by decline of estrogen sulfotransferase activity in humans and mice. Scientific Reports, 5, 18252. DOI : 10.1038/srep18252 

  15. M. S. Kim. (2017. 10. 19.). Endocrine disruptors in sanitary napkins are high in domestic and US, and low in Europe. JoongAng Ilbo [Online]. https://news.joins.com/article/22028540 

  16. J. C. Robins, C. J. Marsit, J. F. Padbury & S. S. Sharma. (2011). Endocrine disruptors, environmental oxygen, epigenetics and pregnancy. Frontiers in Bioscience, E3(2), 690-700. DOI: 10.2741/e279 

  17. J. H. Kim, H. S. Shin, B. K. Park, K. M. Yang, Y. H. Lee & H. M. Ryu. (2012). Impact of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on pregnancy outcome in women with a singleton conceived by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spontaneously conceived pregnancy: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4), 517-524. DOI: 10.4040/jkan.2012.42.4.517 

  18. S. J. Yoon. (2018). Influence of type D personality, dietary assessment and increase exposure toward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on the dysmenorrhea.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 and Child Health, 22(1), 17-24. DOI : 10.21896/jksmch.2018.22.1.17 

  19. D. Zheng, C. Li, T. Wu & K. Tang. (2017). Factors associated with spontaneous abortion: a cross-sectional study of Chinese populations. Reproductive Health, 14, 1-9. DOI: 10.1186/s12978-017-0297-2 

  20. M. Kim & H. Kim. (2009). Recogn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 knowledge, behaviors to decrease exposure and education need toward endocrine disruptor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1(3), 123-142. 

  21. K. S. Koh. (2000). Prenatal environmental exposure and pregnancy outcom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 12(2), 258-268. 

  22. B. R. Bae. (201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4-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 Chungram. 

  23. T. Y. Won & S. W. Jung. (2013). SPSS PASW statistics 18.0 Statistical survey analysis. Seoul : Hannarae Publishing Co. 

  24. J. P. Yu. (2012).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 Hannarae Publishing Co. 

  25. J. B. Lee. (2019. 5. 21.). Controversy over sanitary napkin hazards underway for three years... "Still Safety is for Individuals". Hankyoreh [Online].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94752.html 

  26. G. Toft et al. (2012). Association between pregnancy loss and urinary phthalate levels around the time of conception.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20(3), 458-463. DOI : 10.1289/ehp.1103552 

  27. M. Y. Choi. (2018. 7. 30. ). To reduce the body's toxin 'body burden'. Kyunghyang Biz [Online].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807301316001&code9205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