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을 위한 종합적 과학재능 검사 도구의 개발 -수행형 검사 수행을 위한 시사점 도출-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for Scientifically Gifted and Talented with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3, 2020년, pp.347 - 358  

서윤경 (서울가락초등학교) ,  전영석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과학재능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판별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였다. 재능 판별도구는 다양한 경로의 정보를 복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교사 의견서, 지필형 검사, 수행형 검사로 구성하였고, 시범 적용의 결과는 검사의 저학년 적합성 측면과 적극적 참여 유발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우선 저학년 적합도를 확인하고자 참여 학생들이 수행형 검사에서 보인 말과 행동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고, 과학 지식 및 과학탐구수행요소와 관련하여 범주화한 30개의 탐구행동유형은, NGSS 과학탐구수행요소의 k-2학년 수준에 해당되거나 일부 상회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검사는 저학년을 대상으로 과학 재능을 판별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다음으로, 수행형 검사가 참여 학생의 과학재능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탐구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수행형 검사에서 나타난 참조문장 수를 참여도의 지표로 삼고 비교한 결과, 과학적 흥미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수동적인 태도로 참여한 2건의 사례가 나타났다. 담임교사 의견서에 포함된 1년간의 관찰기록, 지필형 검사 및 수행형 검사의 종합적 비교와 담임교사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원인을 분석한 결과, 과학적 경험이 검사에서 상정한 수준을 훨씬 상회하고 있거나 참여자의 관심 영역이 매우 협소하고 기호의 차이도 커서 제시된 소재에 대해 흥미를 쉽게 잃었던 경우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행형 검사를 활용한 저학년 과학재능 검사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사례의 측적을 통해 교육현장에 실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y a pilot assessment tools for scientifically gifted and talen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lower grades. The assessment tool consists of three parts: homeroom teachers' recommendation, paper and pencil test and performance tests. The tools are ver...

Keyword

표/그림 (1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의 탐구과정을 분석하여 기록한 참조행동 유형을, NGSS 과학탐구수행요소의 수준과 비교한 결과는? 이를 과학재능, 즉, 과학수행능력과 관련된 과학지식과 NGSS 과학탐구수행요소 7가지, 과학재능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4가지(과학적 경험, 과제집착력, 흥미, 논리성)로 범주화하였고, 다시 DMGT에서 제시한 과학재능발달의 이론적 구인인 과학재능, 환경적 요인, 개인내적요인, 타고난 능력과 연결하여 구조화하였다(Table 5). 각 행동 유형을 NGSS 과학공학수행요소의 수준과 비교해 본 결과, k-2학년, 3-5학년, 일부 최대 6-8학년 수준까지 도달함을 확인하였다. 본 검사가 학생들의 자유로운 탐구를 통해 이루어지나 면담자가 설정한 비계에 따라 질문을 통한 탐구 유도가 함께 진행되었음을 고려할 때, 저학년 수준에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Gagné는 영재성을 무엇이라 정의했나? 잠재력 발달에 대한 관심은 “Gifts”, “Giftedness”, “Talents”를 명확히 정의하려는 Gagné(1985)의 연구로 이어졌으며, 이는 20세기 영재교육의 큰 성과라 할 수 있다(Lee, 2014). Gagné는 영재성(Giftedness)은 타고난 뛰어난 능력(Gift)을 별도의 훈련 없이 사용하는 것이며, 재능(Talent)은 특정 분야에서 복합적 과정을 거쳐 체계적으로 발달시킨 뛰어난 능력 및 지식이라 정의하였다. 이에 따르면 재능(Talent)은 타고난 능력, 개인내적 요인, 환경적 요인 및 기회 요인이 적절한 발달과정을 거쳐 계발되므로, 때로 타고난 능력(gift) 없이도 훈련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재능 판별도구는 어떻게 구성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과학재능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판별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였다. 재능 판별도구는 다양한 경로의 정보를 복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교사 의견서, 지필형 검사, 수행형 검사로 구성하였고, 시범 적용의 결과는 검사의 저학년 적합성 측면과 적극적 참여 유발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우선 저학년 적합도를 확인하고자 참여 학생들이 수행형 검사에서 보인 말과 행동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고, 과학 지식 및 과학탐구수행요소와 관련하여 범주화한 30개의 탐구행동유형은, NGSS 과학탐구수행요소의 k-2학년 수준에 해당되거나 일부 상회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Bang, S., Choi, J., & Kim, H. (2006). Series E : A study on the method for distinguishing general from science-inclined Learners by using Pattern Recogni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4), 551-559. 

  2. Cho, H, & Kim, Y. (2015).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ssessment tool.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6), 119-154. 

  3. Cho, S. (2003). A study on the flow-path analysis in the department system: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est.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0(1). 

  4. Cho, S., & Kim, M. (1993). The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tool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high school students(고등학교 과학영재 판별도구 개발(창의적 과학문제 해결력 검사) in Korean),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5. Cho, S., Jang, Y., Jung, T., & Lim, H. (2001). The development of a brie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 in Korean) (I).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6. Cho, S., Si, K., & Chi, E. (1997). The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tool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과학영재판별도구개발연구 in Korean) (II).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7. Creswell, J. W. (2007). Five qualitative approaches to inquiry.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2, 53-80. 

  8. Freeman, J. (2013). Gifted children grown up. David Fulton Publishers. 

  9. Gagne, F. (1985). Giftedness and talent: Reexamining a reexamination of the definitions. Gifted child quarterly, 29(3), 103-112. 

  10. Gagne, F. (2000). A differentiated model of giftedness and talent (DMGT).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1. Gagne, F. (2004).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al theory. High ability studies, 15(2), 119-147. 

  12. Gagne, F. (2010). Motivation within the DMGT 2.0 framework. High ability studies, 21(2), 81-99. 

  13. Garde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14. Ginsburg, H. P., & Opper, S. (1988). Piaget's theory of intellectual development. Prentice-Hall, Inc. 

  15. Glaser, B., & Strauss, A.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1967. Weidenfield & Nicolson, London, 1-19. 

  16. Harrison, A. G., & Treagust, D. F. (1993). Teaching with analogies: A case study in grade-10 op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0), 1291-1307. 

  17. Jang, Y. (2007). Development of parental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s giftednes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4(2), 1-23. 

  18. Jhun, Y. (2018). The development of activity-based identification tool for the gifted lower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교 저학년 대상 활동중심 영재판별도구 개발 in Korean). Korean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KOFAC). Available at http://www.alio.go.kr/informationResearchView.do?seq2521447 

  19. Jung, J. (1996). Development of assessment of science process skills for elementary lower graders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0. Kang, 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mal-adaptative behavior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lower elementary school teachers(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 저학년 교사의 인식 비교연구 in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6(1), 151-171. 

  21. Kang, N. (2014). Implications for Korean science curriculum from NGSS(미국의 차세대과학교육표준(NGSS)이 한국 과학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in Korean). The Journal of Curriculum & Lesson(교육과정 및 수업연구지 in Korean), 14(1), 1-25. 

  22. Kim, D., & Kim, H. (2013). Analysis of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2), 444-465. 

  23. Kim, E. (2006). The exploration of thinking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children within scientific problem solving.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2), 179-190. 

  24. Kim, E., Park, K., & Yoo, M. (2019). A qualitative study on searching for the cause of gifted adult's sense of underachievement and the overcoming factor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9(1), 39-65. 

  25. Kim, H., Kim, M., & Song, S. (1996). The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tool for the Mathmatically Gifted(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in Korean) (I).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26. Kim, J., Lee, E., Choi, G., & Song, S. (1996). The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tool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과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in Korean) 1.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27. Kim, O., & Kim, H. (201 1). Affective and s ocial variables influencing on gifted underachiev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10(3), 53-73. 

  28. Kwon, C. S. (2005). The prospect and task o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2), 192-201. 

  29. Lee, C., & Choi, I. (2012). Validity of the teacher's scales for gifted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2(2), 483-497. 

  30. Lee, H. (2010). The longitudinal study on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 and scientific subjec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 1-11. 

  31. Lee, J. (2010). Development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identification tool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Korea science academy (Doctori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n.. 

  32. Lee, K.(2004). Development of test items for the identifica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Ehwa Education(이화교육논총 in Korean) 14, 119-134. 

  33. Lee, M., & Moon, B. (2007). A characteristic and educational guidance of gifted underachiever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5(1), 159-179. 

  34. Lee, S. (2014). Two treasure boxes in 20th century gifted education. The Journal of Special & Gifted Education, 1, 1-13. 

  35.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Available at http://www.nextgenscience.org/ 

  36. Oh, K., Kim, S. (1995). The attitude of teachers and parents toward the gifts in science and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cience gifte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5(3), 291-302. 

  37. Park, K., & Lee, K. (2011). Trends of gifted education for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Global Creative Leader, 1, 34-53. 

  38. Park, M. (1986). Validation of science aptitude test for identification of scientifically gifted(과학 영재 변별을 위한 과학 적성검사 도구 타당화 연구 in Korean)(RR86-11). [KEDI] Research Report, 0-0. 

  39. Park, S., & Lee, J. (2007). A comprehensive model for identification of underachieved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7(2), 251-279. 

  40. Rimm, S. (1985). Identifying underachievement: The characteristics approach. G/C/T, 8(6), 2-5. 

  41. Ross, A., & Parker, M. (1980). Academic and social self concepts of the academically gifted. Exceptional Children. 

  42. Ryu, S., & Park, J. (200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8(2), 139-149. 

  43.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 Acher, A., Fortus, D., ... & Krajcik, 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 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 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The Official Journal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6), 632-654. 

  44. Shaw, M. C., & McCuen, J. T. (1960). The onset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in bright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51(3), 103. 

  45. Shim, K., & Kim, H. (2005). Comparative study on learning style of science gifted/talented students by gifted/talented division and gender. Biology Eductaion, 33(4), 403-412. 

  46. Shin, M., Kim, J. (2002). A study on the intelligenc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ally gifted(과학 영재의 지능특성 연구 in Korean). Yonsei Journal of Science of Education(연세교육과학 in Korean), 20, 77-92. 

  47. Song, K., & Han, K. (2011). A case study of an elementary gifted student's maladjusted behaviors by asynchronous phenomen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1(1), 209-230. 

  48. Song, S. (200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 gifted children. School Mathematics, 2(2), 427-457. 

  49. Song, S. (2007). The development of a intervention program on gifted underachievers.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3(3), 301-326. 

  50. Sternberg, R. J., & Davidson, J. E. (Eds.). (2005). Conceptions of giftedness.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VanTassel-Baska, J., Johnson, D., & Avery, L. D. (2002). Using performance tasks in the identifica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y gifted learners: Findings from Project STAR. Gifted Child Quarterly, 46(2), 110-123. 

  52. Whitmore, J. R. (1980). Giftedness, conflict, and underachievement. Allyn & Bacon. 

  53. Yang, I., Lim, S., & Shim, H. (2013). An Investigation of SL-BIS/BAS and the Interest in Science among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and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6(1), 40-49. 

  54. Yoon, Y., Kim, O., Moon, J., & Kim, M. (2001). A study of the role of environmental influences in talent development of the Korean Math and Science Olympian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1(3), 245-270. 

  55. Ziegler, A., & Baker, J. (2013). Talent development as adaptation: The role of educational and learning capital. Exceptionality in East Asia: Explorations in the Actiotope model of giftedness, 18-3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