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낙동강 하류 수역에서 분자량 크기 및 형광특성을 고려한 용존유기물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nic Matter(DOM) Based on Molecular Weight Fractions and Fluorescence Properties in the Downstream Nakdong River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6 no.3, 2020년, pp.194 - 205  

지화성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김미희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이유정 (부산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 ,  손희종 (부산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wer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molecular weight fractions and fluorescence properties of water samples in the downstream Nakdong River. Biogeochemical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FDOM) were an...

Keyword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서부산권 개발과 낙동강 하굿둑 개방 추진으로 향후 수생태계의 변화가 예상되는 낙동강 하류 수역에서 현재 용존유기물질 특성에 기여하는 인자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유기물질의 분자량 크기(Molecular weight fractions)와 형광특성(Fluorescence properties)을 중심으로 다양한 유기물질 지표를 분석하고 수문학적 및 생지화학적 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용존유기물질의 거동과 특성을 규 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OM은 무엇인가? 자연수계에서 용존유기물질(Dissolved Organic Matters, DOM)은 다양한 분자량과 구조를 가진 비균질성(heterogeneous) 혼합물질로서 탄수화물, 단백질, 아미노산, 유기산 및 각종 생고분자물질이 포함되며, 그 성상과 생성기원에 따라 서로 다른 성분과 구조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r et al. , 2006).
유기물질을 정량하기 위한 방법은? 유기물질을 정량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총유기탄소(Total Organic Carbon, TOC) 또는 용존유기탄소(Dissolved OrganicCarbon, DOC),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Demand, BOD),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및 KMnO4소비량을 측정하는 방법이 공정시험기준에 규정되어있다. 하지만, 이 분석방법들은 비균질적인 유기물질 혼합체를 하나의 농도값으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유기물질의 구조나 분자량 크기 등의 특성과 비균질적인 성분을 식별할 수는 없다.
유기물질의 농도나 DOM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최근에는 유기물질의 농도뿐만 아니라 복잡한 DOM의 조성, 기원 및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석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크기별 배제 크로마토그램(Size ExclusionChromatography, SEC)을 이용한 분자크기별 용존유기물질의 분리, XAD 수지를 이용한 친수성(Hydrophilicity) 및 소수성(Hydrophobicity) 유기물질의 분리, 적외선 분광법(FT-IR)등을 이용한 탄소구조의 분석, 광학적 특성을 이용한 유기물질의 구조와 생성 기원 추적 등이 대표적이다(Choi and Lee, 2006; Shin, 2014). 특히, 자외선과 짧은 파장대의 가시광선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진 용존유기물질(Chromatographic DissolvedOrganic Matters, CDOM) 중에서 형광 특성을 갖는 형광용존유기물질(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s, FDOM)이 존재하는데 유기물질의 구성(휴믹 및 펄빅산, 단백질, 아미노산, 엽록소, 합성물질 등)에 따라 다른 형광특성을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e, S. H., Lee, K. H., Lim, J. L., Kim, S. S., Wang, C. K., and Ahn, H, W. (2004). Characteristics of DOM according to seasonal variation of raw water in lakes and river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8(11), 1244-1250. [Korean Literature] 

  2. Chen, B., Huang, W., Ma, S., Feng, M., Liu, C., Gu, X., and Chen, K. (2018). Characterization of chromophoric dissolved organic matter in the littoral zones of eutrophic lakes Taihu and Hongze during the algal bloom season, Water Research, 10(7), 861. 

  3. Choi, I. H. and Lee, Y. S. (2006). Application of LC-OCD metho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NOM in Geum river, Proceedings of the 2006 Autumn Co-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and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505-506. [Korean Literature] 

  4. Coble, P. G. (2007). Marine optical biogeochemistry : the chemistry of ocean color, Chemical Reviews, 107(2), 402-418. 

  5. Henderson, R. K., Baker, A., Persons, S. A., and Jefferson, B. (2008). Characterization of algogenic organic matter extracted from cyanobacteria, green algae and diatoms, Water Research, 42(13), 3435-3445. 

  6. Hur, J., Shin, J. K. and Park, S. W. (2006). Characterizing fluorescence properti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rivers and lak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8(9), 940-948. [Korean Literature] 

  7. Khan, S, I., Zamyadi, A., Rao, N. R. H., Li, X., Stuetz, R. M., and Henderson, R. K. (2019). Fluorescence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algal organic matter : towards improved in situ fluorometer developed, Environmental Science : Water Research & Technology, 5(2), 417-432. 

  8. Kim, J, H., Kim, J. H., Choi, I. H., Lee, Y. J., and Lee, E. J. (2018). Correlation between dissolved organic-carb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isinfection byproduct formation potential in the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21(3), 165-171. [Korean Literature] 

  9. Lapierre, J. F. and Frenette, J. J. (2009). Effects of macrophytes and terrestrial inputs on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in a large river system, Aquatic Sciences, 71(1), 15-24. 

  10. Lee, S. A. and Kim, G. B. (2018). Sources, fluxes, and behaviors of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FDOM)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Biogeosciences, 15, 1115-1122. 

  11. Liu, W., Zhang, L., Liu, P., Qin, X., Shan, X., and Yao, X. (2018). FDOM conversion in karst watersheds expressed by three-dimensional fluorescence spectroscopy, Water Research, 10, 1427. 

  1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1). Comparative study on COD Criteria and examination methods for the water and wastewater, NIER No.2001-44-63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30. [Korean Literature] 

  13. Park, H. G., Kang, D. W., Shin, K. H., and Ock, G. Y. (2017). Tracing source and concentration of riverine organic carbon transporting from Tamjin river to Gangjin bay, Korea,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0(4), 422-431. [Korean Literature] 

  14. Park, S. H., Noh, J. W., Park, J. H., and Maeng, S. K. (2018). Biological stability in the ozone and peroxone pretreatment systems in river 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32(2), 159-168. [Korean Literature] 

  15. Shin, Y. R. (2014). Microbial alteration of riverine dissolved organic carbon concentration and characteristics in a temperate regi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Korean Literature] 

  16. Song, K., Shang, Y., Wen, Z., Jacinthe, P. A., Liu, G., Lyu, L., and Fang, C. (2019). Characterization of CDOM in saline and freshwater lakes across China using spectroscopic analysis, Water Research, 150, 403-417. 

  17. Stedmon, C. A. and Markager, S. (2005). Resolving the variability in dissolved organic matter fluorescence in a temperate estuary and its catchment using PARAFAC analysis, Limnology and Oceanography, 50(2), 686-697. 

  18. Thottathil, S. D., Hayakawa, K., Hodoki, Y., Yoshimizu, C., Kobayashi, Y. and Nakano, S. I. (2013). Biogeochemical control on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dynamics in a large freshwater lake (lake Biwa, Japan), Limnology and Oceanography, 58(6), 2262-2278.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