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 분야 박사학위자의 직업다변화 및 결정요인 분석
Occupational Diversification of Doctorates in Science and Technology 원문보기

기술혁신연구, v.28 no.3, 2020년, pp.55 - 76  

조가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초록

한국에서 전통적인 과학기술인력 직업군의 경계는 빠른 속도로 허물어지고 있다. 한편으로는 지식기반경제의 등장과 확장으로 과학기술이 전통적 활용영역을 넘어 확산됨에 따라 과학기술인력 역시 다양한 융합분야로 진출하고 있으며, 동시에 고학력 인구의 비중에 비해 고급 직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데에서 기인한 하향취업이 그러한 경향을 가속화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박사급 이공계 인력에 초점을 맞추어 직업구성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 그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관련 직종을 전통적 과학기술직업군과 기타 직업군으로 나누어 그 비중의 변화를 도출하며, 이러한 직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다. 분석에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2012 박사인력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이공계 박사인력의 직업구성에 뚜렷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직업다변화는 공학보다는 이학 분야에서, 공공보다는 민간 분야에서, 그리고 신규 세대일수록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boundaries of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S&T) have quickly blurred in Korea. On the one hand, the knowledge-based economy has emerged and S&T proliferated beyond conventional areas, leading scientists and engineers to advance into various convergence fiel...

주제어

참고문헌 (28)

  1. 미래창조과학부(2013), 창조경제 내재화정도 측정을 위한 창조경제지수 개발 연구 

  2. 엄미정(2012), "연구개발인력 경력개발과 고용촉진 전략 : 박사학위자 민간부문 진출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 제22권, 제1호 

  3. 조가원, 김정진, 임대철, 남은정 (2013), "2012 박사인력활동조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4. 차종석(2005), "R&D 인력의 경력개발에 관한 연구", 「Andragogy Today」,, 제8권, 제1호 

  5. 홍성민 (2015), "우리나라 과학기술인력의 경력이탈 현황 분석", 「공학교육연구」, 제18권, 제1호 

  6. 홍성민, 김형주, 조가원, 김선우, 이시균, 정미나 (2012), "과학기술인력정책의 효과성 제고 방안: 이공계 석.박사 노동시장 분석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7. 홍성민, 김형주, 조가원, 박기범, 김선우, 정재호 (2013), "미래 과학기술 인재상과 이공계대학 지원정책의 전환방향", 과학기술정책연구원 

  8. 홍성민, 장선미 (2016), "과학기술인력의 경력개발 촉진 요인에 대한 분석," 「기술혁신연구」, 제24권, 제3호 

  9. Braddock, D.J., 1992. Scientific and technical employment, 1990-2005. Monthly Labor Review 115 (2), 28-41. 

  10. Cervantes, M., 2001. Mobilising human resource for innovation. In: OECD Growth Background Papers No. 2. OECD, Paris. 

  11. Dany, F., Mangematin, V., 2004. Beyond the dualism between lifelong employment and job insecurity: some new career promises for young scientists. Higher Education Policy 17, 201-219. 

  12. Enders, J., 2002. Serving many masters: the PhD on the labour market, the everlasting need of inequality, and the premature death of Humboldt. Higher Education 44, 493-517. 

  13. Enders, J., 2005. Broader crossing: research training, knowledge dissemin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academic work. Higher Education 49, 119-133. 

  14. Finn, M.G., Baker, J.G., 1993. Further jobs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shortage or surplus? Monthly Labor Review 116 (2), 54-61. 

  15. Giret, J., Recotillet, I., 2004. The impact of CIFRE programme into early careers of PhD graduates in France. In: Paper Presented to the 16th Annual Conference of the European Association of Labour Economics, Lisbon. 

  16. Lam, A., 2007. Knowledge networks and careers: academic scientists in industry-university link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4 (6), 993-1015. 

  17. Lavoie, M., Roy, R., Therrien, P., 2003. A growing trend toward knowledge work in Canada. Research Policy 32, 827-844. 

  18. Lee, H., Miozzo, M., Laredo, P., 2010. Career patterns and competences of PhD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the knowledge economy: The case of graduates from a UK research-based university. Research Policy 39, 869-881. 

  19. Mangematin, V., 2000. PhD job market: professional trajectories and incentives during the PhD. Research Policy 29, 741-756. 

  20. Miozzo, M., Grimshaw, D. (Eds.), 2006. Knowledge Intensive Business Services: Organizational Forms and National Institutions. Edward Elgar, Cheltenham. 

  21. OECD, 1991.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Review and Outlook. 

  22. OECD, 1992. Technology-Economy Programme. Technology and The Economy: The Key Relationship. 

  23. OECD, 2000. A New Economy? The Changing Role of Innov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 Growth. 

  24. OECD, 2014. Education at a Glance 2014. 

  25. Robin, S., Cahuzac, E., 2003. Knocking on academia's doors: an inquiry into the early careers of doctors in life science. Labour 17 (1), 1-23. 

  26. Stephan, P.E., Sumell, A.J., Black, G.C., Adams, J.D., 2004. Doctoral educ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flow of new Ph.D.s to industry.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18, 151-167. 

  27. Zucker, L.G., Darby, M.R., Armstrong, J.S., 2002a. Commercializing knowledge: university science, knowledge capture, and firm performance in biotechnology. Management Science 48 (10), 138-153. 

  28. Zucker, L.G., Darby, M.R., Torero, M., 2002b. Labor mobility from academe to commerce. Journal of Labor Economics 20 (3), 629-6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