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학플랜트에서의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배상책임 위험도 산정
Estimation of the Liability Risk for Release of Chemicals at Chemical Plant 원문보기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화학공학, v.58 no.3, 2020년, pp.438 - 449  

문정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일반대학원 안전공학과) ,  박달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안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화학 및 석유화학 플랜트 등의 장치산업에서 사업장 외부로 유해화학물질이 누출·확산되어 발생할 수 있는 배상책임 위험도에 대한 산정 방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부 사고대비 물질(14종)에 대해 누출·확산 시뮬레이션, 화학물질 누출사고 사례 분석, 식물피해 영향 자료 분석 등을 통하여 화학물질 누출사고 배상책임 위험도와의 상관관계인자를 도출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화학물질 배상 책임 위험도 산정 방법을 수정·보완하였다. 14종의 화학물질의 Probit 값과 EURAM 배상책임 위험도의 상관계수는 -0.526로 나타났고, 수정된 화학물질 누출사고 배상책임 위험도와의 상관계수는 0.319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정된 산정 방법론으로 97종에 대한 배상책임 위험도와 ERPG-2 값의 상관계수는 -0.494로 분석되었고, 이는 기존 배상책임 위험도와의 상관관계보다 약 19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식위험도 값과의 상관계수는 0.91로 분석되었다. 위험도의 증가와 감소에 영향을 미친 상관관계 인자의 표준화 회귀계수(β) 값은 Corrosion Index (0.713), ERPG-2 (0.400), NFPA_Health Index (0.068) 크기 순서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존과 신규 화학물질의 합리적인 배상책임 위험도 산정이 가능하게 하고, 사업장에서 정량적인 배상책임 위험관리 지표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risk of liability that arise from release and dispersion of chemicals outside the plant in process industries such as chemical and petrochemical plants. To achieve this goal, the correlation factors with the risk of chemical release accident is ...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정된 화학물질 누출사고 배상책임 위험도 산정방법론을 통해서 기존과 신규 화학물질의 합리적인 배상책임 위험도 산정이 가능하게 하고, 사업장에서 정량적인 배상책임 위험관리지표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화학플랜트 등의 장치 산업에서 화학물질 누출사고 시 배상책임 위험도를 사전에 인지하고, 피해 최소화 대책에 유용하게 활용되리라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화학플랜트 등의 장치산업에서 화학물질의 누출사고로 인한 배상책임 위험도를 합리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상관관계 인자를 도출하고 기존의 배상책임 위험도 평가법을 개선하여 화학물질별 누출 배상책임 위험도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부 사고대비 물질(14종)에 대해 누출·확산 시뮬레이션, 화학물질 누출사고 사례 분석, 식물피해 영향도 자료에 대한 분석 등을 통하여 화학물질 누출사고 배상책임 위험도와의 상관관계인자를 도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학플랜트 등에서 화학물질이 누출하여 사업장 외부에 영향을 주어 발생할 수 있는 배상책임 위험도 산정 방식을 개선하여 관련 사업장에서 정량적인 배상책임 위험관리 지표로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환경부 사고대비물질(14종)에 대해 사고결과 피해예측 도구인 PHAST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대표적 화학물질 누출사고 사례분석, 식물피해 영향 자료 분석 등을 통하여 화학물질 누출사고 배상책임 위험도와의 상관관계 인자를 도출하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기존 화학물질 배상책임 위험도 산정 방식을 보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URAM은 무엇인가? 위의 2가지의 피해산정 방식을 살펴보면, 장외영향평가는 독성관점에서 비상대응 계획지침-2 (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2, 이하 ERPG2)값을 끝점으로 활용하여 영향 범위를 산출[10,11]하나 환경책임 보험에서는 유해화학물질 배상책임 위험도 산출기준으로 유럽의 화학물질위해도평가기준인 EURAM (European Union Risk Ranking Method, 이하 EURAM)을 사용하고 있다[9]. EURAM은 관리대상 유해화학물질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인체와 환경의 위해도 평가방법[12]이며, 이중인체 위해도 평가방법이 현 배상책임 위험도 산정에 적용되고 있다[9]. 이는 소규모 작업공간에서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되고, 일정량의 농도에 지속해서 노출되었을 경우 인체 위해도를 평가하는 방법[9,13]으로 사업장 밖 장외영향 위험도산정 기준인 ERPG-2 값과는차이가있을것으로판단된다.
ERPG-2와 EURAM에서 도출되는 값의 차이는 어떤 문제가 되는가? 이는 소규모 작업공간에서 유해화학물질이 누출되고, 일정량의 농도에 지속해서 노출되었을 경우 인체 위해도를 평가하는 방법[9,13]으로 사업장 밖 장외영향 위험도산정 기준인 ERPG-2 값과는차이가있을것으로판단된다. 이러한차이는 독성영향에 따른 치사율이 높은 물질임에도 EURAM에 의한 배상책임 위험도는 낮게 산출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화학물질안전 전문가집단과 화학물질안전관리자 사이에서도 화학 플랜트 현장의 물질별 배상책임 위험도 산정이 불합리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환경책임보험료 관련 민원이 제기되고 있다는 상황이다[15].
다른 국가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노출 및 독성영향 평가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화학물질의 노출 및 독성영향 평가방법은 EURAM 이외에도 미국의 ATSDR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CHEMS-1 (Chemical Hazard Evaluation for Management Strategies), SCRAM (Scoring and Ranking Assessment Model) 및 캐나다의 ARET (Accelerated Reduction/Elimination of Toxics)와 같은 기준[14]이 있다. 여기서, ATSDR은 노출·독성 이외에 빈도를 추가로 고려하며, CHEMS-1은 노출보다 독성에 비중을 두고, SCRAM은 노출을 독성보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ark, E. W., Park, J. Ho., Lee, K. S., Hong, M. K., Ahn, B. J., and Lee, E. J.,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Criteria for Sele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Requiring Management i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4(4), 425-435 (2014). 

  2. Rim, K. T., Koo, K. H. and Park, J. S., "Toxicological Evaluations of Rare Earths and Their Health Impacts to Workers: Literature Review," Safety and Health at Work, 4(1), 12-26(2013). 

  3. Park, K. S., "Offsite Risk Assessment on Chloric Acid Release," Korean Chem Eng. Res., 54(6), 781-785(2016). 

  4. Nam, Y. J., "Hydrogen Fluoride, Change Gumi (Accident paper of Hydrogen Flouride Release in Gumi)", Gumi City Hall Safety Disaster Department (2013). 

  5. Kim, S. Y., Cho, C. H. and Lee, E. K., "Studies on the Chemical Accidents of Korea by the Statistics and Case Review," Korea Institute of Hazardous Materials, 5(1), 50-58(2017). 

  6.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Report of impact investigation of accident of Tetrachlorosilane chemical release at OCI plant in Gunsan City," (2015). 

  7. ChosunBiz,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20/2019052002697.html(Access date 2020, 02, 05) 

  8. Kim, J. H., Jeong, C. M., Kang, S. M., Yong, J. W., Yoo, B. T. and Seo, J. M., "Comparison Study for Impact Range of Prediction Models Through Case Study about Gumi Hydrogen Fluoride Accident," Korean Chem. Eng. Res., 55(1), 48-53(2017). 

  9.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Damage Assessment Criteria," 26-94 (2014). 

  10. Kim, J. H. and Jung, S. H., "Offsite Consequence Modeling for Evacuation Distances against Accidental Hydrogen Fluoride (HF) Release Scenarios," Korean Chem Eng. Res., 54(4), 582-585(2016). 

  11. Kwon, H. M., "KOSHA Guide P-107, Technical Specification for Selecting Worst-case and Alternative Leakage Scenarios,"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10-11(2016). 

  12. Hansen, B. G., Van Haelst, A. G., Van Leeuwen, K. and Van Der Zandt, P., "Priority Setting for Existing Chemicals: EU Ropean Union Risk Ranking Method,"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Chemistry, 18(4), 772-779(1999). 

  13. Kim, Y. S., Park, H. S., Lee, D. S. and Shin, D. C.,"Comparisons of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Methods,"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18(3), 183-191(2003). 

  14. An, Y. J., Jeong, S. W., Kim T. S., Lee, W. M., Nam, S. H. and Baek Y. W., "Assessment factors for the Selection of Priority Soil Contaminants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Ranking and Scoring Systems," Soil & Groundwater Environment, 13(6), 62-71(2008). 

  15. Environmental Media, https://www.ecomedia.co.kr/news/newsview.php?ncode1065572168945843(Access date 2020, 02, 10) 

  16. CCPS, "Guidelines for Consequene Analysis of Chemical Releases," AIChE, John Wiley & Sons, 241-261(1999). 

  17. Park, M. N., Kim, C. W. and Shin, D. I.,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and Standardized Method for Substances Accounting of Environmental Liability Insuran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22(5), 1-17(2018). 

  18. Chah, S. W., Joo, C. K., Park, H. S., Park, S. J., Kim, P. J., Lee, S.M., Choi, K. H. and Yi, J. H., "Methodology to Determine the Order of Priority for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Selection of Major Pollutants for Metropolitan and Industrial Areas," Korean Chem Eng. Res., 41(3), 357-367(2003). 

  19. Yoon, Y.,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of Korean version Risk Management of Chemical Accidents," Ph D.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Kimhae, 1-14(2018). 

  20.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Plant Damage Reduction by Exposure of substances (14 species) in preparation for accidents," Daejeon, 4-128(2016). 

  21.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Plant Damage Reduction by Exposure of substances (14 species) in preparation for accidents," Daejeon, 6-44(2017). 

  22.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https://icis.me.go.kr/page-Link.do(Access date 2020, 02, 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