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g-Al 합금에서 연속 냉각 및 등온 시효로 생성된 불연속 석출물의 미세조직 특징과 경도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Hardness of Discontinuous Precipitates Formed by Continuous Cooling and Isothermal Aging in Mg-Al Alloy 원문보기

열처리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t treatment, v.33 no.4, 2020년, pp.173 - 179  

전중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융합소재공정연구부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aratively the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hardness of discontinuous precipitates (DPs) in Mg-9%Al alloy, which were formed by continuous cooling (CC) from 678 K to RT and isothermal aging (IA) at 413 K, respectively. In as-cast state, the Mg-9...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DPs의 α/β 층상 간격, DPs내 β상의 함량 및 두께와 같은 미세조직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50장의 고배율 SEM 사진을 분석하였고, 열처리 조건별로 측정한 50개씩의 경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도의 분포 양상과 평균값을 조사, 비교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g-9%Al 합금을 대상으로 용체화처리 후 노냉(furnacecooling)하면서 상온까지 낮은 속도로 연속 냉각하는 방법과 용체화처리 후 수냉하고 이를 다시 저온에서 시효 처리하는 방법으로 각각 DPs를 미세조직 내에 생성시킨 후 경도를 비교하였으며, 이 결과를 DPs의 층상 간격, DPs내 β상의 함량 및 두께와 같은 미세조직의 특징 차이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 시편을 678 K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처리한 다음 일부는 노냉하면서 상온까지 낮은 속도로 연속 냉각(continuous cooling, 이하 “CC”로 표기)하였고, 나머지는 용체화처리한 후상온에 수냉한 다음 413 K에서 96시간 등온 시효한 후 공냉(isothermal aging, 이하 “IA”로 표기)하였다. 미세조직은 주사전자현미경(SEM, FEI Quanta-200F)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CC 및 IA 시편에서 생성된 DPs의 경도는 마이크로 비커스 경도계(microVickers hardness tester, Matsuzawa MMT-X)를 이용하여 50 g 하중으로 측정하였다. DPs의 α/β 층상 간격, DPs내 β상의 함량 및 두께와 같은 미세조직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50장의 고배율 SEM 사진을 분석하였고, 열처리 조건별로 측정한 50개씩의 경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도의 분포 양상과 평균값을 조사,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g-9%Al 합금에 대해 678 K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처리한 후 노냉하면서 상온까지 연속 냉각한 조건(continuous cooling, “CC”) 및 용 체화처리 후 수냉하고 다시 413 K에서 96시간 등온시효한 조건(isothermal aging, “IA”)에서 생성된 불연속 석출물(DPs)의 미세조직 특징, 경도의 평균값과 분포 양상을 비교, 조사하였다.
  • 시편을 678 K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처리한 다음 일부는 노냉하면서 상온까지 낮은 속도로 연속 냉각(continuous cooling, 이하 “CC”로 표기)하였고, 나머지는 용체화처리한 후상온에 수냉한 다음 413 K에서 96시간 등온 시효한 후 공냉(isothermal aging, 이하 “IA”로 표기)하였다.
  • 005%Ni로 확인되었다. 주조된 잉곳트를 각재로 절단한 다음 기계 가공을 통해 미세조직 관찰 및 경도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편을 678 K에서 24시간 동안 용체화처리한 다음 일부는 노냉하면서 상온까지 낮은 속도로 연속 냉각(continuous cooling, 이하 “CC”로 표기)하였고, 나머지는 용체화처리한 후상온에 수냉한 다음 413 K에서 96시간 등온 시효한 후 공냉(isothermal aging, 이하 “IA”로 표기)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에서 사용한 Mg-9%Al 합금은 순도 99.9%의 Mg과 순도 99.9%의 Al을 목적 조성을 갖도록 평량한 후 (SF6+ CO2) 보호가스 분위기에서 전기저항로를 이용하여 용해한 다음 503 K로 예열된 금형에 주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분석기(ICP-OES, GBS Scientific Equipment, Integra XL)를 이용하여 제조된 합금의 화학조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제조된 Mg-9%Al합금의 실질적 조성은 Mg-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 Song, J. She, D. Chen and F. Pan : J. Magnes. Alloy 8 (2020) 1. 

  2. M. Zha, H. M. Zhang, C. Wang, H. Y. Wang, E. B. Zhang and Q. C. Jiang : J. Alloy Compd. 728 (2017) 682. 

  3. K. Hono, C. L. Mendis, T. T. Sasaki and K. Oh-ishi : Scripta Mater. 63 (2010) 710. 

  4. I. H. Jung, Me. Sanjari, J. Kim and S. Yue : Scripta Mater. 102 (2015) 1. 

  5. A. H. Feng and Z. Y. Ma : Scripta Mater. 56 (2007) 397. 

  6. A. V. Koltygin, V. E. Bazhenov, E. A. Belova and A. A. Nikitina : J. Magnes. Alloy 1 (2013) 224. 

  7. M. Esmaily, D. B. Blucher, J. E. Svensson, M. Halvarsson and L. G. Johansson : Scripta Mater. 115 (2016) 91. 

  8. K. N. Braszczynska-Malik : J. Alloy Compd. 477 (2009) 870. 

  9. C. Lv, T. Liu, D. Liu, S. Jiang and W. Zeng : Mater. Des. 33 (2012) 529. 

  10. W. Zhou, T. Shen and N. N. Aung : Corros. Sci. 52 (2010) 1035. 

  11. S. Li, X. Yang, J. Hou and W. Du : J. Magnes. Alloy 8 (2020) 78. 

  12. K. Fujii, K. Matsuda, T. Gonoji, K. Watanabe, T. Kawabata, Y. Uetani and S. Ikeno : Mater. Trans. 52 (2011) 340. 

  13. S. Takeshita, C. Watanabe, R. Monzen and S. Saikawa : J. Jpn. Inst. Light Met. 64 (2014) 470. 

  14. M. X. Zhang and P. M. Kelly : Scripta Mater. 48 (2003) 647. 

  15. S. Celotto : Acta Mater. 48 (2000) 1775. 

  16. J. H. Jun : J. Alloys Compd. 75 (2017) 237. 

  17. N. Ridley : Metall. Trans. A 15A (1984) 1019. 

  18. C. Zener : Trans. AIME 167 (1946) 550. 

  19. W. Zheng, S. Li, B. Tand and D. Zeng : China Found. 3 (2006) 270. 

  20. K. K. Ray and D. Mondal : Acta Metall. Mater. 39 (1991) 2201. 

  21. M. Dollar, I. M. Bernstein and A. W. Thompson : Acta Metall. 36 (1988) 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