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 사고와 자살 시도가 있거나 없는 개인의 자살 보도에 대한 태도 연구
A Study of Attitudes Toward Suicide Report among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uicidal Thoughts and Suicide Attempts 원문보기

생물정신의학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v.27 no.1, 2020년, pp.9 - 17  

고경남 (강원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상욱 (경희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박종익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est level, perception and attitude of suicide high-risk group toward the media's suicide report, and also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in order to strengthen both the standard and the recommendation of media coverage in Korea.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자살실태 표본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자살고위험군의 자살 보도에 대한 관심 및 지각과 태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자살 보도 권고 기준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과거 자살 시도와 자살 사고 경험이 있는 자살 고위험군의 자살 보도에 대한 관심 및 자살 보도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자살고위험군은 일반인에 비해 자살 보도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났으나, 자살 보도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 및 자살 보도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자살예방을 위해 자살 현상의 원인을 규명하고자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지만, 자살은 개인적, 사회적 변인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자살의 원인을 명확하게 예측하고 예방하는 일은 쉽지 않다. 하지만 최근에는 개인과 사회적 차원을 넘어 미디어가 가진 강력한 전파력에 주목하여 미디어에서 전달하는 자살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이 실제로 자살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회학습이론과 모방 자살이 주목받고 있다.27) 본 연구에서는 자살에 대한 태도와 미디어에서의 자살 보도가 자살을 야기할 수 있다는 여러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살고위험군의 자살 보도에 대한 관심 및 자살 보도에 대한 지각과 태도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자살예방 정책에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 자살실태조사에서 조사된 만 19~75세까지의 성인 150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파게노 효과란 무엇인가? 이 밖에도 자살 보도의 자살 방법을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10)11)과 부적절한 보도 방식은 모방 자살뿐만 아니라 자살의 전염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7)9)12)이 확인된 바 있다. 반면, 미디어의 자살 보도가 자살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여 ‘베르테르 효과’와 반대의 개념인 ‘파파게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했는데 이는 미디어가 대안적인 정보 또는 도움을 얻을 수 있는 곳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준다면 자살률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13) 실제 Niederkrotenthaler 등14)에 의하면 자살에 관련된 잘못된 상식을 바로 잡는 정보, 자살과 관련 있는 정신질환에 대한 내용,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명이나 전화번호 등의 내용이 자살률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로 확인된 바 있다.
자살 보도 가이드라인의 효과는 무엇인가? 가이드라인의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언론이 미디어 가이드라인을 준수할 경우 자살 발생률 감소에 영향을 미치며, 자살 관련 보도의 질을 높이는 데도 기여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11)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 역시 지난 2004년 언론 보도 권고 기준을 공표하였으나, 실제 자살 보도 권고 기준의 준수율은 2015년 기준 6.
자살 보도의 내용이 후속 자살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의 근거는 무엇인가? Stack9)은 모방 자살위험에 대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자살 보도의 내용이 후속 자살에 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렸다. 먼저, 연예인이나 정치인과 같은 유명인의 자살 보도는 유명하지 않은 일반인의 보도보다 모방 자살에 미치는 영향력이 14.3배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살 보도가 소설이나 TV 드라마 및 영화 속 주인공의 자살 장면보다 약 4.03배 가량 후속 자살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 밖에도 자살 보도의 자살 방법을 모방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10)11)과 부적절한 보도 방식은 모방 자살뿐만 아니라 자살의 전염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7)9)12)이 확인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who.int [homepage on the Internet]. Suicide data [cited 2019 May 25].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mental_health/prevention/suicide/suicideprevent/en/. 

  2. World Health Organization. Mental Health Action Plan 2013-2020.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2013. 

  3. OECD. Health at a Glance 2017: OECD Indicators. Paris: OECD Publishing;2017. 

  4. kosis.kr [homepage on the Internet]. Deajeon: Statistics Korea [updated 2019 Jun 30; cited 2019 July 28].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download&bSeq&aSeq370711&ord1. 

  5. Atkin C, Silk K. Health Communication. In: Stacks DW, Salwen MB, editors. An Integrated Approach to Communication Theory and Research. 2nd ed. New York, NY: Routledge;2008. p.489-503. 

  6. McCombs M, Ghanem SI. The convergence of agenda setting and framing. In: Reese RD, Gandy OH Jr, Grant AE, editors. Framing Public Life: Perspectives on Media and Our Understanding of the Social World. New York, NY: Routledge;2001. p.64-82. 

  7. Phillips DP. The influence of suggestion on suicide: substantive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Werther effect. Am Sociol Rev 1974;39:340-354. 

  8. Sisask M, Varnik A. Media roles in suicide prevention: a systematic review.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2;9:123-138. 

  9. Stack S. Media coverage as a risk factor in suicide.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3;57:238-240. 

  10. Etzersdorfer E, Voracek M, Sonneck G. A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imitational suicides and newspaper distribution. Arch Suicide Res 2004;8:137-145. 

  11. Niederkrotenthaler T, Sonneck G. Assessing the impact of media guidelines for reporting on suicides in Austria: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 Aust N Z J Psychiatry 2007;41:419-428. 

  12. Stack S. Suicide in the media: a quantitative review of studies based on non-fictional stories. Suicide Life Threat Behav 2005;35:121-133. 

  13. Policy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 Management. A study on the effect of media coverage on suicide prevention]. Sejong: Policy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 Management [updated 2013 Oct 17; cited 2019 May 13]. Available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theme/retrieveThemeDetail.do?leftMenuLevel110&cond_brm_super_idNB000120061201100060495&research_id1351000-201300191. 

  14. Niederkrotenthaler T, Voracek M, Herberth A, Till B, Strauss M, Etzersdorfer E, et al. Role of media reports in completed and prevented suicide: Werther v. Papageno effects. Br J Psychiatry 2010; 197:234-243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Preventing Suicide: A Resource for Media Professionals Update 2017.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16. Segye Ilbo. Suicide coverage recommendations, a chip in porridge... Last year's compliance rate was 7%. Seoul: Segye Ilbo [updated 2016 Sep 28; cited 2019 May 13]. Available from: https://www.segye.com/newsView/20160927003421. 

  17. Yang KM, Bang SY, Kim SY.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Str Res 2012;1:41-50. 

  18. Park E. The influencing factors on suicide attempt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Nurs 2008;38:465-473. 

  19. Kim YJ. Reporting on suicide before and after the suicide guidelines presented.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05;49:140-165. 

  20. Kim IS. Third-person effect of celebrity suicide news: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toward celebrity suicide news, media use, the third-person effect and media regul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2009;9:5-36. 

  21. Borges G, Nock MK, Haro Abad JM, Hwang I, Sampson NA, Alonso J, et al. Twelve-month prevalence of and risk factors for suicide attempts in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Mental Health Surveys. J Clin Psychiatry 2010;71:1617-1628. 

  22. Galynker I, Yaseen ZS, Briggs J, Hayashi F. Attitudes of acceptability and lack of condemnation toward suicide may be predictive of post-discharge suicide attempts. BMC Psychiatry 2015;15:87. 

  23. Kim B, Jung KJ, Lee SU, Sea J, Kim EY, Kim SH, et al. The Korea National Suicide Survey (KNSS): rationale and design. Korean J Biol Psychiatry 2015;22:1-6. 

  24. Lee SU, Jeon M, Park JI. A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suicide among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suicidal thoughts and suicide attempts in South Korea. Crisis 2019;40:27-35. 

  25. Park E, Choi SJ.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related risk factors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3;22:88-96. 

  26. Yoon JH, Lee KH, Hahn KY, Chang SJ, Cha BS, Min SH, et al. Suicide trend of standardized mortality ratio and age standardized proportion mortality ratio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in Korea: 1993-2007.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11;23:173-182. 

  27. Kim EY, Song MH, Kim YJ. The effect of newspaper suicide reporting on suicide-related perception: focusing on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contents and web-search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2015;59:94-124. 

  2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national survey on suicid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updated 2019 Oct 23; cited 2019 Dec 15].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5095. 

  29. Yang HJ, Byun EY.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icidal attitude and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from the media reports on suicid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582-590. 

  30. Oh JH, Kim MJ.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edia suicide reports on suicidal intention of youth: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4;8:167-178. 

  31. Carnagey NL, Anderson CA, Bushman BJ. The effect of video game violence on physiological desensitization to real-life violence. J Exp Soc Psychol 2007;43:489-496. 

  32. Jeong SM, Park YJ. A study on conditional effects of a suicide report on suicidal risk in undergraduates. Korean Police Studies Review 2009;8:153-182. 

  33. Ghio L, Zanelli E, Gotelli S, Rossi P, Natta W, Gabrielli F. Involving patients who attempt suicide in suicide prevention: a focus groups study. J Psychiatr Ment Health Nurs 2011;18:510-518. 

  34.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an agentic perspective. Annu Rev Psychol 2001;52:1-26. 

  35. Bae JS, Hur TK. The roles of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edia reports of suicides in social learning effects.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09;8:153-182. 

  36. Park JI , Hwang HK , Seo YE. A validation study for the scale of the media reports regarding suicide. J Korean Geriatr Psychiatry 2016;20:114-120. 

  37. Myung W, Won HH, Fava M, Mischoulon D, Yeung A, Lee D, et al. Celebrity suicides and their differential influence on suicides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ational population-based study in Korea. Psychiatry Investig 2015;12:204-211. 

  38. Fu KW, Chan YY, Yip P. Testing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media influences on suicidal ideation: results from a panel study. Media Psychology 2009;12:26-49. 

  39. Ghazinour M, Mofidi N, Richter J. Continuity from suicidal ideations to suicide attempts? An investigation in 18-55 years old adult Iranian Kurds. Soc Psychiatry Psychiatr Epidemiol 2010;45:973-981. 

  40. Kim BC. The impact of media coverage of suicide on suicidal people in Kore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2010;18:41-63. 

  41. Ahn JS, Lee WJ. Effect of social conformity and individuals' information processing tendencies on trust in rumor messages.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2011;11:296-3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