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정책수단 전환의 효과성 연구: 한국의 전환 사례 분석
A Study on effectiveness of transition of policy instruments for renewable energy: In the case of shift from FIT to RPS in Korea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28 no.2, 2020년, pp.1 - 36  

박인용 (한국과학기술원 기술경영학부) ,  정재용 (한국과학기술원 기술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생에너지 육성을 위한 각국의 정책적 개입이 강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2002년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도입하여 재생에너지에 육성을 직접적으로 지원하였으나 2012년 의무할당제(RPS)를 도입하여 발전차액지원제도를 대체하는 정책수단의 전환이 발생하였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배경으로, 발전차액지원제도와 의무할당제의 비교를 다룬 기존 논의에서 나아가 정책수단 전환의 성과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답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무할당제 전환이 이루어진 2012년 전후 정책 효율성의 변화를 자료포락분석(DEA)과 맘퀴스트 지수(Malmquist Index)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에너지원에 따라 의무할당제 전환 이후 정책효율성의 제고에 차이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재생에너지 사업자들이 기술력 또는 가격경쟁력이 확보된 에너지원에 대해서만 자발적으로 시장에 진입하였고, 이것이 의무할당제 전환 이후의 재생에너지 보급 성과가 특정 에너지원에 편중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생에너지 정책의 목표가 보급 확대와 성장동력화에 있음을 고려할 때 정책수단의 선택에 있어 기술, 시장 등을 고려한 다면적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각 재생에너지원의 현황에 맞춘 다각화된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the policy intervention of each country for the promotion of renewable energy is strengthened, Korea introduced Feed-in Tariff (FIT) in 2002 to directly support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But in 2012, the shift of policy instrument that from FIT to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 ...

주제어

참고문헌 (43)

  1. 구민교 (2013), "우리나라의 발전차액지원제도 사례 분석: 신산업정책론 시각에서", 한국행정연구, 22(1), pp.1-27. 

  2. 권태형 (2012), "신재생에너지 지원정책의 지대발생 효과와 규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를 중심으로", 에너지경제연구, 11(2), pp.141-163. 

  3. 권태형 (2014),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를 위한 정책수단의 비교 - 가격정책과 수량정책의 정책결합",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8(2), pp.1-23. 

  4. 김봉주.김건식(2013),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제도의 운용 현황과 과제", 이슈와 논점, 753, 국회입법조사처. 

  5. 김은성.허은녕 (2016), "동적 패널 모형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정책의 OECD 국가 재생에너지 보급 효과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25(2), pp.229-253. 

  6. 김준영.김성배.박성욱 (2016), "의무할당제의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대한 정책효과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2), pp.131-160. 

  7. 김태은 (2011), "신재생에너지 성장의 영향요인 연구: FIT와 RPS의 효과성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5(3), pp.305-333. 

  8. 박연수(2018),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의 현황과 개선과제", NARS 현안분석, 25, 국회입법조사처. 

  9. 산업자원부 (2006), 신재생에너지 발전차액지원제도 개선 및 RPS제도와 연계방안. 

  10. 신정희 (2011), "에너지공급에 있어서 국가의 과제와 지속가능한 재생에너지 보급촉진제도: 현행발전차액지원제도와 2012년 도입되는 발전비율할당제", 법학연구, 52(4), pp.27-51. 

  11. 이경재 (2006), DEA 모형을 활용한 인터넷 기업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석호.조상민(2017), 신재생에너지 RPS제도 개선을 위한 경매제도 도입 방안 연구, 기본연구 17-22, 에너지경제연구원. 

  13. 이성호 (2014), "한국의 RPS제도 이행 점검과 개선 방향",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2(4), pp.182-188 

  14. 이수일.노재형.백철우(2015),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의 효율화 방안 연구, 정책연구 2015-17, 한국개발연구원. 

  15. 이수진.윤순진 (2011), "재생가능에너지 의무할당제의 이론과 실제: RPS 도입국가들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환경정책, 19(3), pp.79-111. 

  16. 이찬우 (2001), DEA 모형을 이용한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소 연구부서의 효율성 분석: A정부출연연구원의 연구사업단 사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형우.조하현 (2017), "RPS 및 FIT 제도가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미치는 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 16(2), pp.1-31. 

  18. 장진영.엄이슬.임두빈(2019), "연료전지 시장의 현재와 미래", Issue Monitor, 112, 삼정KPMG경제연구원. 

  19. 지식경제부 (2009),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국내운영방안 수립. 

  20. 한국에너지공단 (2018), 2018 신재생에너지 백서. 

  21. Banker, R.D., Charnes, A. and Cooper, W.W. (1984),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30(9), pp.1078-1092. 

  22. Batlle, C., Perez-Arriaga, I.J. and Zambrano-Barragan, P. (2012), Regulatory desing for Res-E support mechanism: Learning curves, market structure, and burden-sharing, Energy Policy, 41, pp.212-220. 

  23. Bergek, A. and Jacobsson, S. (2010), Are tradable green certificated a cost-efficient policy driving technical change or a rent-generating machine? Lessons from sweden 2003-2008, Energy Policy, 38(3), pp.1255-1271. 

  24. Charnes, A., Cooper, W.W. and Rhodes, E. (1978),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6), pp.429-444. 

  25. Choi, G., Huh, S.Y., Heo, E. and Lee, C.Y. (2018), Prices versus quantities: Comparing economic efficincy of feed-in tariff and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in promoting renewable electricity generation, Energy Policy, 113, pp.239-248. 

  26. Dong, C.G. (2012), Feed-in tariff v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An empirical test of their relative effectiveness in promoting wind capacity development, Energy Policy, 42, pp.476-485. 

  27. Doris, E. and Gelman, R. (2011), State of the states 2010: The role of policy in clean energy market transformation, 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 

  28. Fare, R.S., Grosskopf, S., Noriss, M. and Ang, Z. (1994), Productivity growth technical progress and efficiency change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merican Economic Review, 83, pp.66-83. 

  29. Farrell, M.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Royal Statistical Society, 120, pp.253-281. 

  30. Frondel, M., Ritter, N., Schmidt, C.M. and Vance, C. (2010), Economic impacts from the promotion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The German experience, Energy Policy, 38(8), pp.4048-4056. 

  31. Grinlinton, D. and Paddock, L. (2010), The Role of Feed-in Tariffs in Supporting the Expansion of Solar Energy Production, University of Toledo Law Review, 41(4), pp.943-973. 

  32. Kwon, T. (2015), Is th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an effective energy policy?: Early evidence from South Korea, Utilities Policy, 36, pp.46-51. 

  33. Menanteau, P., Finon D. and Lamy, M. (2003), Prices versus quantities: choosing policies for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Energy Policy, 31, pp.799-812. 

  34. Neij, L. (1997), Use of experince curves to analyse the prospects for diffusion and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technology, Energy Policy, 25(13), pp.1099-1107. 

  35. REN21 (2019), Renewables 2019 Global Status Report. 

  36. Vedung, E. (1998), Policy Instruments: Typologies and Theories, In Bemelmans-Videc, M., Rist, R.C. and Vedung, E. (ed.), Carrot, Stick and Sermons: Policy instruments and their evaluation, New Brunswick NJ. USA. 

  37. Verbruggen, A. (2009), Performance evaluation of renewable energy support policies, applied on Flanders' tradable certificates system, Energy Policy, 37(4), pp.1385-1394. 

  38. Verhaegen, K., Meeus, L. and Belmans, R. (2009), Towards an international tradable green certificate system-The challenging example of Belgium,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3(1), pp.208-215. 

  39. Wei, M., Patadia, S. and Kammen, D.M. (2010), Putting renewables and energy efficiency to work: How many jabs can the clean energy industry generate in the US?, Energy Policy, 38(2), pp.919-931. 

  40. Woodman, B. and Mitchell, C. (2011), Learning from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the Renewables Obligation in England and Wales 2002-2010, Energy Policy, 39, pp.2914-3921. 

  41. Yi, J.Y., Yoon, K.B. and Park, W.S. (2013), The Renewable Portfolio Scheme, Environment Law Review, 35(1), pp.279-316. 

  42. Yin, H. and Powers, N. (2010), Do state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promote in-state renewable generation?, Energy Policy, 38(2), pp.1140-1149. 

  43. Zhao, X., Tang, K.K. and Wang, L. (2013), Do renewable eletricity policies promote renewable electricity generation? Evidence from panel data, Energy Policy, 62, pp.887-8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