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쿼트 동작 시 수동적 발목 가동범위와 무릎 관절 운동역학적 변인 간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assive ankle movement range and knee joint kinetic variables during squat mov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7 no.3, 2020년, pp.509 - 515  

이재우 (건국대학교 스포츠헬스과학부) ,  박준성 (건국대학교 스포츠헬스과학부) ,  임영태 (건국대학교 스포츠헬스과학부) ,  권문석 (건국대학교 스포츠융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딥 스쿼트 동작 시 발목 관절 유연성이 무릎 관절의 운동역학적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최근 1년간 하지 근골격계 병력이 없는 성인 남성 19명과 여성 8명이 연구대상자로 참여하였다. 딥 스쿼드 시 발목 관절 유연성과 하지 관절의 운동역학적 요인들과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SPSS 24.0, Armonk, NY, USA),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성을 나타낸 변인들은 단순회기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목 관절 유연성과 무릎 관절의 압력을 결정하는 최대 관절모멘트와 관절반발력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근력 트레이닝 시 딥 스쿼트와 같은 무릎 관절에 많은 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운동을 적용할 때 개인에 신체적 특성 중 발목 관절의 유연성의 정도를 확인하는 것은 신체의 안정성과 무릎 관절의 상해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운동 강도를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passive ankle movement range and knee joint kinetic variables during squat movement. In this study, a total of 27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19 men and 8 women, who had no histor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of the lower ex...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릎 관절 굴신 각도와 부상 위험성이 가장 큰 딥 스쿼트 동작을 대상으로 개인의 발목 관절 유연성이 무릎 관절의 운동역학적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딥 스쿼트 운동 시 개인의 운동 능력과 무릎 관절 상해 위험성을 고려함에 있어서 발목 관절 유연성의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딥 스쿼트 동작 시 발목 관절 유연성이 무릎 관절의 운동역학적 요인들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발목 관절 유연성과 무릎 관절의 압력력을 결정하 는 최대 관절모멘트와 관절반발력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릎 관절 굴신 각도와 부상 위험성이 가장 큰 딥 스쿼트 동작을 대상으로 개인의 발목 관절 유연성이 무릎 관절의 운동역학적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딥 스쿼트 운동 시 개인의 운동 능력과 무릎 관절 상해 위험성을 고려함에 있어서 발목 관절 유연성의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무릎 관절의 지역좌표계는 x 축을 ML(medial lateral)축, y축을 AP(anterior- posterior)축, z축을 VT(vertical)축으로 정의하였 으며 무릎 관절의 ML 축에서 양(+)의 수치는 extension, 음(-)의 수치는 flexion, AP 축에서 양(+)의 수치는 adduction, 음(-)의 수치는 abduction, 수직 축에서 양(+)의 수치는 internal rotation, 음(-)의 수치는 external rotation으로 계산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들의 좌,우 다리의 움직임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주동다리인 오른 쪽 다리의 무릎 관절 peak moment와 peak force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무릎 관절의 운동역 학적 자료는 각 연구대상자의 체중과 중량부하를 합한 값(BW*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쿼트는 무엇인가? 스쿼트 시 하지와 코어 근육들의 강력한 수축을 동원하는 대표적 저항성 운동 중 하나이다[1, 2]. 스쿼트는 무릎 관절의 골곡 운동을 통해 앉은 자세를 완성하며, 발목과 힙 관절의 굴곡을 동반한다[3, 4].
무릎 관절의 압축력 과 전단력의 증가가 무릎 관절의 상해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무릎 관절 각도가 가장 큰 딥 스쿼트는 무릎 관절 부하를 결정하는 관절 반발력과 모멘트 요인들을 가장 많이 유발하는 운동이다[12]. 무릎 관절의 굴곡 상태에서 대퇴근육들의 강력한 수축력은 관절 반발력을 증 가시킬 뿐만 아니라 최대 신전 모멘트의 발생을 동반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무릎 관절의 압축력 과 전단력의 증가는 무릎 관절의 상해 위험성을 증가시키게 된다[13]. 부하 운동 시 무릎 관절에 발생할 수 있는 상해 위험성은 특정 관절에 집중되어지는 부하로 인해 발생하는 빈도가 높다.
발목 관절의 유연성이 높은 경우 증가하는 최대 외전 모 멘트와 최대 전방 반발력 요인들은 어떤 결과를 불러오는가? 하지만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이, 딥 스쿼트 시 무릎 관절의 최대 굴곡 후 중량부하를 중력의 역방향으로 운동시키기 위해 무릎 관절을 신전시킬 때 발목 관절의 유연성이 높은 피험자들일수록 무릎 관절에서 발생하는 최대 외전 모 멘트와 최대 전방 반발력 요인들의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무릎 관절에 작용하는 대퇴 근육들의 강력한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요인들로서 무릎 관절에 많은 부하를 유발함으로써 관절 의 상해 위험성을 증가시킬 있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다[17]. 더욱이, 최대 무릎 관절 굴곡 후 수직으로 중량을 운동을 시킬 때 무릎 관절에서 발생하는 최대 외전 모멘트의 증가와 최대 전방 반발력은 하퇴의 후방 회전력을 감소시킴으로서 무릎 관절의 신전 운동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는 원활한 스쿼트를 저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 라 무릎 관절에 많은 부하가 오랜 시간 발생하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서 무릎 관절의 운동역학적 요인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R. F. Escamilla, G. S. Fleisig, T. M. Lowry, S. W. Barrentine, J. R. Andrews, "A three-dimensional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squat during varying stance width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33, No.6 pp. 984-998, (2001). 

  2. P. Kasim, "Optimizing squat technique", Strength and Conditioning Journal, Vol.29, No.6 pp. 10, (2007). 

  3. H. Hartmann, K. Wirth, M. Klusemann, "Analysis of the load on the knee joint and vertebral column with changes in squatting depth and weight load", Sports medicine, Vol.43, No.10 pp. 993-1008, (2013). 

  4. D. R. Clark, M. I. Lambert, A. M. Hunter, "Muscle activation in the loaded free barbell squat: a brief review",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26, No.4 pp. 1169-1178, (2012). 

  5. A. Heijne, B. C. Fleming, P. A. Renstrom, G. D. Peura, B. D. Beynnon, S. Werner, "Strain on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during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36, No.6 pp. 935-941, (2004) 

  6. R. J. Butler, P. J. Plisky, C. Southers, C. Scoma, K. B. Kiesel,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different classifications of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deep squat test", Sports Biomechanics, Vol.9, No.4 pp. 270-279, (2010). 

  7. A. Caterisano, R. F. Moss, T. K. Pellinger, K. Woodruff, V. C. Lewis, W. Booth, T. Khadra, "The effect of back squat depth on the EMG activity of 4 superficial hip and thigh muscles",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16, No.3 pp. 428-432, (2002). 

  8. B. P. Boden, G. S. Dean, J. A. Feagin, W. E. Garrett, "Mechanism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Orthopedics, Vol.23, No.6 pp. 573-578, (2000). 

  9. M. Kritz, J. Cronin, P. Hume, "The bodyweight squat: A movement screen for the squat pattern", Strength & Conditioning Journal, Vol.31, No.1 pp. 76-85, (2009). 

  10. B. J. Schoenfeld, "Squatting kinematics and kinetics and their application to exercise performanc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24, No.12 pp. 3497-3506, (2010). 

  11. E. Macrum, D. R. Bell, M. Boling, M. Lewek, D. Padua, "Effect of limiting ankle-dorsiflexion range of motion on lower extremity kinematics and muscleactivation patterns during a squat", Journal of Sport Rehabilitation, Vol.21, No.2 pp. 144-150. (2012). 

  12. R. F. Escamilla, "Knee biomechanics of the dynamic squat exercis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33, No.1 pp. 127-141, (2001). 

  13. K. E. Dill, R. L. Begalle, B. S. Frank, S. M. Zinder, D. A. Padua, "Altered knee and ankle kinematics during squatting in those with limited weight-bearing-lunge ankle-dorsiflexion range of motio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Vol.49, No.6 pp. 723-732, (2014). 

  14. M. R. McKean, P. K. Dunn, B. J. Burkett, "Quantifying the movement and the influence of load in the back squat exercise",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Research, Vol.24, No.6 pp. 1671-1679, (2010) 

  15. A. Yoshida, L. Kahanov, "The effect of kinesio taping on lower trunk range of motions", Research in sports medicine, Vol.15, No.2 pp. 103-112, (2007). 

  16. D. Lumbroso, E. Ziv, E. Vered, L. Kalichman, "The effect of kinesio tape application on hamstring and gastrocnemius muscles in healthy young adults",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Vol.18, No.1 pp. 130-138, (2014). 

  17. B. Yu, C. Lin, W. E. Garrett, "Lower extremity biomechanics during the landing of a stop-jump task", Clinical. Biomechanics, Vol.21, No.3 pp. 297-305, (20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