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 관련 보도에 따른 대학생의 자살태도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icidal attitude and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from the media reports on suicid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582 - 590  

양현주 (창신대학교 간호학과) ,  변은경 (경남정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 관련 보도에 따른 대학생의 자살태도와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언론의 보도관련 기준안 준수 및 자살보도와 관련한 권고안 강화에 대한 중재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자는 B시와 G도의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8세 이상의 대학생 2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 6월 9일부터 7월 7일까지 였고, 자료분석SPSS WIN/21.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자살 관련 보도에 따른 자살태도 정도에서 자살보도메시지 2(자살동기 보도)는 $51.06{\pm}10.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자살생각은 $10.41{\pm}12.88$점으로 나타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은 학제, 가족월수입, 용돈, 동거인, 신체활동 시간, 흡연,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살생각은 자살보도메세지 1(r=.303, p<.001), 자살보도메세지 2(r=.251, p<.001), 자살보도메세지 3(r=.225, p<.001)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자살 관련 보도에 따른 대학생의 자살태도는 자살생각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attitude and suicidal ide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also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in order to strengthen both the standard and the recommendation of media coverage in Korea. A total of 249 college students over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자살 관련 보도에 따른 대학생의 자살 태도와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언론의 보도 관련 기준안 준수 및 자살보도와 관련한 권고안 강화를 위한 중재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의 원인은? 자살은 개인이 이루고자하는 기대나 희망과 현실간의 괴리가 내적으로 귀인되어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과 우울이 나타나고, 우울은 인지적 몰락 상태를 유발하여 자살행위가 일어나며[1], 이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높아진다고 보고된다[2].
대중매체의 자살보도로 인해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선행연구에서 자살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사회 · 심리 · 환경 · 유전적인 요인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영향[5]에만 관심을 가져왔으나, 최근 대중매체의 자살보도가 자살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있어 주목된다[6-8]. 자살에 대한 대중매체의 영향은 베르테르 효과라고 불리는데, 대중매체에 공개된 자살사건이후에 일어나는 자살사건에 영향을 미쳐 모방자살을 유발한다고 한다[9]. 실제로 연예인 등 사회 유명인의 자살 이후 국내 언론의 자살기사를 보면 신문은 72%, 방송은 80.
2013년 사망원인통계에서 말하는 자살에 대한 내용은? 2013년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사망원인 중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등과 같은 질병에 의한 사망원인 다음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자살인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별 사망원인에서도 10대부터 30대의 사망원인이 자살인 것으로 나타났다[3]. 증가된 청년인구의 자살 사망은 경제인구 감소와 사회 · 문화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중대한 사회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한 개인 및 사회의 관심과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R. F. Baumeister, "Suicide as ex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vol. 97, pp. 90-113, 1990. DOI: http://dx.doi.org/10.1037/0033-295X.97.1.90 

  2. S. A. Park, J. S. Hur, "Moderating effects of religios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peopl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 62, pp. 79-108, 2013. 

  3.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Statistics for Causes of Death by Age", 2014. 

  4. J. H. Ha, S. H. An, "The verification of a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suicidal ideation to stress, coping styles,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impulsivity",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0, no. 4, pp. 1149-1171, 2008. 

  5. K. M. Yang, S. Y. Bang, S. Y. Kim,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0, no. 1, pp. 41-50, 2012. 

  6. I. S. Kim, "Third-person effect of celebrity suicide news: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attitude toward celebrity suicide news, media use, the third-person effect and media regul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vol. 9, no. 3, pp. 5-36, 2009. 

  7. S. M. Jung, Y. J. Park, "A study on conditional effects of suicide report on suicidal risk in undergraduates", Korea Police Studies Review, vol. 8, no. 2, pp. 153-182, 2009. 

  8. B. C. Kim, "The impact of media coverage of suicide on suicidal people in Korea",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Studies, vol. 18, no. 1, pp. 41-63, 2010. 

  9. J. S. Bae, T. K. Hur, "The roles of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media of suicides in social learning effec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vol. 16, no. 2, pp. 179-195, 2010. 

  10. M. K. Kim, E. H. Lee, "The influence of abused childhood experiences, exposure to suicide and exposure to suicide news on suicidal thought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 of goal instability",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8, no. 12, pp. 403-429, 2011. 

  11. J. E. Pirkis, P. M. Burgess, C. Francis, R. W. Blood, D. J. Jolley,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reporting of suicide and actual suicide Australia",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62, pp. 2874-2886, 2006.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5.11.033 

  12. M. Tousignant, B. L. Mishara, A. Caillayd, V. Fortin, D. St-Laurent, "The impact of media coverage of the suicide of a well-known Quebec reporter: the case of Qaetan Girouard", Social Science & Medicine, vol. 60, pp. 1919-1926, 2005. DOI: http://dx.doi.org/10.1016/j.socscimed.2004.08.054 

  13. S. Stack, "Suicide in the media: a quantitative review of studies based on non-fictional stories",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vol. 25, pp. 121-133, 2005. DOI: http://dx.doi.org/10.1521/suli.35.2.121.62877 

  14. A. T. A. Cheng, K. Hawton, T. H. H. Chen, A. M. F. Yen, J-C. Chong, M-Y. Chong, C-Y. Liu, Y. Lee, P-R. Teng, L-C. Chen, "The influence of media reporting of a celebrity suicide on suicidal behavior in patients with a history of depressive disorder",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 103, pp. 69-75, 2007. DOI: http://dx.doi.org/10.1016/j.jad.2007.01.021 

  15. A. I. Beautrais, "Risk factors for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among young people",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 34, pp. 420-436, 2000. DOI: http://dx.doi.org/10.1080/j.1440-1614.2000.00691.x 

  16. K. Fu, Y. Chan, P. S Yip, "Testing a theoretical model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media influences on suicidal ideation: results from a panel study", Media Psychology, vol. 12, pp. 26-49, 2009. DOI: http://dx.doi.org/10.1080/15213260802669441 

  17. J. Y. Kim, "Suicide-related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and suicide prev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11, pp. 525-533, 2012. 

  18. K. E. Lim, "A study on the suicidal ideation of young adults based on the 2009 internet society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ol. 23, no. 3, pp. 545-558, 2012. 

  19. S. M. Han, "The effects of suicide ideation on suicide reports of mass media and social support in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vol. 25, no. 1, pp. 133-142, 2012. 

  20. Y. K. Min, "Evaluation on suicidal risk factors and suicidal thought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tudents Guidance, vol. 31, pp. 31-52, 2005. 

  21. W. M. Reynolds,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8. 

  22. B. K. Park, P. S. Noh,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ents suicide ideation-comparative study of depression group and non-depression group",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 26, pp. 168-193, 2007. 

  23. H. S, Song, "The influence of the, depression tendency and the suicide-related messages on suicidal attitudes-the simplistic suicidal motivation message and other's mourning mess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05. 

  24. J. A. Jenner, J. Niesing, "The construction of the SEDAS: a new suicide-attitude questionnaire",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vol. 102, no. 2, pp. 139-146, 2000. DOI: http://dx.doi.org/10.1034/j.1600-0447.2000.102002139.x 

  25. Y. M. Lee, "Relationship self-control, stress, lonelin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12, pp. 5541-5549,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12.5541 

  26. D. S. Park, "Effects of life stress and depression of health college students on their suicidal ideation: control effects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2, pp. 728-736,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2.728 

  27. Y. J. Kim, "Reporting on suicide before and after the suicide guidelines presented",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49, no. 6, pp. 40-166, 2005. 

  28. M. Y. Sim, D. N. Lee, E. H. Kim, "A study on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5, pp. 227-236,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5.227 

  29. M. Y. Shin, J. E. So, J. S. Kim, M. M. Park, J. W. Park, "Influence of famous entertainer's suicides on suicide attempts of the public",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vol. 17, no. 2, pp. 112-119,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