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교육
Social Welfare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7, 2020년, pp.46 - 53  

남희은 (고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백정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임유진 (고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다양한 학문 영역에서 4차산업혁명 관련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회복지분야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사회복지의 실천적, 정책적 적용,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교육 등 선제적인 대비를 위한 연구들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교육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역량, 교과과정 등 사회복지교육의 전반적인 방향과 사회복지 전문 인력의 교육적 차원을 논의하여 우리 삶의 많은 부분 연결되어 있는 사회복지의 미래 지향점을 찾는데 목적을 둔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교육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한국사회복지교육 학술지에 2005년부터 2019년까지 게재된 223편의 연구를 텍스트네트워크,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하여 분석 하였다. 키워드 분석결과 사회복지교육(43), 연구방법(28), 사회복지현장실습(23)등이 영향력을 미치는 키워드로 분석되었고, 사회복지현장, 현장 실습이 주제별 분류에서도 높게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교육 방향은 첫째, 사회복지교육의 전반에 있어 역량과 교육과정, 자격과정에 관한 방향, 둘째, 사회복지전문인력인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전공학생들을 중심으로 한 교육 방향, 셋째, 미래 사회복지의 윤리적 민감성, 넷째, 공유복지방향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as discuss the overall direc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such as competency and curriculum and the educational dimension of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Using Text Network...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 사회복지교육이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탐색적 제언을 제시하기 위하여 한국사회복지교육 연구의 논문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가지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사회복지교육자체에 대한 논의, 교육 방법 및 과정, 사회복지인력에 대한 양성, 윤리 및 가치, 대상자, 실천현장과의 연계 등이 주요한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 분석결과 3가지 분석에서 공통적으로 사회복지교육자체에 대한 논의, 교육 방법 및 과정, 사회복지인력에 대한 양성, 윤리 및 가치, 대상자, 실천현장과의 연계 등이 주요한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혁신 도전 개방 융합으로 이끌어 가야 하는[20] 시기에 맞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사회복지교육방향을 4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사회복지교육 경향을 살펴봄으로써, 4차 산업혁명시대 사회복지 교과과정, 요구역량 등 사회복지교육의 전반적인 방향과 전문인력의 교육적 차원을 논의하여 사회복지의 미래 지향점을 찾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의 특징은? 4차 산업혁명은 과거의 전통, 상식, 가치를 뒤바꿀만한 파급력으로, 전 세계에 큰 변혁을 가져오고 있다. 4차산업혁명 선도국인 미국, 독일, 영국, 핀란드는 정부가 산업전략을 주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2017년 대통령 직속기구인 4차 산업혁명위원회를 출범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고 있다[1].
교육 이외의 분야에서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연구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가? 연구는 과학기술 변화 뿐 아니라 사회체계, 직업구조, 교육의 변화 차원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첫째, 과학기술 변화로 혁명적인 변화에 따른 산업구조, 즉 디지털에 기반을 둔 연결성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및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통합되는 현상을 제시하고 있다[2][3]. 둘째, 사회체계의 변화는 클라우드 슈밥이 제시한 과학기술 변화[4]를 필두로 사회체계,국가체계, 세계체계까지 파급이 일어날 것이란 것에 대한 연구이다[4][5]. 셋째, 직업구조의 변화는 산업혁신에 따라 상당수 직업이 소멸하면서 소득불평등의 증가[6]와 더불어 일자리 중 70%정도가 새로운 일자리로 대체될 것이라는 연구이다[7][8]. 마지막으로 교육의 변화로, 국내교육계에서도 4차 산업혁명 대비하기 위한 미래핵심역량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며[9], 미래에는 특정기능 역량(Functional skills)보다는 사회적 역량, 자원관리 역량, 시스템 역량, 문제해결 역량, 과학기술 역량과같이 다기능 역량을 강조할 것이라는 것이 핵심내용이다.
국내교육계에서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교육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셋째, 직업구조의 변화는 산업혁신에 따라 상당수 직업이 소멸하면서 소득불평등의 증가[6]와 더불어 일자리 중 70%정도가 새로운 일자리로 대체될 것이라는 연구이다[7][8]. 마지막으로 교육의 변화로, 국내교육계에서도 4차 산업혁명 대비하기 위한 미래핵심역량교육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며[9], 미래에는 특정기능 역량(Functional skills)보다는 사회적 역량, 자원관리 역량, 시스템 역량, 문제해결 역량, 과학기술 역량과같이 다기능 역량을 강조할 것이라는 것이 핵심내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H. Lee, "4th Industrial Revolution: What should we do?", Journal of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Vol.487, pp.30-38, 2017. 

  2. S. K. Jang, "Looking for a future school in the Korean education scene", Gyeonggi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3rd Anniversary Symposium, Gyeonggi, Korea, pp.70-93, Oct 2016. 

  3. Y. J. Jang, "The futur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ivate Future Strategy Committee seminar, Seoul, 2016. 

  4. K. Schwab,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at it means, how to respond", World Economic Forum, Geneva, Switzerland, Jan 2016. 

  5. S. K. Lee, et. al., 4 ${\cdot}$ 16 Education System Vision and Strategy Study, pp.325, Gyeonggi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2015. 

  6. F. S. Kelly, T. McCain, I. Jukes, Teaching the digital generation: No more cookie-cutter high schools. Corwin Press, Califonia, 2009. 

  7. S. S. Cho, K. S. Kim, "Educational Philosophy Basics of Future Korean Education-Diagnosis, task and direction," Gyeonggi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3rd Anniversary Symposium, Gyeonggi, Korea, pp.30-52, Oct 2016. 

  8. J. S. Hwang, "Paradigms of the intelligent society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Informatization policy, Vol.23, No.2, pp.3-18, 2016. 

  9. K. A. Kim et al., "A study of establishing future oriented educational system in an era of declining number of students", Research report,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orea, 2015. 

  10. H. E. Nam, J. W. Baik, H. Y. Lee, Y. J. Im,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social workers of the rehabilitation enter for the disabled",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Vol.38, pp.237-266, 2017. 

  11. H. J. Kang, D. Y. Cho, "A delphi study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directions and tasks for the 4 industrial revolution", 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Vol. 19, No.4, pp.1-34, 2017. 

  12. H. E. Nam et al., "Recognition of experts on social welfare educ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future society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43, pp.55-80, 2018. DOI:https://doi.org/10.31409/KJSWE.2018.43.55 

  13. M. O. Kim, H. J. Choi, I. J. Jeong, S. Y. Min, "Future of social work practice- Human, human agai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59, No.4, pp.137-162, 2017. DOI: https://doi.org/10.1007/s00163-010-0086-1 

  14. C. S. Nam, "Pending and emerging issue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reform of course completion system and possible responses to changes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48, pp.233-266, 2019. 

  15. J. S. Choi, "The future key roles, essential competencies and curricula of social workers in local government-delphi survey",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Education, Vol.28, pp.19-44, 2014. 

  16. H. W. Park, L. Leydesdorff,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s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6, No.5, pp.1337-1387, 2004. 

  17. Y. C. Choi, K. K. Ki,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in Korea and the UK",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Vol.15, No.1, pp.1-26, 2011. DOI: https://doi.org/10.18397/kcgr.2011.15.1.1 

  18. E. Y. Lee, K. H. Chu, D. H. Lee, "A study on recent trend analysis in consumer research applying Word Cloud", Journal of Product Research, No.37, Vol.1, pp.1-7, 2019. DOI: https://doi.org/10.1007/s00163-010-0086-1 

  19. I. S. Jang, S. S. Lee, "A case study on multi- cultural information supporting network in Japa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16, No.1, pp.455-476, 2012. 

  20. C. G. Park, If the content is king, the context is god, p.466, Cloud Nine press, 2018 

  21. Y. K. Kim et al., Promising job future map, Everyday and ideal press, pp.328, 2018. 

  22.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ttps://www.4th-ir.go.kr/ (accessed Dec. 1, 2019) 

  23. C. Chan, M. Holosko, "Technology for social work interventions", Journal of Technology in Human Services, Vol.35, pp.1-7. 2016. DOI:https://doi.org/10.1093/OBO/9780195389678-0263 

  24. NASW, New Technology Standards Guide Social Work Practice and Education.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Washington DC., 2014. 

  25. K. S. Jung, Future-oriented knowledge 100, pp.376, Super Graphic,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