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시대의 장애인복지기관에 대한 종사자와 이용자간 인식
Difference between Employees and Users of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2, 2019년, pp.405 - 412  

김남숙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과 장애인자립생활센터(IL센터) 종사자 및 이용자가 갖는 4차 산업혁명시대의 기관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여 기관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정보제공에 목적을 둔다.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의 장애인복지기관 8개소 장애인 이용 당사자 178명과 종사자 173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도, 기관의 미래 준비수준, 장애인복지기관의 변화예측 등 관련된 자체 제작 설문지를 통해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종사자가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았으나 장애인복지기관의 준비수준에 대한 인식에서는 이용자에 비해 종사자이 인식하는 기관의 미래 준비수준은 낮다고 평하였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장애인복지기관의 미래변화 예측에 대해서는 이용자에 비해 종사자가 더 긍정적 변화를 예측했고 종사자가 이용자 보다 더 높은 기대를 갖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런 결과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장애인복지기관의 미래대응전략을 위한 정보제공을 하여 향후 한국장애인복지계의 발전을 도모하고 한국장애인복지정책 방향설정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 여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disabled who use the IL center or the disabled in the community and its workers. It surveyed 178 disabled users and 173 workers at eight centers of the handicapped in Busan and South Gyeongsang-...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어떤 최신기술에 대한 관심이 있는 지 알아보았다. Table 3에서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 최신기술의 세부항목별 관심도이다.
  • 현재 한국을 비롯한 전세계는 예측 불가의 4차 산업혁명이라는 미래 변화에 기대와 불안을 동시에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기관의 이용자 당사자와 종사자가 갖고 있는 4차 산업혁명시대 장애인복지기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변화하는 미래의 장애인복지기관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설계되었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내 장애인들의 재활과 복지를 책임지는 장애인복지기관의 4차 산업혁명 관련 준비수준 및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장애인복기관의 변화예측 등에 대한 종사자와 이용자간 인식을 비교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장애인복지의 핵심적 실천주체인 장애인복지기관(장애인복지관과 IL센터)의 이용 장애인과 그 종사자를 중심으로 장애인복지기관의 시대적 변화에 대한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는 장애인당사자와 종사자의 인식 분석을 통해 장애인복지기관의 정체성 정립을 위한 외적 환경요인 및 내적 환경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 즉, 양자가 인식하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장애인복지기관의 준비수준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장애인복지기관의 변화예측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한국의 4차 산업혁명이라는 사회적 환경요인 및 내외적 환경요인을 모두 고려함이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지역사회내 장애인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애인복지기관의 미래변화 대응 전략을 촉진하고 적절한 기관들의 정체성, 즉 시대변화에 맞는 기능과 역할 변화를 준비할 수 있는 정보제공에 연구목적과 의의를 둔다.
  • 문항은 모두 9개로 이루어졌으며 최신기술로 인한 장애인복지기관의 인력 및 업무환경 변화, 사회적 필요성의 증대, 장애인복지기관의 최신기술 사용으로 인한 장애인의 삶 향상 등이 포괄적으로 포함되었다. 이러한 질문은 4차 산업으로 인한 장애인 삶의 직접적인 영향 보다는 본 연구의 핵심인 장애인복지기관을 통해 장애인의 삶에 대한 변화 기대를 살펴본 후 그 정보를 통해 장애인복지기관의 미래를 설계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또한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정보혁신을 낳은 3차 산업혁명 시기를 거쳐 현재는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을 기반으로 한 인류의 네 번째 산업혁명, 즉 제4차 산업혁명기에 도래하였다. WEF(2016)[1]는 4차 산업혁명을 “디지털 혁명인 3차 산업혁명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디지털(digital), 물리적(physical), 생물학적(biological) 기존 영역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융합되는 기술 혁명”이라고 정의하였는데 이는 인류에게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의 융합으로 인해 새로운 포스트휴먼시대의 등장을 알리는 것이다.
장애인복지관과 장애인자립생활센터의 태생적 상이성은 무엇인가? 2000년 이후로 장애인복지계에 있어 또 하나의 복지주체이며 지역사회내 이용기관으로 언급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장애인자립생활센터(Independent Living Center)이다. 장애인자립생활센터는 철저하게 변화된 장애인자립패러다임과 사회운동을 기반으로 탄생된 조직체라는 점에서 장애인복지관과는 태생적 상이성이 존재하나 현재 지역사회 장애인들을 위한 서비스제공기관이라는 큰 공동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복지관과 함께 주목하였다. Nisek는 장애인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비관적 견해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러한 거대한 기대는 동시에 암울한 불안과 거품일 것이라는 비관적 목소리도 존재한다. 빈부의 격차, 기회의 불평등을 조장되고 로봇케어로 인해 이용자들의 불필요한 수치심은 덜어질 수 있으나 또 다른 사회적 소외와 고립이 이루어진다는 견해이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World Economic Forum(WEF). (2016). The Future of Jobs-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eneva : WEF. 

  2. H. K. Kim. (2018). Post Human and the Imago Hominis of Criminal Law. Anam Law Review, 55, 135-160. 

  3. T. Y. Park, J. Y. Gang, Y, Kim, T. K. Kim & H. J. Oh. (2018).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about the Future of Librar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2(1), 203-229. 

  4. H. S. Kim. (2017).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perciption of English teacher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octoral dissertation. Jungang University. Seoul. 

  5. S. J. Kim. Y. S. Kim. J. H. Kim. J. H. Lee & K. E. Chang.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 workers in Health and Medical Industry in preparation for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5), 43-52. 

  6. J. W. Lee & Y. S. Kim. (2018). Awareness on 4th industrial revolution of dental hygienists for future medical c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131-139. 

  7. H. M. Jang. (2017).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Future Social Awareness, Curriculum for the Hearing-Impaired Student, Methodology of Language Education, and Direc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Daegu. 

  8. K. H. Jung & B. S. Song. (2018). A Study on the Awareness of Assistive Technology Professional abou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7(1), 373-393. 

  9. W. Y. Kim. (2017).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ssues surrounding the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Rehabilitation International Korea. http://www.freeget.net 

  10. W. Y. Choi & K. J. Lee. (2014). Social We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y. Pajoo: Hakjisa. 

  11. M. A. Nosek. (1988). Independent living and rehabilitation counseling, In E. Robin & N. M. Robin(Eds.), Contemporary challenges to the rehabilitation counseling Profession. Abingdon-on-Thames :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12. Korean Law for People with Disability. http://www.law.go.kr 

  13. http://www.busan.go.kr 

  14. K. A. Jung. (2018).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the Employees at the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Master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5. C. H. Ryu. (2018). A Study on the Components and Interactions of Peer Counseling in Center for Independent Living: Integrated Approach with Concept Mapping and Interactive Qualitative Analysis. Doctoral dissertation. SungKongHoe University, Seoul. 

  16. Y. D. Kim. (2017). Service innovation of organizations for disabled people - Resisting to Institution within the Institution.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7, 33-56. 

  17. S. H. Lee & Y. Y. Choi. (2018). A Study on Practical Recognition about Rights Advocacy of Social Workers in Disabled Welfare Cente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6), 265-271. 

  18. C. B. Cho, D. Y. Kim & S. J. Lee. (2018). Analysis of the Situation for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Adult in the Lifelong Education and Demand of it : Focusing on the User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57(1), 195-217. 

  19. J. A. Yeom & Y. S. Kim. (2018).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Staffs and Users toward the Services of Welfare Centers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34(1), 87-108. 

  20. J. Kim & S. M. Han. (2017).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Violence Exper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Workers at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5, 5-26. 

  21. S. K. Kwon & Y. J. Jung. (2017). Exploring the competency of social Worker in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to promote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isabilitie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l.7(10), 513-520. 

  22. H. W. Sin. (2017). A Study on Status and Needs of In-Service Education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Disability & Employment, 27(2), 5-27. 

  23. E. J. Jung & S. H. Kim. (2017). Research of staff supervision structures and processes in social welfare agencies - Focusing on the welfare agencies for the disabled in southern Gyeongsangnam region. Supervision & Practice Research, l.2, 109-132. 

  24. J. S. Kim & C. K. Kim. (2017). The impact of accessibility to use of 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in rural.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61, 81-102. 

  25. H. E. Nam. J. W. Baik, H. Y. Lee & Y. J. Lim.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Social Workers of the Rehabilitation Center for the Disabled.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8, 237-266. 

  26. S. M. Jung. (2016). The Role of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Welfare Delivery System for the Disabled. Gwang-ju : Gwangju Rehabilitation Center Association. 

  27. S. D. Hwang. (2007). Research Methods in Social Welfare. Pajoo: Hakji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